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자(漢字)

Search Result 440, Processing Time 0.114 seconds

한(韓)·중(中) 상용한자(常用漢字)를 활용한 '한자(漢字)·한어(漢語) 교학방안(敎學方案)' 연구 - 성어(成語) '교학상장(敎學相長)'을 대상으로 -

  • 여병창
    • 중국학논총
    • /
    • 제65호
    • /
    • pp.61-82
    • /
    • 2020
  • 本文是筆者繼<"漢字·漢語"教學方案試探>後的第二個研究。通過對包括四字成語'教學相長'各漢字和各漢字在內的相關詞彙的分析及韓中比較, 摸索出在'漢字·漢語'教學中的活用方案。本文的研究成果大致可歸納爲以下兩方面的教學方案 : 首先是通過對教, 學, 相, 長各漢字形·音·義分析的漢字教學方案。第一, 通過對各漢字的字形分析, 提出了運用漢字繪畫特性及對制字原理的理解的漢字書刊教學方案。第二, 通過對各漢字的韓中語音比較分析, 利用漢字的韓語發音和現代漢語普通話發音之間的關系及相關音變規律, 進行現代漢語漢字的語音教學。第三, 通過對各漢字的本義及引申義等意義分析, 提出了可以打好漢語詞彙學習基礎的漢字字義教學方案。下面是基於常用詞彙形·音·義分析的漢語詞彙教學方案, 包括教, 學, 相, 長各字的, 同時以"新HSK詞彙大綱"所提出的漢語詞彙爲標准, 對相應的韓國漢字詞進行了比較分析, 並作成'比較分析表'。在此基礎上, 進一步探索和提出漢語詞彙教學方案的必要性和可能性。 以上結果以後將不斷修改和完善, 最終通過連作研究, 將積累的成果彙編成利用"漢字·漢語"教學方案的漢語教材。

한자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를 위한 한자쓰기인식기능개발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 Writing Recognition For Chinese Character Edutainment Contents)

  • 박화진;민소영;이하나;박영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529-536
    • /
    • 2009
  • 한자교육의 중요성이 증폭되어가고 있는 가운데 한자 에듀테인먼트콘텐츠제작의 관심도가 높아가고 있다. 최근엔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수동적 교육에서 탈피하여 게임과 더불어 체험을 하며 배우는 교육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런 사회적 필요성에 의해 멀티미디어기능을 충분히 활용하여 웹기반의 어린이를 위한 한자에듀테인먼트 콘텐츠를 제작한다. 특히 한자를 익히는데 있어서 쓰기교육이 중요하므로 획순에 따른 한자쓰기인식기능을 개발하고자 한다. 기존의 외곽선영역기반의 쓰기 시스템과 달리 획 자체의 쓰기를 인식해서 특징점을 추출한 후 미리 저장된 기준점과 비교하여 잘 썼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 PDF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한중일 한자-한국어 변환 키워드 도메인 이름 시스템 (CJK Chinese Character-Korean Character Conversion Keyword Domain Name System in Software Defined Network)

  • 이승훈;조승철;薛園園;路凯;向天歌;한선영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9년도 제3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39-342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한중일 한자-한국어 변환 키워드 도메인 이름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한자 체계를 주로 사용하는 한국, 중국, 일본에서 세 나라의 한자 수량이 너무 많기 때문에 우선 한국, 중국, 일본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한자 체계인 CJK808을 가지고 연구하였다. 연구를 통해 CJK808 한자 체계에서 각 나라의 한자 특징도 많이 발견하였고, 그 중에서 표준자와 이체자의 다양성이 더욱 두드러졌다. SDN을 이용함으로써 관리 측면에서 다양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제안하는 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들은 한국, 중국, 일본 한자를 입력하면 SDN에서 관리하는 도메인 네임 서버를 통해 IP 주소를 얻을 수 있다.

  • PDF

한자용어로부터 한글색인어의 생성 (A Generation of Hangul Index Term from Hanja Term)

  • 최석두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6년도 제8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51-58
    • /
    • 1996
  • 한자(漢子)로 기술된 용어를 한글로 자동변환하여 색인어로 사용하는 경우에 한글의 음운체계나 해당 시스템의 색인정책에 맞지 않는 일이 생기게 된다. 이런 문제가 생기는 원인은 해당 한자에 대응하는 정확한 한글을 입력하지 않고 변환하였을 경우, 해당 한자의 음이 없거나 한자와의 음운체계가 달라 생기는 경우 및 별도의 색인정책이 있는 경우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KS C 5601 표준코드(이하 표준코드라 한다)를 기준으로 한자(漢子)의 다음자(多音子)를 조사하였다. 다음자(多音子)가 포함되어 있는 사전용어와 다음자(多音子)파일을 이용하여 매핑파일을 구축함과 동시에 매핑파일을 보완함으로써 한자(漢子)로 기술된 용어의 바른 한글음을 자동생성하여 색인어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논한다.

  • PDF

Edutainment식 한자학습을 위한 원격강의 시스템 구현 (An Impementation of a Remote Intruction System for Edutainmental Learn of Chinese Character)

  • 이은아;이춘근;김태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61-366
    • /
    • 2001
  • 멀티미디어의 기술이 발전하고 인터넷이 보편화되면서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교육의 기술이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 많은 교육·학습 분야에도 이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자 학습을 Edutainment식으로 구현하여 보다 재미있고 흥미롭게 구성하였으며 한자학습 코스웨어는 한자의 조합과 상형 문자의 변천과정 학습, 게임에 의한 학습, 에니메이션 전개형, 한자-한글 변만의 네 가지로 제안한다.

  • PDF

전문용어 한글-한자 자동 변환 (Hangul-Hanja Transfer for Terminology)

  • 황금하;배선미;최기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B)
    • /
    • pp.886-888
    • /
    • 2004
  • 기존의 한글-안자 변환에서는 문맥정보와 통계정보를 고려하지 않는 사전기반의 단어단위 변환 방법을 사용한 반면, 본 논문에서는 언어모델 밀 변환모델을 이용한 문장단위의 한자 자동변환 방법을 제안하고. 사전 미등록어와 복합어의 한글-한자 변환을 위하여 단어분할을 변환의 숨김 과정으로 처리하는 통합모델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전문용어의 한글-한자 변환에서 제한된 한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존의 사전기반 변환보다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삼국시대의 한자음" 펴낸 유창균 교수

  • 강철주
    • 출판저널
    • /
    • 통권80호
    • /
    • pp.4-5
    • /
    • 1991
  • 훈민정음 창제 이전 우리 문자생활의 주요한 도구였던 한자가 우리나라에 언제쯤 도입됐으며, 한자음이 우리말로 토착음화하는 과정으 어떠했는가에 논의의 초점을 두고 있는 이 책은, 고대한자음에 관련된 이제까지의 학계 통설에 대한 가장 본격적인 비판을 담은 성실한 연구성과라는 점에서 특히 주목을 끈다.

  • PDF

『강희자전(康熙字典)』과 한국 한자(漢字) 자형(字形)의 영향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Kangxizidian(康熙字典)』 and Chinese character's shapes used in Korea)

  • 김영옥
    • 동양고전연구
    • /
    • 제69호
    • /
    • pp.401-418
    • /
    • 2017
  • 본 연구는 청대(淸代) 강희제(康熙帝)의 칙명(勅命)으로 제작된 자전(字典)인 "강희자전(康熙字典)"의 한자(漢字) 자형(字形)이 조선 후기 및 그 이후 현대까지 한국의 한자(漢字) 자형(字形)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며, 그것이 한국한자학사(韓國漢字學史)와 자형학(字形學) 연구에서 가지는 의의를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희자전"은 영조(英祖) 5년(1729년)에 조선에 유입되어 조선의 한자 자형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교육부에서 2000년에 수정하여 제시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 표기 기준으로 '강희자전의 자형을 기본으로 한다.'고 명시한 것에서도 볼 수 있듯이, 현대까지도 그 영향은 매우 크다고 하겠다. 하지만 "강희자전"과 역대의 한국 한자(漢字) 자형(字形)과의 영향 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고찰과 그것의 의의를 탐구하는 연구는 단편적으로 이루어졌을 뿐, 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자료를 보강하면서, "강희자전"이 한국의 한자 자형에 미친 영향과 의의에 대하여 구체적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강희자전"의 정자(正字) 제시 원칙과 방법의 구체적인 사례를 확인하였으며, 또한 "강희자전"이 조선에 유입된 이래로 조선 후기 및 현대까지 한국의 한자 자형에 미친 영향의 구체적인 내용 파악 및 그것이 가지는 의의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이 연구가 앞으로의 한국 한자 표준 자형 선정에 대하여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의미처리 기반의 한글-한자 변환 시스템 (korean-Hanja Translation System based on Semantic Processing)

  • 김홍순;신준철;옥철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98-401
    • /
    • 2011
  • 워드프로세서에서의 한자를 가진 한글 어휘의 한자 변환 작업은 사용자에 의해 음절/단어 단위의 변환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효율이 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한글 문장의 의미처리를 통해 문맥에 맞는 한자를 자동 변환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문맥에 맞는 한글-한자 변환을 위해서는 우선 정확한 형태소 분석 및 동형이의어 분별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은닉마르코프모델 기반의 형태소 및 동형이의어 동시 태깅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형태의미 세종 말뭉치 1,100만여 어절을 이용하여 unigram과 bigram을 추출 하였고, unigram을 이용하여 어절의 생성확률 사전을 구축하고 bigram을 이용하여 전이확률 학습사전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품사 및 동형이의어 태깅 후 명사를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한자로 변환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의 성능 확인을 위해 전체 세종 말뭉치를 문장단위로 비학습 말뭉치를 구성하여 실험하였고, 실험결과 한자를 가진 동형이의어에 대한 한자 변환에서 90.35%의 정확률을 보였다.

웹 기반의 한자 쓰기 시스템 (Learning System for Writing of Chinese Character based on WEB)

  • 권훈;곽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28-136
    • /
    • 2008
  •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단어의 70% 이상이 한자로 구성되어 있는 만큼 정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한자 교육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단순히 한자의 독음과 뜻 뿐 만이 아니라 정확한 획순에 의해 올바로 한자를 쓰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사용자의 학습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서적들과 인터넷을 이용한 콘텐츠들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을 이용한 대부분의 콘텐츠들은 단순한 독음과 뜻만을 제시하고 학습하는 곳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또한 서적들은 획순에 의한 한자 쓰기 학습을 적용하고 있으나 획일적인 반복만을 강조함으로써 학습효과가 높지 못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웹을 통하여 인터넷상의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자기 주도적 학습을 가능토록 하며, 한자의 독음 및 뜻과 함께 필순에 의한 쓰기 기능을 제공하는 콘텐츠를 구현하였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에 의한 학습 상황 관리 및 한자 학습에 있어서 정확한 읽기와 쓰기를 이해함으로써 학습 효과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