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할인점이미지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1초

부산지역 할인점의 점포이미지 관리전략 (Managing Store Images by Discount Retailers in Korea)

  • 구동모;강명주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4권
    • /
    • pp.145-169
    • /
    • 2004
  • 1997년부터 국내유통시장이 개방된 이래, 국내외의 국적소속으로 국내에서 영업활동을 하는 할인점들은 치열한 시장점유율 쟁탈전을 벌이고 있다. 이처럼 할인점간의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유통업계의 경영진과 이 분야를 연구하는 학자는 할인점에 대한 만족도와 충성도 등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와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망된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할인점의 점포이미지가 할인점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만족도 및 재방문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토하였다. 부산지역 소비자 416명 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할인점의 점포이미지는 할인점에 대한 태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만 할인점의 재방문의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할인점에 대한 태도는 할인점에 대한 만족도와는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고 할인점의 재방문의도에 보다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할인점에 대해 긍정적인 점포이미지를 가진 소비자일수록 할인점에 대해 만족할 가능성이 높고, 이런 만족도는 할인점의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에 따른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과 본 연구의 한계점 그리고 미래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대형할인점과 전통시장의 점포이미지가 고객만족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hip among Store's Image,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Discount Store and Open Air Market)

  • 백양;김원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7-168
    • /
    • 2012
  • 본 연구는 중국의 대형할인점과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점포이미지, 고객만족, 구매의도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이들 변수들 간의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 결과를 통하여 대형할인점과 전통시장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마케팅이론은 물론 실무적인 측면에서 할인점과 전통시장의 마케팅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대형 할인점의 점포 이미지가 패션 PB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s of Image of Discount Stores on Fashion Brand Equity)

  • 최은희;이승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4권4호
    • /
    • pp.647-656
    • /
    • 2006
  • A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an effect of discount stores image on brand equity of fashion brand. One hundred ninety-four women living in Seoul and its suburb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ANOVA were used for this study. As the results, first, discount stores image was classified into five factors such as convenience, service, store atmosphere, familarity, and easy use. Second, brand equity was divided into three factors such as brand loyalty, perceived quality and brand recognition. Generally, discount stores images were correlated with brand equity factor. Third, results revealed that service, easy use, convenience, and familarity were 32% of the explained variance in brand loyalty. Also, store atmosphere convenience, service, and easy use were 26% of the explained variance in perceived quality. Results revealed Store Atmosphere and easy use, and familarity were 21% of the explained variance in brand recognition. Based on these results, discount stores in private brand marketing strategies would be suggested.

  • PDF

대형할인점 PB제품 속성이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the PB Products attribute of the Large-sized Discount Stores on the Consumer Attitude and the Purchase Behavior)

  • 한동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51-60
    • /
    • 2015
  • 최근 대형할인점을 중심으로 PB제품의 매출액이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가격이 저렴하다는 이유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요즈음은 고가의 프리미엄 PB제품이 등장하면서 유통업체의 매출액이 급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PB제품의 어떤 속성이 PB제품의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첫째, PB제품의 속성요인으로 점포이미지, 지식 및 정보, 품질지각, 경제적 가치 등이 PB제품 경험 후의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둘째, PB제품의 경험 후 태도가 구매행동에는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소비자는 PB제품의 다양한 속성 중에서 점포이미지, 정보 및 지식, 경제적 가치 등이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PB제품 경험 후의 태도는 구매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할인점 의류매장의 서비스품질, 가격과 품질지각, 및 점포이미지가 점포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the Service Quality, Perceived Price and Product Quality, and Store Image on Store Loyalty)

  • 이옥희;김지수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1548-1558
    • /
    • 2008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service quality, product quality, and perceived price on store loyalty of the clothes shops at a large-scale discount store. The subjects were 357 female adults living in Suncheon City, Jeollanam Province. The questionnaires were conveniently sampled from June 1 to 30, 2006. The collected data were factor and reliability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And Regression was used to verifi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structs. Among the five hypotheses set in the research model, total four were select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and the rest one were rejected. The empirical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managerial implications. First, consumer' perceived service quality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tore image and store loyalty. Second, product quality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tore image. Third, store image has positively related with store loyalty. Fourth, perceived price ha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store loyalty. Finally, store image in large-scale discount store is 'sales people', 'VMD/atmosphere', and 'assortment' on forming the store image. Especially, 'assortment', 'oust and friendship', and 'symbol' have significantly related with store loyalty.

대형할인점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According to Lifestyle Types of Discount Store Consumers)

  • 선정희;유태순
    • 복식
    • /
    • 제53권6호
    • /
    • pp.75-86
    • /
    • 2003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consumers' use of information source, store imag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their lifestyle types. and to establish a strategy for marketing and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in order to response actively to the change of consumer behavior and to survive in this boundless competition. Out of the adult females who visited any discount store from October 3 to October 13. 2001. 300 women who would understand the purpose of the survey and respond it. were given with the questionnaire. Finally, 245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analyzed. The data were processed in factor analysis. group analysis. deviation analysis. Duncan. and cross analysis. with SPSS WIN 10.0.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Life style were categorized into 4 groups: social service pursuing group, fashion change pursuing group. convenience pursuing group, cultural life pursuing group. 2.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discount store consumers's use of information source about the cosmetics according to lifestyle types. 3.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discount store consumers's store image about the cosmetics according to lifestyle types. 4.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discount store consumers'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bout the cosmetics according to lifestyle types.

대형할인점의 의류점포 이미지 유사성 및 선호도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Image Similarity and the Preference for Clothing Stores in Giant Discount Chains)

  • 양리나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14
    • /
    • 2011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age similarity and the preference for clothing stores in the 6 giant discount chains in Daejeon. The survey for this study was based on the questionnaires accomplished by 257 people through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6 clothing stores had 4 image groups located in 4 coordinates. CW(Costco Wholesale), NH(Nonghyup Hanaro-Mart), and SZ(Save Zone) had a similar distinct image, while HP(Home Plus) and EM(E-Mart), and LM(Lotte-Malt) also had similar differentiated images. Secon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analysis in ter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 NH had the lowest preference from the people of all the different ages, while SZ had the highest. HP, EM, CW, and LM had their own preference in the following order: in the thirties, forties, and over fifties. Meanwhile, relatively, SZ is preferred by the people in their twenties and people over age fifty liked CW more.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preference for clothing stores in the giant discount chains in terms of educational background, clothing consumers who had high school degrees preferred NH and LM, people with 2 year college degrees liked HP and EM more, while 4-year college graduates and people with higher education had preference for SZ. Finally, according to the preference analysis in terms of income level, higher income groups preferred SZ and CW and lower income groups liked LH and LM more, while HP and EM had high preference from all kinds of income groups.

  • PDF

백화점 쇼핑경험 가치가 브랜드자산 및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Shopping Experience Values at Department Stores and Their Effects on the Brand Asset and the Store Loyalty)

  • 김준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151-162
    • /
    • 2014
  • 1990년대 중반 국내 유통시장 개방 이후 우리나라 소매업의 가장 큰 변화중의 하나는 외국계 할인점의 등장과 백화점의 급성장이라 할 수 있다. 할인점과 백화점은 우리나라 소매시장의 주류를 이루어온 재래시장이나 슈퍼마켓 중심으로 형성되어 온 유통산업구조 변화를 가지고 왔다. 소매업이 단순히 물건을 구매하는 장소개념에서 즐거움, 행복등 다양한 가치를 제공하는 공간으로 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론적 실증적 연구를 통해 백화점 쇼핑경험가치가 백화점 브랜드나 이미지에 그리고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특히 독립변수인 쇼핑 경험가치를 심미성, 유희성, 소비자이익, 서비스 우수성으로 구분하여 내생변수인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이미지와 최종변수인 점포충성도에 유의적인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국내에 거주하면서 백화점 이용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252명을 설문 조사하여, 235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은 SPSS 17.0K와 AMOS 17.0을 이용하여 공분산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쇼핑 경험가치중에서 소비자 이익을 제외한 변수에서 인지도와 이미지에 정의 영향관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점포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서 백화점 고객들은 단순히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서 백화점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즐거움과 행복이라는 가치를 얻기 위해서 백화점을 이용하고, 어떤 측면에서 이런 면들이 백화점 이미지나 인지도, 충성도에 더 큰 영향을 준다고 할 수가 있다.

고려점포군에 따른 소비자 세분화와 점포이미지 중요도에 관한 연구 (Consumer Segmentation based on Consideration Set of Stores and Importance of Store Image)

  • 김한나;이은영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2권2호
    • /
    • pp.79-102
    • /
    • 2007
  • 점포의 평가는 소비자의 마음속에 자리 잡고 있는 유사한 경쟁점포들 내에서 이루어지게 되며, 이렇게 "소비자가 특정 점포선택을 할 때 실제 고려하게 되는 점포들의 집합"을 고려점포군(考廬店鋪群; consideration set of stores)이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의류제품을 구매할 때 점포선택과정 중에 형성하는 고려점포군을 알아보고, 고려점포군과 점포이미지 중요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의류점포선택과정을 통해 형성된 고려점포군은 결과적으로 고려점포수와 고려하는 점포유형에 따라 다시 구체화될 수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소비자 유형화를 실시한 결과 '소수-가두점 고려집단', '소수-시장 고려집단', '소수-백화점 고려집단', '소수-백화점/아울렛 고려집단', '다수-백화점/시장 고려집단', '다수-백화점/가두점 고려집단', '다수-백화점 고려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유형화된 소비자 집단별 점포이미지 중요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예를 들면, 시장을 고려점포유형으로 포함하는 소수-시장 고려집단과 다수-백화점/시장 고려집단은 저렴한 가격을 중요한 점포이미지로 여겼으며, 소수-백화점 고려집단은 점포 마일리지 카드나 할인카드, 다수-백화점/가두점 고려집단은 주변 여가공간 요인을 중요한 점포이미지로 꼽아 집단별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들은 점포 운영자들이 자사 목표고객과 경쟁점포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쇼핑 경험가치 지각과 브랜드자산 및 점포충성도의 관계에 관한 비교 연구: 대형 할인점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Shopping Values, Brand Equity, and Store Loyalty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A Case of Large Discount Store)

  • 황순호;오종철;윤성준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209-237
    • /
    • 2012
  • 오늘날의 소비자들은 가격, 제품의 품질 등 실용적 가치 보다 쇼핑의 즐거움, 라이프스타일의 구현, 매력적인 점포쇼핑환경, 브랜드 애착심 등의 정서적 가치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이처럼 소비자들은 단순히 상품만을 구매하기보다는 다양한 가치를 얻기 위해 쇼핑을 한다는 사실은 여러 연구에서 제안되었다(안광호와 이하늘 2011; Mathwick 등 2001). 이렇듯 소매점포 선택과 관련한 소비자행동차원의 쇼핑경험가치와 브랜드자산에 대한 중요성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관련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며 이와 관련한 비교문화적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황순호 2010).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들의 소매점포 선택과 관련한 소비자행동연구의 필요에 의해 시작되었다. 또한 소비자행동분야에서 소비자 경험이 중시되면서 소매점내 쇼핑경험가치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서로 다른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대형할인점 소매점포에서 고객들이 지각하는 쇼핑 경험가치와 브랜드자산과의 관계를 밝혀내고 이를 통해 점포 충성도와의 관계를 찾아내어 소매점의 쇼핑 경험가치와 관련된 시사점을 찾아내기 위한 국가 간 비교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으로 쇼핑가치와 유통브랜드 자산, 그리고 점포 충성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한 자료 수집을 위하여 한국과 중국의 대형할인점 고객들을 대상으로 한국과 중국의 대도시 (서울 과 북경) 소비자들을 표본프레임으로 설정하고,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한중간 소비성향 차이 비교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소비자와 중국 소비자 간의 소비성향차이를 검정한 결과 중국 소비자들은 심미적 소비성향과 상징적 소비성향의 평균값이 한국 소비자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 소비자들은 쾌락적 소비성향이 중국소비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형할인점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브랜드 자산 지각에 대한 연구결과 중국에 비해 한국 소비자들이 브랜드 인지와 브랜드 이미지를 모두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과 중국에서 편의점과 할인점 이용 고객들이 지각하는 소매점에서의 쇼핑경험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각각의 국가에 따라 각기 다른 쇼핑경험가치가 나타났다. 한국의 할인점에서는 소비자이익 가치, 심미성가치, 유희성 가치가 중요한 쇼핑가치로 도출되었다. 또한 중국의 할인점에서는 유희성 가치, 심미성 가치, 소비자이익 가치, 서비스우수 가치가 중요한 쇼핑경험가치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과 중국의 대형할인점 소비자들의 쇼핑경험가치과 브랜드자산을 바탕으로 한국의 대형할인점에 있어서 경험가치의 이론적 중요성에 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여 주며 충성도 제고에 있어서 브랜드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여 준다. 이와 더불어 유통의 국제화 시대에 있어서 대형할인점의 국제화에 요구되는 한국과 중국 간의 고객 가치의 차이점에 대한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중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즉, 해외유통전략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쇼핑가치에 기반한 현지화 전략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여 주며 국가차원에서의 차별적 유통전략의 개발 필요성을 제안하여 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