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옥건축정보모델링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건축정보모델링을 위한 한옥부재의 개발 (A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Building Components for BIM Systems)

  • 김상훈;안은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61-264
    • /
    • 2009
  • 본 논문은 한옥에 대해 건축정보모델링 기반의 설계를 지원하기 위한 부재 생성방식을 제안한다. 한옥 건축 산업화를 위한 노력은 관련 법령 개정에서부터 시공에 이루기까지 전반적으로 확대되어 시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설계방식에서도 근본적인 한옥건축 목구조 방식에 적합한 설계방식이 지원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시장의 변화와 요구분석을 기반으로 건축정보모델링에 적합한 한옥부재를 개발한다. 이를 위해 한옥건축물의 구성요소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건축정보모델링 기반 설계방식을 고려한 한옥 부재의 새로운 설계 방식을 제안한다. 최종적으로 구현한 부재를 활용하여 한옥을 설계함으로써 활용도와 실효성을 검증한다.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반 한옥건축의 BIM 접목 활성화 방안 연구 (A System Dynamic for Investigating to Use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for Hanok Construction)

  • 서승하;방예담;현주환;유채연;이동훈;김성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3-11
    • /
    • 2023
  • 한옥 시공은 사회적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현장 시공 비율이 높고 시공 시 필요한 정보가 부족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른 해결책으로, BIM을 한옥 시공에 접목하였을 때 부재 단위의 모델링, 유형화와 표준화, 조립 방식에 대한 정보 관리가 가능해진다. 하지만, 여전히 BIM의 한옥건축 접목을 위한 요인에 관한 분석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옥건축에서의 BIM의 활성화를 시뮬레이션으로 모델링하여 그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한옥건축 BIM 활성화 요인을 도출하고 각 인자 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causal loop diagram (CLD)을 작성하고 각 요인을 Parameter, Dynamic variable, Stock, Flow로 정리해 최종 모델링을 완성하였다. 주요 인자의 변화에 따른 시나리오 분석 결과, 현 지원제도 및 활성화 요인을 유지하였을 때(시나리오 1) 장기적인 관점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다. 한옥의 건축지원금이 증가하였을 경우(시나리오 2), 장기적으로 약 23~24% 상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BIM의 교육비가 감소하여 전문 인력이 증가한 경우(시나리오 3)는 BIM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나 시나리오 2에 비해 미미한 변화 값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각 요인 중 한옥 건축지원금이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로 판단된다. 추후 구체적인 변수를 적용하고 다른 관점에서 활성화 분석 연구를 진행하면 한옥과 BIM의 적용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BIM을 활용한 한옥 창호 설계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BIM Design Tool for Hanok Windows and Doors)

  • 최중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331-7339
    • /
    • 2014
  • 최근 한스타일이 추진되면서 한옥을 현대화 및 산업화하려는 노력과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 주도로 관련 기술 개발을 위한 대규모 장기 연구개발 사업이 진행 중이며, 건축정보모델링 기반 한옥 설계 지원 시스템 개발도 세부 과제 중 하나로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옥 설계 지원 시스템에서는 한옥의 골조 및 지붕 등 구조 요소에 주안점을 두어 한국 전통건축의 주요 수장 요소 중 하나인 창호가 소흘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다양한 한옥 요소가 현대 건물에 통합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접근으로서 한옥 창호의 건축정보모델링 기반 설계 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는 우선 한옥 창호의 위치, 개폐방식, 양식 및 부재 구성 등의 특성을 분석하고 아키캐드 시스템의 변수형 모델링 기능을 활용한 한옥 창호 설계 도구를 개발한다. 개발된 한옥 창호 설계 도구는 실내외구분, 살문양선택, 개폐방식 선택, 치수입력, 재료속성 선택, 도면속성 등 6가지 입력 항목을 포함함으로써 설계 과정에서 원활하게 원하는 창호를 설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모의실험을 통하여 개발된 설계도구의 적용성과 효율성을 검증함으로써 한옥 창호를 현대 건물 설계에 손쉽게 적용함과 아울러 향후 한옥 통합 설계 시스템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한옥 건설 프로젝트에서의 BIM 도입 활성화를 위한 주요 요인 분석 (Analysis of significant factors for successful BIM technology application to Korean traditional house projects)

  • 장하라;이주성;서희창;오중근;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71-81
    • /
    • 2013
  • 최근 한옥의 역사적, 문화적, 친환경적 가치가 재조명되고 아파트로 대변되는 획일화된 주거양식의 대안으로 한옥에 대한 거주 수요 및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한옥의 수요 및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서 정부 및 민간에서 한옥의 현대화 및 산업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한옥의 현대화 및 산업화의 방안으로 BIM적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BIM으로 설계한 한옥 건축의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한옥은 개별부재를 조립해서 만드는 결구 식 목조건축물이라는 특성과 유지관리가 중요한 측면 때문에 생애주기를 다루는 BIM의 적용 및 활용성이 높다. 그러나 이러한 높은 활용성에 비해 한옥 실무에서의 BIM 도입정도는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한옥 건설 프로젝트에서의 BIM 도입 저해요인을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기법을 활용한 중요도 분석을 통해서 고찰하고 최종적으로 한옥 건설 프로젝트에서 BIM 활용도를 상승시킬 기반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옥 건축공정 자동화를 위한 지능형 설계모듈의 구현 (Intelligent Architectural Design Module for Process Automation of Hanok Constructions)

  • 안은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1156-1164
    • /
    • 2012
  • 한옥은 단순히 전통건축의 의미를 넘어서 우리 선조들의 삶에 대한 양식과 인식을 담고 있는 지금도 살아 숨 쉬는 문화유산이다. 최근 한옥이 자연친화적 건축으로 주목을 받게 되면서 한옥의 전통적 방식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건축과정에 효율을 꾀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대두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건축정보모델링을 기반으로 하는 설계 지원도구를 개발하여 한옥의 설계에서 검증, 생산 공정에 이르는 전 과정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전통건축의 통시대적 고찰과 한옥의 목구조 방식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전통건축 설계에 필요한 부재들에 대한 효율적 설계 방식을 제시한다.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식은 특성이 비슷한 부재들을 모아서 하나의 템플릿으로 설계하고 다양한 형태의 유사부재들을 속성 값에 따라 자유롭게 생성할 수 있도록 객체지향 방식의 표현기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객체지향 방식의 부재를 표현함에 있어서 연결 부재간의 상관관계를 부재와 부재간의 관련 파라미터들 사이의 결합규칙을 적용함으로써 설계의 오류를 최소화 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개발된 시스템은 서양건축 설계 위주의 CAD프로그램에 플러그 인 형태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통적인 방식의 한옥설계는 물론 한옥 건축문화를 현대적 생활공간에 쉽게 접목할 있도록 고안되었다.

목조건축의 결구방식을 고려한 효과적인 한옥부재 표현 기법 (Efficient Description Method for Hanok Components Reflecting Coupling Scheme of Wooden Structure)

  • 안은영;김재원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18-328
    • /
    • 2011
  • 본 논문은 한옥 설계 지원 시스템을 개발함에 있어서 부재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 한옥을 설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부재 표현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옥은 규모, 지붕의 모양, 공포의 유무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으며 결구방식 및 연결부재에 따라 부재의 수가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다양한 부재를 모두 설계하게 되면 설계 시에 부재의 사용과 취급이 어려워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남 표준한옥올 중심으로 한옥의 목구조 방식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특성이 비슷한 부재들을 모아서 하나의 템플릿으로 설계하여 다양한 형태의 유사부재들을 속성 값에 따라 자유롭게 생성할 수 있도록 객체지향 방식의 표현기법을 사용한다. 제안된 방식은 객체지향 방식의 부재를 표현함에 있어서 연결 부재간의 상관관계를 부재와 부재간의 관련 파라미터들 사이의 결합규칙을 적용함으로써 설계의 오류를 최소화 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BIM 체계를 적용한 현대 한옥건축 모델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ntelligent Modeler for Modernized Korean Traditional Buildings using BIM Systems)

  • 조연준;조길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55-62
    • /
    • 2008
  • In the construction field, there has been a recent and unprecedented increase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modernized Korean traditional buildings, This is because, in today's modern society, the basic needs for survival have already been met and more people are now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identity of our unique culture. It is therefore timeous to consider not just how to preserve and use Korean traditional buildings, but also how to develop them into more industrialized and modernized buildings in a practical way. Recently, the direction has been focused on the industrialization of modernized Korean traditional buildings, including their evolution, and development, as well as on the numerous cases where construction has been delayed. In order to industrialize modernized Korean traditional buildings, we need to standardize their form and actively introduce current IT (Information Technology). In order to achieve this,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change from the CADD (Computer Aided Design and Drafting) system to the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system, which reflects the concept of Virtual Architecture.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possibilities of using BIM system for industrialization of modernized Korean traditional buildings, extend the foundation of the form library, and develop an intelligent modeler. It is also necessary to exemplify a case model for modernized Korean traditional buildings to which BIM is applied.

BIM을 이용한 전통 한옥의 공간구문 분석을 위한 공간분할기법 개발 (Development of a Spatial Subdivision Technique using BIM for Space Syntax Analysis of a Korean Traditional House)

  • 정상규
    • KIEAE Journal
    • /
    • 제10권3호
    • /
    • pp.57-62
    • /
    • 2010
  • To effectively use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dealing with semantic information including the entities of building components, the information about building components should be standardized. Like standardized modern buildings. in the past, Korean traditional houses were built according to strict procedures and formats. Therefore, if the Korean traditional house are modelled by using BIM,. not only the Korean traditional house of good quality will be built quickly and cheaply, but also spaces in the existing Korean traditional house will be easily analyzed. However, when analyzing spaces of the Korean traditional house using Space Syntax, some problems are caused in dividing outdoor space such as yard with unclear boundaries, unlike indoor space with clear boundaries surrounded by walls. These comes from the fact that researchers have subjectively divided a space in the house into convex spaces as units for Space Syntax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objective and rational spatial subdivision technique for Space Syntax analysis of a Korean traditional house modelled by using BIM. We could objectively and reasonably divide a Korean traditional house space into convex spaces by recognizing the building components in the house modelled in the form of Industry Foundation Classes(IFC). Depending on the connection of convex spaces allocated in the spatial subdivision technique, j-graph in Space Syntax could be drawn and the measurements of spatial configurations could be determinded. Through the developed technique, the social properties including the cultural and philosophical aspects of Korean people was identified by measuring the spatial configurations of Korean traditional house. The developed technique will serve as useful means to help architects to find an appropriate purpose of each space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on the basis of the spatial and social relationships in buildings or urban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