• 제목/요약/키워드: 항산화력

검색결과 1,237건 처리시간 0.028초

유색미 에탄올 추출물의 품종간 항산화 활성 변이 (Varietal Difference in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from Colored Rice Bran)

  • 남석현;장수민;강미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1호
    • /
    • pp.16-22
    • /
    • 2003
  • 갈색에서부터 흑자색까지의 색상을 가지는 국.내외에서 수집한 23종류 유색미의 항산화 활성, 색소체 함량의 변기 및 상관성을 검정하였다. 유색미 에탄올 추출물 시료가 나타내는 환원력은 일반미 품종인 추청에 비해서 거의 모든 품종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환원력이 특히 높은 품종은 LK 1-3-6-12-1-1, Elwee, DZ 78, Jumlalocal-1, SC-45 등이었다. 전자공여능이 높은 품종은 HP 883-1-1-1-B-1-1, HP 833-1-3-1-1-1, LK-2-7-12-1-1, DZ 78 등이었고 hydroxy radical 소거활성이 큰 품종은 DK-1, IR 1544-38-2-2-1-2-2, SC-5, SC-45 등이었으며, LK 2-7-12-1-1은 오히려 산화촉진효과를 나타내는 품종이었다. 자동산화에 의한 지질 과산화물 형성을 강하게 억제하는 품종들은 RGS No. 336, LK IB-2-1-1, LK 1B-4-12-1-1, LK 1A-2-12-1-1, LK 2-7-12-1-1, HP 833-1-1-1-B-1-1등이었고 Elwee, Jumlalocal-1, SC-45 등의 품종은 산화적인 활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23품종의 유색미 중에서 색소체의 함량이 가장 많은 품종은 Elwee이었으며, 색소체 함량은 환원력과 정의 상관성이 있었고, 추출물이 고농도로 처리되었을 때 높은 환원력을 보인 유색미 품종은 linoleic acid 자동산화반응에서 지질 과산화를 촉진하는 경향이 있었다. 유색미 23품종 중에서 SC-5는 모든 반응계에서 비교적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피막이풀의 DPPH 라디칼과 hydroxyl radicals (OH) 항산화 활성 및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Hydroxyl Radicals (OH) Activity of Hydrocotyle sibthorpioides Lamarck)

  • 조경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9호
    • /
    • pp.1022-1026
    • /
    • 2016
  • 피막이(Hydrocotyle sibthorpioides Lam.)는 산형과(Araliaceae)의 여러해살이 초본이다. 생약명은 천호유, 예초, 계장초, 변지금으로 한방에서 사용하고 있다. 이 식물의 잎과 줄기로부터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환원력, 리폭시게나아제(lipoxygenase)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하이드록시 라디칼(-OH)은 거대분자, 탄수화물, 핵산, 지질, 단백질에 유해한 작용을 나타내는데 피막이의 잎 추출물은 8.0 mg/ml 농도일 때 78.6%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1, 1- diphenyl 2-picrylhyorazyl (DPPH)은 인체 내 항산화에 잘 알려진 라디칼로 피막이풀의 하이드록시 라디칼 활성 저해는 8.0 mg/ml농도일 때 86.0%였다. 다중불포화지방산 대사 효소에 관여하는 Lipoxygenases (LOXs)의 활성 저해는 8.0 mg/ml농도일 때 55.5%였다. 50%저해를 나타내는 농도(IC50)를 산출할 때 OH 활성, DPPH 활성, LOX 저해에 대해 각각 5.23 mg/ml, 6.44 mg/ml, 3.71 mg/ml이였다. 피막이 잎과 줄기 추출물은 강한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이런 피막이의 항산화 및 환원력 활성, LOX의 높은 저해율, 강환 환원력은 약리학적 소재로 좋은 후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과 항산화활성 (Antioxidant Component and Activity of Dropwort (Oenanthe javanica) Ethanol Extracts)

  • 황초롱;황인국;김현영;강태수;김윤배;주성수;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16-320
    • /
    • 2011
  •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분획물에 대한 항산화물질과 항산화활성을 분석한 결과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37.50 mg GA eq/g이었으며, 에틸아세테이트 층에서 240.61 mg GA eq/g로 높게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26.50 mg catechin eq/g 이었지만 에틸아세테이트 층에서는 105.57 mg catechin eq/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법에 의한 항산화활성의 $IC_{50}$ 값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1.07 mg/mL이었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는 0.08 mg/mL로 높았다. 총 항산화력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34.48 mg AA eq/g이었으며, 에틸아세테이트 층에서는 382.00 mg AA eq/g으로 높았다. 환원력은 1 mg/mL의 농도에서 에탄올 추출물은 0.45이었지만, 에틸아세테이트 층에서는 0.75로 높았다. Ferrous ion chelating 효과는 에탄올 추출물에서 32.01%로 높았고 용매 분획물에서는 오히려 감소하거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의 $IC_{50}$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26.71\;{\mu}g$/mL로 가장 높았다.

양파 첨가 청국장이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흰쥐의 지질 및 항산화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ungkukjang Added with Onion on Lipid and Antioxidant Metabolisms in Rats Fed High Fat-Cholesterol Diet)

  • 박재희;김정미;박은주;이경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1244-1250
    • /
    • 2008
  • 본 연구는 양파 첨가 청국장 첨가 식이가 고 콜레스테롤 흰 쥐의 지질대사 및 항산화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Sprague-Dawley 수컷 32마리를 대조군(C), 고 콜레스테롤군(HC), 고콜레스테롤+양파 첨가 청국장군(HC-OC), 고콜레스테롤+청국장군(HC-C)로 나누어 실험 식이를 8주간 공급하였다. 8주 후 혈액과 간, 변을 수집하여 혈장, 간 및 변의 지질농도, 혈장 TRAP, CD, 적혈구내 항산화효소활성, comet assay를 통한 DNA 손상을 측정하였다. 모든 군에서 식이섭취량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고, HC군에서 체중이 증가하였으며, 그 중 HC-C군에서 체중과 식이효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간 무게는 C보다 고콜레스테롤 급여 군들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분변량은 고콜레스테롤 식이군들에서 낮았으며, 변의 조지방은 고콜레스테롤 식이 군들에서 증가하였다. 양파 첨가 청국장과 청국장 급여로 HC군보다 간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혈장 지질 저하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양파 첨가 청국장과 청국장 섭취로 부분적 간 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청국장 급여로 혈장 CD농도는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그리고 HC-OC군과 HC-C군의 tail intensity는 감소하여 DNA 산화적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양파첨가 청국장과 청국장은 부분적으로 지질 개선효과와 항산화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양파와 청국장은 각각이 이미 우수한 항산화력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식품으로서 이 두 소재의 혼합에 의한 상승효과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CuEDTA와 FeEDTA의 엽면살포가 사과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EDTA and FeEDTA Foliar Spray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Apple)

  • 박지영;류호웅;신현석;임헌규;손인창;김대일;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9호
    • /
    • pp.1305-1309
    • /
    • 2012
  • 본 연구는 수확기 30일 전 CuEDTA, FeEDTA 엽면살포가 '홍로' 사과 과실의 항산화 성분 및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물질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과피의 폴리페놀은 CuEDTA와 FeEDTA에서 1,228.6, 1,210.0 mg/100 g으로 대조구의 998.8 mg/100g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CuEDTA, FeEDTA가 988.5, 847.6 mg/100 g으로 대조구 665.7 mg/100 g보다 높게 나타났다. Ascorbic acid의 함량은 FeEDTA가 47.2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CuEDTA(44.8 mg/100 g), 대조구( 40.9 mg/100 g) 순이었다. 안토시아닌은 대조구가 560.6 mg/100 g으로 CuEDTA, FeEDTA의 544.6, 542.9 mg/100 g에 비해 높았다. 항산화 활성 분석 결과, 과육은 처리구별 항산화 활성이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p>0.05), 과피에서는 처리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ABTS radical을 이용한 과피의 총 항산화력은 FeEDTA(1,267.5), CuEDTA(1,224.9), 대조구(1,161.1)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 또한 대조구의 868.7 mg AEAC/100 g에 비해 FeEDTA, CuEDTA 처리구에서 1,048.8, 1,042.7 mg AEAC/100 g으로 높았다. 하지만 환원력은 처리구간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p>0.05).

발아 기간에 따른 벼(Oryza sativa L.)의 항산화활성과 in vitro 항암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cancer Effects of Rough Rice (Oryza sativa L.) by Germination Periods)

  • 김현영;이상훈;황인국;김태명;박동식;김재현;김대중;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4-19
    • /
    • 2012
  • 발아기간에 따른 발아 벼 추출물의 항산화성분, 항산화활성 및 암세포주 성장억제효과를 살펴보았다. 발아는 0, 2, 4, 6 및 8일 동안 진행하였으며, 발아 후 70% 에탄올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은 2~4일까지는 증가하였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아 4일차에서 4.05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0, 2, 4, 6 및 8일차 각각 29.25, 34.82, 31.17, 26.27 및 18.51%로 발아 2일차에 가장 높았으며, 총 항산화력은 발아기간별로 각각 3.05, 3.17, 3.84, 2.43 및 2.167 mg AA eq/100 g으로 발아 4일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환원력 또한 발아 4일차에 1.2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암세포주 성장억제효과는 위암세포주(AGS) 보다 대장암세포주(HCT-116)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생리활성 증가를 위해서 벼를 발아시킬 경우3~4일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새로운 물질의 생성과 생리활성 성분들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음나무 잎 분말을 첨가한 쌀쿠키의 항산화 활성 및 품질 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added Kalopanax pictus Leaf Powder)

  • 이은지;진소연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72-680
    • /
    • 2015
  • 본 연구는 항산화능이 우수한 음나무 잎을 쌀쿠키에 첨가하여 대조군과 실험군 간 항산화 활성과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음나무 잎의 총 페놀 함량은 50.74 mg GAE/g, DPPH radical 소거활성 $IC_{50}$$41.09{\mu}g/mL$, 환원력은 1 mg/mL의 농도에서 흡광도 1.55로 음나무 잎의 우수한 항산화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쌀쿠키의 경우, 음나무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 퍼짐성, 팽창률, 색도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쌀쿠키의 항산화 활성 물질인 총 페놀 함량을 정량한 결과, 음나무 잎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페놀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쌀쿠키의 DPPH radical 소거능, 환원력 측정 결과, 음나무 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음나무 잎 분말을 3% 첨가한 쌀쿠키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5% 이상 첨가 시는 전반적인 기호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음나무 잎 분말을 첨가한 쌀쿠키는 대조군에 비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관능적으로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기능성과 기호도 측면을 모두 고려하였을 때 쌀쿠키에 3% 음나무 잎 분말 첨가는 기능성과 기호성을 갖춘 식품으로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참나무 목초액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과 일산화질소 합성 저해연구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and Inhibition of Nitric Oxide Synthesis of Oak Wood Vinegar)

  • 정일선;김유정;갈상완;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5-109
    • /
    • 2007
  • 참나무 목초액은 예로부터 농축산업에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항균 및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목초액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참나무 목초액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과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참나무 목초액의 항균활성은 식품 부패균 및 치주질환 원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는데 목초액 $50{\mu}l$ 첨가시 대부분의 식품부패균 및 치주질환 원인균의 생육이 현저히 저해되었다. 참나무 목초액의 항산화력은 DPPH법에서 $20{\mu}l$ 첨가시 95%의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으며 SOD유사활성은 $50{\mu}l$ 첨가시 65%의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참나무 목초액의 항염증효과는 세균의 LPS를 처리하여 유도된 RAW264.7 세포에서 조사되었는데 LPS를 처리하여 유도된 NO 활성을 현저히 감소(86%)시켰으며 이 농도에서 세포독성 없이 높은 면역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판 정유의 성분 분석과 다약제 내성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항산화 효능 평가 (Chemical Composition and in vitro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mmercially Available Essential Oils against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 유영월;이효정;김승;배민석;이미자;심정현;조승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66-27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시판 중인 정유의 화학적 구성, 항균 및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정유의 성분 분석은 GC-MS법을 이용하였다. 정유는 그람음성, 양성 및 다약제 내성균에 대하여 광범위한 항균 범위를 보여주었다. 정유 5종의 항균활성은 40개 병원성 세균에 대한 MIC로 측정하였다. Lemongrass와 manuka는 0.0625-0.5% (v/w), tea tree는 0.03125-1.0% (v/w), thyme 0.0625-1.0% (v/w) 및 ravensara는 1-4% (v/w)의 MIC 수치를 나타내었다. 정유의 항산화 활성은 환원력 및 DPPH법으로 평가하였다. 5종의 정유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DPPH free radical 저해 및 환원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thyme이 대조군인 ascorbic acid와 비교 시 가장 높은 항 산화능을 보였다. 5종의 정유 모두 고른 항균 및 항산화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중 thyme이 가장 높은 항균활성 및 항산화능을 가지고 있어 천연 항균 항산화제로써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본 연구진은 국내 시판중인 정유 5종의 성분분석,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처음으로 비교 분석하여 보고하였다.

곰취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of Ligularia fischeri)

  • 남호섭;정지욱;김도완;하효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34-841
    • /
    • 2017
  • 본 연구는 대표적인 산채지역으로 알려져 있는 영양군 곰취 열수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컬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사람 비만세포주인 HMC-1 세포를 이용하여 PMACI을 처리하여 비만세포를 활성화시켜 세포 생존률을 확인하였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alpha}$, IL-6, IL-8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곰취의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영양군 곰취 열수 추출물의 추출수율은 원물 건조량 대비 $24.43{\pm}1.82%$(w/w), 총 폴리페놀 함량은 $198.07{\pm}0.24mg/g$으로 다른 곰취 추출물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값을 나타내고, 영양군 곰취 열수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IC_{50}$ 값이 $28.2{\pm}0.04{\mu}g/mL$로 양성대조군인 ascorbic acid의 $IC_{50}$$3.5{\pm}0.01{\mu}g/mL$보다 낮은 항산화활성을 보였으나 일반 천연물 유래 추출물보다 비교적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영양군 곰취 열수 추출물을 HMC-1 세포에 처리했을 때 MTT assay법으로 분석한 결과, 세포 생존률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고, $TNF-{\alpha}$, IL-6, IL-8 생성에 대한 억제효과는 유의성 있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항산화력 및 세포를 이용한 in vitro 실험을 실시한 결과 영양군 곰취 열수 추출물은 항산화력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항염증효과도 뛰어나 향후 기능성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나 보다 다양하고 진보된 연구로 곰취의 염증성 질환 치료에 대한 정확한 기전이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