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자

Search Result 438,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and Issue of the Japanese-Chinese Word 'Library' (화제한어 '도서관' 명칭의 변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Hee-Yoon Y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7 no.1
    • /
    • pp.23-44
    • /
    • 2023
  • The word library(図書館) is a Japanese translation of the Western library or Bibliothek in the mid-Meiji period. This word has been accepted in Chinese(图书馆), Taiwan(圖書館), Korea(도서관), and Vietnam(Dđồ thư quán), which are Chinese-speaking countries. If so, when and who first introduced the term library to Japan and China? In Japan, the enlightenment thinker Fukuzawa's 『Seiyo Jijo, 1866』 is regarded as the first document to introduce the Western library, and in China, the article published in 『Qing Yi Bao, 1896』 by the reformed thinker Liang Qichao referred to as the first example. Therefore, this study traced and demonstrated the time and person in which the word library appeared, focusing on modern dictionaries, books, translations, papers, and newspaper articles that were introduced in both countries. As a result, the theory of the introduction to Fukuzawa in 1866 is wrong because Western libraries are described in various terms in many diaries and dictionaries, including Motoki's 『An English Japanese Dictionary of the Spoken Language, 1814』. Also, in China, the theory of introduction of Liang Qichao in 1896 is not true because the term library first appeared in Ryu Jeong-dam's 『A Dictionary of Loan Words and Hybrid Words in Chinese, 1884』. In the same context, it is necessary to trace and argue the history of the first use of the term library in Korea and the name of the first library in Korea established by the Busan Branch of the Japan Hongdo Association in 1901.

CKFont2: An Improved Few-Shot Hangul Font Generation Model Based on Hangul Composability (CKFont2: 한글 구성요소를 이용한 개선된 퓨샷 한글 폰트 생성 모델)

  • Jangkyoung, Park;Ammar, Ul Hassan;Jaeyoung, Choi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11 no.12
    • /
    • pp.499-508
    • /
    • 2022
  • A lot of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n the Hangeul generation model using deep learning, and recently, research is being carried out how to minimize the number of characters input to generate one set of Hangul (Few-Shot Learn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CKFont2 model using only 14 letters by analyzing and improving the CKFont (hereafter CKFont1) model using 28 letters. The CKFont2 model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CKFont1 model as a model that generates all Hangul using only 14 characters including 24 components (14 consonants and 10 vowels), where the CKFont1 model generates all Hangul by extracting 51 Hangul components from 28 characters. It uses the minimum number of characters for currently known models. From the basic consonants/vowels of Hangul, 27 components such as 5 double consonants, 11/11 compound consonants/vowels respectively are learned by deep learning and generated, and the generated 27 components are combined with 24 basic consonants/vowels. All Hangul characters are automatically generated from the combined 51 components. The superiority of the performance was verified by comparative analysis with results of the zi2zi, CKFont1, and MX-Font model. It is an efficient and effective model that has a simple structure and saves time and resources, and can be extended to Chinese, Thai, and Japanese.

The True Identity and Name Change of Jajak-mok, the Wood Species for Woodblock Printing in the Joseon Dynasty (조선시대 목판재료 자작목(自作木)의 실체와 명칭 변화)

  • LEE Uncheo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6 no.2
    • /
    • pp.206-220
    • /
    • 2023
  • In the royal publishing process of the Joseon Dynasty, the main species of wood used for woodblock printing was recorded as Jajak-mok. Although the name Jajak-mok may suggest Jajak-namu(white birch), it is presumed to refer to a different type of wood than Jajak-namu based on its recorded habitat and usage in historical document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at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term Jajak-mok referred to Geojesu-namu (Korean birch), while Jajak-namu was called Hwa-mok(樺木). Additionally, this paper explores how the term Jajakmok eventually became the name of white birch, Jajak-namu, used today. In the mid-18th century, Japan used the character 樺(hwa) to refer to Beot-namu(Sargent cherry). As Japanese encyclopedias entered Joseon, the term Hwa-mok began to refer to both Beot-namu and Jajak-namu, which is also called Bot-namu. Since the pronunciation of Boet-namu and Bot-namu are similar, the two trees were eventually unified under the name Boet-namu. In the 20th century, the official names of three trees were established. According to notifications issu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Commerce of the Korean Empire in 1910 and the Governor-General of Chosen in 1912, Hwa-mok(white birch) was renamed asJajak-namu. In 1968, Beot-namu(Sargent cherry) retained its original name, and Jajak-mok(Korean birch) was remained . In modern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the meaning of 樺(hwa) is listed as "1. Beot-namu(Sargent cherry), 2. Jajak-namu(white birch)." From this, we can infer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which the names of these three trees were mixed up.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translation service system for Korean astronomical classics by artificial intelligence - Focused on system analysis and design step (천문 고문헌 특화 인공지능 자동번역 서비스 시스템 개발 연구 -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 및 설계 위주)

  • Seo, Yoon Kyung;Kim, Sang Hyuk;Ahn, Young Sook;Choi, Go-Eun;Choi, Young Sil;Baik, Hangi;Sun, Bo Min;Kim, Hyun Jin;Lee, Sahng Wo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4 no.2
    • /
    • pp.62.2-62.2
    • /
    • 2019
  • 한국의 고천문 자료는 삼국시대 이후 근대 조선까지 다수가 존재하여 세계적으로 드문 기록 문화를 보유하고 있으나, 한문 번역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아 학술적 활용이 활발하지 못한 상태이다. 고문헌의 한문 문장 번역은 전문인력의 수작업에 의존하는 만큼 소요 시간이 길기에 투자대비 효율성이 떨어지는 편이다. 이에 최근 여러 분야에서 응용되는 인공지능의 적용을 대안으로 삼을 수 있으며, 초벌 번역 수준일지라도 자동번역기의 개발은 유용한 학술도구가 될 수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주관하는 2019년도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반 공공서비스 촉진사업에 한국고전번역원과 공동 참여하여 인공신경망 기계학습이 적용된 고문헌 자동번역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고천문 도메인에 특화된 인공지능 기계학습 기법으로 자동번역모델을 개발하여 이를 서비스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크게 4가지 개발을 진행하는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인공지능의 학습 데이터에 해당되는 '코퍼스'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고문헌의 한자 원문과 한글 번역문이 쌍을 이루도록 만들어 줌으로써 학습에 최적화한 데이터를 최소 6만 개 이상 추출하는 것이다. 둘째, 추출된 학습 데이터 코퍼스를 다양한 인공지능 기계학습 기법에 적용하여 천문 분야 특수고전 도메인에 특화된 자동번역 모델을 생성하는 것이다. 셋째, 클라우드 기반에서 참여 기관별로 소장한 고문헌을 자동 번역 모델에 기반하여 도메인 특화된 모델로 도출 및 활용할 수 있는 대기관 서비스 플랫폼 구축이다. 넷째, 개발된 자동 번역기의 대국민 개방을 위해 웹과 모바일 메신저를 통해 자동 번역 서비스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구축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과 정의를 바탕으로 설계가 진행 또는 일부 완료되어 구현 중에 있다. 추후 이 연구의 성능 평가는 자동번역모델 평가와 응용시스템 시험으로 나누어 진행된다. 자동번역모델은 평가용 테스트셋에 의한 자동 평가와 전문가에 의한 휴먼 평가에 따라 모델의 품질을 수치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응용시스템 시험은 소프트웨어 방법론의 개발 단계별 테스트를 적용한다. 이 연구를 통해 고천문 분야가 인공지능 자동번역 확산 플랫폼 시범의 첫 케이스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즉, 클라우드 기반으로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초기 비용을 투자하여 활용성이 높은 한문 문장 자동 번역기라는 연구 인프라를 확보하는 첫 적용 학문 분야이다. 향후 이를 활용한 고천문 분야 학술 활동이 더욱 활발해질 것을 기대해 볼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Purpose and Method of the Reading on the Reading Theory in the Cho-seon Dynasty (조선시대 독서론에서의 독서 목적과 방법에 관한 연구)

  • Byoungmoon S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7 no.2
    • /
    • pp.31-50
    • /
    • 2023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urpose and method of reading by examining relevant research from various academic fields. According to the reading theory in the Cho-seon Dynasty, reading was classified as either a way of gaining fame, becoming a gentle man, or solving problems. However, this views have been largely replaced by the belief that reading serves two main purposes: self-discipline and practical usage in this study (Confucian perspectives have been excluded from this approach). The traditional reading method, known as sukookdok-jeongsa, influenced by Chu-tzu's reading, emphasized a fluent reading and a deep reading. A fluent reading (sukookdok) method involved a reading aloud, memorizing, and a repeated reading for the literal decoding. After decoding, a deep reading (jeongsa) involved a reading while taking notes, a reading with reference and a repeated reading for the optimal comprehension. A fluent reading in the traditional reading theory is succeeded by 'a reading for liberal arts' and a deep reading is succeeded by 'a reading for learning'. The sukookdok-jeongsa's various reading methods are useful enough to apply to reading education in the school library. But 'a reading for fun' did not appear in the traditional reading theory.

A Study of the New Chinese Words Under the Influence of Culture Content (문화 콘텐츠 영향의 신조 중국어 고찰)

  • Meng, Xiang-Shan;Lee, Kwang-Ho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3 no.8
    • /
    • pp.131-142
    • /
    • 2019
  • This paper is intended to examine and analyze the new Chinese words as the result of culture content.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has created a Korean wave around the world. Through this, many Korean words, Internet vocabulary, and cultural concepts have begun to enter China. Among them, there are many new words that have appeared on the Chinese Internet due to the culture content. As the number of Korean fans and Korean learners increases, new words on the Internet are widely used. The new Chinese words, which are influenced by Korean cultural content, are considered an important part of new Chinese vocabulary. To accurately recognize and understand this, first of all six categories of the new Chinese words were analyzed, which were figurative meaning, substitution, loan of foreign words, abbreviation, compound word, derivation. This formulation also works on the Chinese words with the influence of cultural content. There are three types of the Internet new words form Korean cultural. Which were new words in Chinese characters, new words in alphabets, extended meanings. And had analyzed new words through the acquisition of new meanings. Also took specific news titles and songs according to each category. Through new Chinese words, The influence of cultural content had been confirmed. It is expected that these new Chinese words enrich Chinese vocabulary, also help to facilitate communication. And these new Chinese words are often used in public media or in everyday life. We should recognize the existence of these new Chinese words, and have an accurate perception of them.

Artificial Cultiv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ive Mushroom Pycnoporus coccineus (한국산 간버섯의 인공재배 및 항산화 활성 평가)

  • Lee, Y.K.;Kim, M.K.;Yun, B.S.;Seo, G.S.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e & Fisheries Research
    • /
    • v.21 no.2
    • /
    • pp.35-47
    • /
    • 2019
  • The mycelial growth of P. coccineus strain was good in PDA and YMA, but mycelial growth was low in MEA. Light irradiation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affected the pigment formation and density of mycelia. Mushroom of P. coccineus strain was able to produce fruiting bodies in both bottle and bag cultivation, and oak sawdust was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substrate for spawn culture and cultivation. In artificial cultivation using sawdust medium, fruiting body was grown to the extent that visual observation was possible from the 15th day, and it formed about 5 days fast in the treatment group with low relative humidity. From 40 to 45 days of mushroom development, mature fruiting bodies could be harvested, and the lower relative humidity of the growing room favored mushroom development and growth. Antioxidant activity of fruiting bodies harvested from artificial cultivation showed that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ottle-cultivated and wild fruit bodies were shown at 505㎍/㎖ and 515㎍/㎖, respectively. However, fruiting bodies harvested in bag cultivation were high at 910㎍/㎖. As a result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l extracts were found to be inactive, exhibiting IC50 value of more than 2,000㎍/㎖ concentration. The ethyl acetate extract of mushrooms obtained from bottle cultivation showed the highest activity with 1,550㎍/㎖ IC50 value. Methanol extract of wild fruit bodies had the highest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the same concentration (10mg/㎖).

The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Non-Spiny Safflowers according to Sowing Time (잇꽃 무가시형 유전자원의 파종시기에 따른 개화특성)

  • Jung-Seob Moon;Myeong-Suk Kim;Hee-Kyung Song;Seung-Yoon Lee;Dong-Ch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81-81
    • /
    • 2022
  • 잇꽃(Carthamus tinctorius L.)은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 초본 식물로 한자명은 홍화(紅花), 영명으로는 Safflower를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잇꽃 재배는 2010년 39ha 수준이 재배되다가 2014년에는 76ha까지 확대되었으나,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0년에는 52ha가 재배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잇꽃은 종자를 약용으로 이용하거나 꽃잎을 건조하여 천연 염색제 및 향신료로 이용하고 있으나, 일본 산형(山形)현에서는 잇꽃의 경관적 가치를 이용해 홍화 축제를 개최함으로써 소득작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리산을 중심으로 한 준고랭지 지역에서 잇꽃의 경관적 가치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국립농업유전자원센터로부터 총포에 가시가 없는 무가시형 유전자원(IT323225, IT333473, IT333482)을 분양받아 가시가 있는 재배종과 파종시기별로 개화 특성 등을 비교하였다. 표고 500m 준고랭지의 비가림 하우스에서 3월 하순부터 6월 상순까지 파종시별로 출현율을 검토한 결과, IT 323225 자원은 관행의 3월 하순 파종에서도 40.5%의 낮은 출현율을 보였다. 3월 하순 파종에서 재배종은 6월 22일경에 개화기에 도달하였으나, 무가시형 유전자원들은 7월 2일~5일경에 개화기에 도달하여 만생종의 특성을 보였다. 파종시기를 늦춰 5월 하순에 피종하는 경우 무가시형 자원들은 7월 27일~29일경에 개화기에 도달하였으며, 개화기 전후의 개화 지속기간은 8~10일이 소요되어 3월 하순에 파종하여 7월 상순에 개화하는 경우보다 2~4일이 단축되는 경향이었다. IT333473 자원의 개화기 초장은 5월 하순 파종하는 경우 관행의 3월 하순 파종보다 43.6%가 즐어든 71.1cm를 보였고, 분지수는 41.6% 감소한 8.0개/주 수준을 보였다. 식물체당 착화수 또한 파종시기를 늦춤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화당 종자수는 IT323225 자원은 5월 중순과 하순 파종시에 증가하는 양상이었고 IT333473 자원과 IT333482 자원은 재배종과 같이 감소하였다. 하계 휴양지로 각광받고 있는 지리산권에서 무가시형 잇꽃 자원의 경관적 가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파종시기를 5월 하순으로 늦추는 경우 성수기인 7월 하순과 8월 상순에 개화가 가능하였다. 또한 식물체의 초장이 71.1~83.6cm 수준으로 단축되어 경관 조성에 유리한 특성을 보였다.

  • PDF

The Qualities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Safflower Vegetables according to Cultivation Type and Sowing Time in Autumn (잇꽃 나물의 추파 재배양식 및 파종시기에 따른 생육 및 품질 특성)

  • Jung-Seob Moon;Gue-Saeng Yeom;Song-Hee Ahn;Dong-Ch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1.04a
    • /
    • pp.41-41
    • /
    • 2021
  • 잇꽃(Carthamus tinctorius L.)은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 초본 식물로 한자명은 홍화(紅花), 영명으로는 Safflower를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잇꽃 재배는 2010년 39ha 수준이 재배되다가 2014년에는 76ha까지 확대되었으나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8년에는 55ha가 재배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주산지는 전라남도와 경상북도로 알려져 있다. 잇꽃은 종실을 주로 한약재 원료로 사용해왔으나, 잇꽃의 어린 순을 나물용으로 생산하기 위한 재배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준고랭지에서 잇꽃 나물을 생산하기 위한 재배 양식과 파종시기별 수량성 및 품질 차이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준고랭지에서의 가을 재배에서 파종 후 80%가 출현하기까지의 출현 소요일수는 5~7일로 나타났으며, 재배유형별 수확 도달일수는 시설 재배 9월 29일 파종이 29일로 가장 짧았고 노지 재배에서는 8월 25일 파종이 42일로 가장 길었다. 파종시기별 수확기까지의 유효적산온도는 시설 하우스에서 9월 29일 파종 후 10월 28일 수확하는 작형에서 634.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재배 유형별 생육량을 조사한 결과 엽수 및 엽면적은 노지 재배 8월 25일 파종 작형에서 높았고 노지 9월 21일 파종 후 10월 8일 터널을 설치하는 작형에서는 경태 및 엽면적이 4.6mm, 26.2mm2로 유의하게 작은 경향을 나타냈다. 재배 유형별 건조수율은 13.8~15.1% 범위로 파종시기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당도에서는 노지재배 9월 9일 파종과 9월 21일 파종에서 7.1°Bx, 7.0°Bx로 유의하게 높았고 시설 재배 9월 29일 파종에서 3.1°Bx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단위 면적당 생체 수량에서는 노지재배 8월 25일 파종에서 2,223.9kg/10a으로 가장 높았으며, 건조수율로 환산한 건물 수량에서도 노지 8월 25일 파종 작형에서 335.8kg/10a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노지 재배의 파종시기별 비타민 A 함량은 9월 21일 파종에서 23.3mg/100g으로 높았으며, 비타민 E 함량 또한 25.1mg/100g으로 높은 양상을 보였다.

  • PDF

Effect of Shading Condition to Fatty Acid Composition of Seeds in Safflower (잇꽃 종자의 지방산 조성에 대한 차광조건의 영향)

  • Jung-Seob Moon;Gue-Saeng Yeom;Song-Hee, Ahn;Se-Hyun Ki;Dong-Chun Ju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65-65
    • /
    • 2020
  • 우리나라의 잇꽃 재배는 2010년 39ha 수준이 재배되다가 2014년에는 76ha 까지 확대되었으나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8년에는 55ha가 재배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주산지는 전라남도와 경상북도로 알려져 있다. 잇꽃(Carthamus tinctorius L.)은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 초본 식물로 한자명은 홍화(紅花), 영명으로는 Safflower를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잇꽃 이용은 잇꽃 종실을 위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일본의 경우 잇꽃의 경관적 가치를 활용하여 산형현(山形縣)에서는 홍화축제가 매년 개최되고 있으며, 미국 등에서는 잇꽃의 저온 압착유가 기능성 건강식품류로 판매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차광 조건에 따른 잇꽃의 개화특성 및 종자의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여 일조시수가 짧은 준고랭지에서 잇꽃의 적응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차광조건별로 개화기의 엽면적을 조사한 결과 30% 차광조건에서 9041.0mm2로 무차광에 비해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고 50% 이상의 차광에서는 유의하게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식물체의 초장은 50% 차광에서 낮아지는 양상이었으며, 주경의 착엽수는 30%와 70% 차광조건에서 18.3매/주 이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화서별 착화수에서는 1차 화경 및 2차 화경 모두에서 30% 차광조건에서 착화수가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70% 차광조건에서는 2차화경 착화수가 유의하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차광 조건별로 잇꽃의 개화단계를 비교한 결과 동일한 조사시기에 무차광에서는 개화 3단계의 만개기까지 도달한 비율이 51.6%로 높았으나 50% 이상 차광에서는 11.1%로 낮아 개화가 지연되는 결과를 보였다. 차광조건에 따른 종자의 100립중은 무차광에서 4.9g의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차광 비율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양상이었고 단윔녀적당 종자 수량에서도 무차광이 201.1kg/10a를 보인 반면70% 차광에서는 86.6kg/10a의 낮은 수량을 보였다. 잇꽃 종자의지방산 조성에서 조지방 함량은 18.1~18.6% 범위로 차광조건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palmitic acid의 함량은 무차광에서 5.35%로 높았으나, oleic acid의 함량은 30% 차광조건에서 10.2%로 무차광에 비해 높아지는 양상을 나타냈으며 linoleic acid는 50% 차광조건에서 83.6%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