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복관여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4초

소비자의 관여와 감각추구성향이 한복선호도와 한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nsumer's Involvement and Arousal Seeking Tendency on Preference of Hanbok and Purchasing Behavior of Hanbok)

  • 김순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349-36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influence of consumers' Hanbok involvement and arousal seeking tendency on their Hanbok preference and purchasing behavior. The survey subjects were male and female consumers ranging in age from teens to those in their fifti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627 people were analyzed. Version 26.0 of SPSS was used to perform a t-test as well as frequency, correlation, factor, reliability, and regression analyses. As a result, both Hanbok involvement and arousal seeking tendency derived four factors each. All four factors of Hanbok involv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anbok preference. Two factors of arousal seeking tend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anbok preference. Hanbok preference had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Hanbok purchasing behavior. Hanbok involvement and arousal seeking tendency had a partially significant impact on Hanbok purchasing behavior. I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or the first time, derived the factor of Hanbok involvement by considering the concept of involvement as it relates to Hanbok and identified that involvement and arousal seeking tendency are variables that affect Hanbok preference and purchasing behavior.

동치미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Lactobacillus plantarum HB1의 아질산염 소거 효과 (Isol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HB1 from Tongchimi and Its Nitrite-Scavenging Effect)

  • 유형재;이선숙;이동석;김한복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92-196
    • /
    • 2003
  • 다양한 유산균 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일환으로, 동치미에서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동치미에서 분리된 균주는, 당이용성과 16S rRNA 유전자분석을 통하여,Lactobacillus plantarum HB1으로 밝혀졌다. 이 균주는 Gram 양성균이었으며, catalase를 갖고 있지 않았다. 16S rRNA유전자의 염기배열 120 bp을 분석해 본 결과,1~88 bp 영역에서는 기존의 것과 거의 100%의 상동성을 보여 주었고,나머지 32 bp의 영역에서는 상당한 변이를 보여 주었다. 따라서 본 균주는 기존의 L. plantarum과는 다른 균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치미의 무에 포함되어 있는 질산염은 체내에서 아질산염으로 바뀐다. 아질산염은 아민과 반응을 일으켜 니트로사민이 되는데, 이 성분은 위암 발생을 일으키는 주요인자중의 하나이다. 동치미에서 분리된 본 균주의 배양액에 400 ${\mu}M$의 아질산염을 첨가한 경우 1시간30분 후에 거의 소거되었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관여하는 본 균주 배양액 중의 특정성분의 분리, 소거작용 기작 등에 관한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앞으로 필요하다.

가토 신장 Na-K-ATPase 및 $K^+-pNPPase$의 최적 PH에 미치는 Vanadate의 영향 (The Effect of Vanadate on the Optimum pH of Na-K-ATPase and $K^+-pNPPase$ in Rabbit Kidney Cortex)

  • 어윤선;우재석;한복기;이상호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8권2호
    • /
    • pp.163-169
    • /
    • 1984
  • Vanadate가 Na-K-ATPase의 최적 PH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에 효소의 $Na^+$$K^+$의 결합부위가 관여하는지를 밝히기 위하여 가토 신피질 microsome을 이용하여 실험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5{\times}10^{-6}M$ vanadate 존재시 Na-K-ATPase의 추적 PH가 6.8로 이동하였다. 2) PH 6.8과 7.4에서 Na-K-ATPase활성의 비는 vanadate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3) Vanadate 존재시에도 용액의 $Na^+$농도가 50mM 이하일 때는 pH 7.4에서의 효소활성이 6.8보다 높았고 오히려 그 비는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 4) $K^+$농도가 7mM 이하일 때는 vanadate 존재시도 Na-K-ATPase의 활성이 PH 7.4에서 더 높았다. 5) 5mM $K^+$존재하에서도 vanadate농도를 $10^{-5}M$로 증가시키면 최적 pH는 6.8로 이동하였다. 6) $K^+-pNPPase$활성은 PH가 낮을수록 증가하였고 $10^{-7}M$ vanadate에 의한 억제 정도는 PH가 낮을수록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때 vanadate 존재시 Na-K-ATPase의 최적 PH는 6.8로 이동하였으며 이것은 PH가 낮아 펄 때 나타나는 vanadate자체의 성질 변화 때문은 아니며 vanadate 존재시 pH가 효소의 $Na^+$$K^+$결합부위에 영향을 주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