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자어(漢字語)

Search Result 2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Hanja word processing on Hangul disyllabic characteristics (한글의 음절특성에 따른 한자어 정보처리)

  • 이재욱;남기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125-130
    • /
    • 2002
  • 우리의 언어생활을 비추어 볼 때 한자어 정보처리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고유어 언구에 비해 소흘해 다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단일 한자어를 구성하는 각 음절이 단어의 재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점화과제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본 실험은 기존의 한자어 연구에 빈도특성과 고유어와 외래어의 글자특성까지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실험1의 어휘판단관제에서는 고유어와 한자어의 양상이 비슷하며 외래어는 다른 처리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고유어와 한자어는 빈도에 따라 영향을 받지만 외래어는 빈도의 영향에 변함없이 일정하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한국인은 고유어와 한자어를 동일한 양상으로 처리하며 이런 이유는 외래어의 한국어와는 다른 음운규칙이나 음절규칙의 영향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실험 2에서는 한자어 형태소와 의미적으로 유사한 조건(강도-강력)과 철자적 유사 조건(강도-강변), 고유어 유사 조건(강도-강정)조건을 점화과제를 이용하여 어휘판단을 하게 하였다. 실험 결과 모든 조건이 통제조건에 비하여 빠르게 나왔다. 그리고 의미적 유사 조건이 촉진적 점화효과를 일으키고, 철자적 유사조건은 억제 효과를 일으켰으며 고유어는 특이하게도 판단시간이 빠르게 나와 한자어와는 다른 처리과정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결과는 지연조건에서도 동일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런 결과는 한자어는 어휘접근 이후에도 실험의 과제 특성상 한자어 형태소는 단어 수준 아래 위치하기는 힘든 반면, 고유어는 단어 수준 아래에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결국 한자어와 고유어는 기본적으로 외래어와 다른 처리를 보이면 한자어와 고유어 내에서도 한자어는 단어접근 전에 의미접근의 단계를 거쳐야 하지만 고유어는 각 음절이 형태소가 아니기 때문에 바로 어휘에 접근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ulic geometry and sediment transport has been applied to: (1) gravel-bed transport measurements in a cobble-bed stream at Little Granite Creek, Wyoming; (2) sand and gravel transport by size fraction in the sharp meander bends of Fall River, Colorado; (3) changes in sand dune geometry and resistance to flow during major floods of the Rhine River in the Netherlands; (4) changes in hydraulic geometry of the Rio Grande downstream of Cochiti Dam, New Mexico; and (5)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and the Coriolis force on flow velocity and sediment transport of the Lower Mississippi River in Louisiana. Recent developments also include two textbooks on "Erosion and Sedimentation" and "River Mechanics" by the author and state-of-the-art papers in the ASCE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rk on is diversified, the importance of skills are diversified in each field of jobs.

  • PDF

Processing of Orthography and Phonology in Reading Sino-Korean Words (한자어의 표기정보와 음운정보 처리)

  • Yi, Kwang-Oh;Bae, Sung-Bong;Nam, Ki-Ch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5.10a
    • /
    • pp.63-72
    • /
    • 2005
  • 한자어의 처리에서 나타나는 표기중복의 효과가 표기 처리에 기인한 것인지 음운 처리에 기인한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두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점화어-표적어의 관계를 표기불일치(음운일치), 음운불일치(표기일치), 음운-표기일치, 무 관련의 네 가지로 조작하였다 또한, 음운규칙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유음화, 비음화, 연음화의 세 가지 규칙이 자극의 구성에 이용되었다. 점화어의 제시방식은 차폐점화와 SOA 200ms의 두 가지가 사용되었다. 음변화의 종류 및 점화어 제시방식에 관계없이, 음운불일치조건에서의 반응 양상이 음운-표기일치조건에서의 반응 양상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표기중복의 효과가 음운처리에 의한 것이 아님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실험 1에서는 표적어에 음변화 규칙이 적용되었으나 실험 2에서는 점화어에 음변화 규칙이 적용되었다. 실험 2의 결과, 음운 불일치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표기불일치의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실험 1과 2의 결과는 한자어 처리에서 음운정보가 아니라 표기정보의 우선성을 지지하였다.

  • PDF

Proposed Methodology for Building Korean Machine Translation Data sets Considering Phonetic Features (단어의 음성학적 특징을 이용한 한국어 기계 번역 데이터 세트 구축 방안)

  • Zhang Qinghao;Yang Hongjian;Serin Kim;Hyuk-Chul Kw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592-595
    • /
    • 2022
  • 한국어에서 한자어와 외래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다. 일상어의 경우 한자어와 외래어의 비중이 약 53%, 전문어의 경우 약 92%에 달한다. 한자어나 외래어는 중국이나 다른 나라로부터 영향을 받아 한국에서 쓰이는 단어들이다.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한자어와 외래어의 한글 표기과 원어 표기를 발음해보면, 발음이 상당히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자어인 도서관(图书馆)을 중국어로 발음해보면 thu.ʂu.kwan'로 해당 단어에 대한 한국 사람의 발음과 상당히 유사하다. 본 논문에서는 Source Length, Source IPA Length, Target Length, Target IPA Length, IPA Distance 등 총 5가지의 음성학적 특징을 고려한 한국어-중국어 한국어-영어 단어 기계번역 데이터 세트를 구축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native korean terminology in elementary mathematics (우리나라 초등학교 고유어 수학 용어의 변천에 대한 연구)

  • Park, Kyo Sik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21 no.2
    • /
    • pp.291-308
    • /
    • 2017
  • In 1946, many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are coined newly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USAMGIK(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through referring to the opinions of various circles. In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created at the time, many of them are coined, either by using native korean words corresponding to the meaning of chines characters, or by abbreviating newly coined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However, in less than 20 years, about half of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made in 1946~1947 has been went back to chines character mathematical terms, and most of those chines character mathematical terms has been used up to now from then. Although,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the discomfort of chinese characters mathematical terms is pointed out and it is claimed that the use of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is helpful, it is not everything to hurry to use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Attempts to convert chinese characters mathematical terms into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should be prudent. When a certain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 is used, if it must be used only because it is a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 then the term has no choice but to fail.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following three implications as conclusions for the successful use of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in this viewpoint. First, attempts to coin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should be continued. Secon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survival power of well-preserved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Thir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failure factors of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which does not survive today.

  • PDF

An Experimental Approach of Keyword Extraction in Korean-Chinese Text (국한문 혼용 텍스트 색인어 추출기법 연구 『시사총보』를 중심으로)

  • Jeong, Yoo Kyung;Ban, Jae-y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6 no.4
    • /
    • pp.7-19
    • /
    • 2019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chnique for keyword extraction in Korean-Chinese text in the modern period. We considered a Korean morphological analyzer and a particle in classical Chinese as a possible method for this study. We applied our method to the journal "Sisachongbo," employing proper-noun dictionaries and a list of stop words to extract index terms. The results show that our system achieved better performance than a Chinese morphological analyzer in terms of recall and precision. This study is the first research to develop an automatic indexing system in the traditional Korean-Chinese mixed text.

Effects of orthographic and morphological frequency of a syllable in Korean word recognition (한국어 음절의 표기빈도와 형태소빈도가 단어인지에 미치는 효과)

  • Yi, Kwang-Oh;Bae, Sung-Bong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0 no.3
    • /
    • pp.309-333
    • /
    • 2009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ole of Kulja and morpheme in processing two-syllable Sino-Korean words. In Experiment 1, the effects of morphemic frequency were not significant at the initial and final positions of a word while Kulja frequency and Kulja-morpheme correspondence at both positions in a word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ocessing of nonwords. Lexical decision times were longer for nonwords with high frequency Kulja and for nonwords with ambiguous Kulja-morpheme correspondence whose Kulja can go with many different morphemes. In Experiment 2 Kulja-morpheme correspondence was examined for words as well as nonwords. Lexical decisions were slower for stimuli with ambiguous Kulja-morpheme correspondence. The effect was more stable for nonwords, which replicated the result of Experiment 1. In su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words with ambiguous Kulja-morpheme correspondence activate many different morphemes and competition among these morphemic candidates slows down the lexical selection process. Kulja frequency, Kulja neighborhood, morphemic frequency, morphological neighborhood, and Kulja-morpheme correspondence in Korean word recognition were also discussed.

  • PDF

Analysis of the error types made by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use of dual numerals (이중 수사(數詞) 사용에서 나타나는 한국어학습자의 오류 유형 분석)

  • Do, Joow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38 no.2
    • /
    • pp.145-165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errors made by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use of dual numerals and provides basic data for developing an effective teaching numeration using dual numerals. To this e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ypes of errors that appear in numeration using dual numerals targeting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diverse linguistic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different academic achievements in Korean and mathematics. Error types that categorized errors made by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used as an analysis framework.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use them frequently so that they can become familiar with the use of native language numerals, which often causes errors. Second, when teaching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low-level Korean language academic achievement how to use Chinese numeral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multiplicative numeral system of Chinese numerals. Third, it is necessary to teach children to accurately read foreign word classifiers used with Chinese numerals accurately in Korean and distinguish between the classifiers 'o'clock' and 'hours'. There is a need to provide guidance so that native language/Chinese numerals can be used appropriately in succession along with Chinese classifi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teaching numeration using dual numeral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diverse linguistic and cultural backgrounds.

A Study on Conventional Expression of Hangul Ganchal (한글 간찰(簡札)의 상투적(常套的) 표현(表現) 고찰(考察))

  • Jeon, Byeong-yong
    • (The)Study of the Eastern Classic
    • /
    • no.37
    • /
    • pp.279-306
    • /
    • 2009
  • This study is purposed to observe conventional expression of Hangul Ganchal. The conventional expression of Hangeul Ganchal had set a pattern from 16th century to 17the century after establishing its regular form. It is mainly found in the introduction and the conclusion of the letters. Especially, they are concretely shown at an address form and greeting in the former, a farewell and the close in the latter. Generally, a native tongue was often used in address form at Suncheon Kim's Eongan in 16th century and Hyun-Poong Kwak's Eongan in 17th century. However, a Chinese character was commonly found in the introduction at Jingbo-Eongan-Dok in 19th century. Specifically, in case of response, the conventional expression of 'read your letter' was added in greeting part. In Suneon of 16th century, this type was gradually established to the form, and in Hyuneon of 17th century, a native tongue set a pattern. However, Jingeon of 19th century, a Chinese character was mainly used instead of a native tongue. The changing form of farewell and the close showed similar pattern as the aspect of greeting form. They seemed to be more simple and repetitive in Hyuneon compared with the form of Suneon. Furthermore, a Chinese character was dominated in the conclusion of letters in Jingeon. Consequently, the paper examined the two types of letter between Hangul letters and Chinese character letters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It is expected that more details research will be coped with next study.

A Korean Morphological Analyzer CBKMA and A Index Word Extractor CBKMA/IX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 CBKMA와 색인어 추출기 CBKMA/IX)

  • Kim, Nam-Churl;Seo, Young-Ho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d
    • /
    • pp.50-59
    • /
    • 1999
  • 본 논문은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 CBKMA와 이 CBKMA를 이용한 색인어 추출기 CBKMA/IX를 소개하고, 각각의 특징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CBKMA는 음절 정보를 이용하는 분석 알고리즘과, 효율적인 사전구성을 이용한 형태소 분석기로서, 과다한 분석 후보의 생성을 줄임으로써 처리 속도를 향상시켰다. 수행시 필요로 하는 컴퓨터 자원은 Main Memory 약 4Mb정도로, 작은 규모의 시스템에서도 수행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CBKMA/IX는 CBKMA의 형태소 분석 기능을 이용하는 색인어 자동 추출기로서, 처리 속도 향상을 위하여 대분류 수준의 품사 태그만을 이용한다. 또한 CBKMA의 분석 기능에 색인어 추출을 위해 불용어 사전, 사용자 키워드 사전 처리 부분과, 복합명사와 미등록어 분석 부분 및 한자어, 일본어 등에 대한 처리를 강화시켰다. 특히 비소설류 자료의 분석시 좋은 성능을 발휘한다.

  • PDF

A Study on the Arabic numeral reading rules in Modern Korean (현대 한국어에서 아라비안 숫자의 읽기 규칙 연구)

  • Jung, Young-Im;Kim, Jeong-Se;Kim, Sang-Hoon;Lee, Young-Jik;Yoon, Ae-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2.10e
    • /
    • pp.16-23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아라비안 숫자를 포함한 텍스트를 음성으로 합성하기 위하여, 숫자 형태와 분류사 그리고 숫자가 나오는 문맥에 따라 숫자를 자동으로 문자화할 수 있는 전처리 규칙을 설정하는데 목적을 둔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숫자를 포함한 수사 및 수사표현의 읽기 규칙의 적용 범위 및 한계점을 살펴보고, 음성 합성을 위한 아라비안 숫자의 문자화 규칙을 설정하고자 한다. 현대 한국어에서 아라비안 숫자를 읽는 방식은 크게 고유어 방식과 한자어 방식이 있으며 단(單)단위에서는 영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한자어 방식에서도 단위를 붙여 읽는 경우와 모든 수를 단 단위로 읽는 경우가 있으므로, 아라비안 숫자의 문자화를 단순한 규칙을 설정하여 자동화하기에는 중의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1) 숫자 전 전치어(pre-numeral), (2) 기호를 포함한 숫자열의 표현 형식과 크기, (3) 단위 표현, (4) 숫자 후치어(post-numeral), (5) 분류사(classifier) (6) 분류사 후치어(post-classifier), (7) 수사표현 앞뒤 문맥에 따라, 아라비안 숫자표현이 문자화되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분석 대상 말뭉치는 C 신문의 2000년 1월부터 2000년 4월까지 전체 기사 1,400건에서 숫자가 포함된 숫자표현 약 63,000개론 구성하였다. 패턴화된 구조 및 중의성이 없는 구조를 12가지로 밝히고 중의성이 있는 구조의 유형을 밝혔으며 분류사 후치어와의 결합 관계, 좌우 문맥정보를 통해 중의성 해결의 단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