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반도 주변

Search Result 53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Spatial Issue of K490 using MODIS Data (MODIS 자료에 의한 K490 공간 특성)

  • Jeong, Jong-Chul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151-154
    • /
    • 2009
  • MODIS Aqua에 의한 한반도 주변 해역의 관측은 엽록소의 변동을 관측하여 해양환경변화를 관측하는데 주로 연구되었다. 그러나 황해는 Case II 해역으로 해양의 엽록소 관측에 오차가 크기 때문에 동해와 남해, 동중국해역을 관측한 연구가 발표되어 왔다. 특히 적조와 같은 이상변동을 관측하는데 해색자료의 활용은 매우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K490(Diffuse attenuation coefficient for downwelling irradiance at 490nm)은 OCTS, SeaWiFS, MODIS, MERIS 등의 해색자료에 의해 많은 자료가 생산되고 있으나 이를 이용한 한반도 주변 해역의 해양환경변동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 한반도 주변해역에서 관측된 MODIS 자료를 처리하여 K490에 의한 시-공간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특히 K490에 의한 월 변화(monthly)와 통계처리 결과를 분석하여 기후변화의 주요 분석인자인 해양의 일차생산력을 판단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K490의 공간 특성을 제시하였다. 한반도 주변 해역의 K490에 의한 시-공간적 특성은 육상의 주요 하천에서 기인하는 부유사와 서남해역의 재부유 물질에 의한 영향이 시-공간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Crustal Structure of the Continental Margin of Korea in the East Sea: Results From Deep Seismic Sounding (한반도의 동해 대륙주변부의 지각구조 : 심부 탄성파탐사결과)

  • Kim Han-Joon;Cho Hyun-Moo;Jou Hyeong-Tae;Hong Jong-Kuk;Yoo Hai-Soo;Baag Chang-Eop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6 no.1
    • /
    • pp.40-52
    • /
    • 2003
  • Despite the various opening models of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 Sea (Japan Sea)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 Arc, the continental margin of the Korean Peninsula remains unknown in crustal structure. As a result, continental rifting and subsequent seafloor spreading processes to explain the opening of the East Sea have not been adequately addressed. We investigated crustal and sedimentary velocity structures across the Korean margin into the adjacent Ulleung Basin from multichannel seismic reflection and ocean bottom seismometer data. The Ulleung Basin shows crustal velocity structure typical of oceanic although its crustal thickness of about 10 km is greater than normal. The continental margin documents rapid transition from continental to oceanic crust, exhibiting a remarkable decrease in crustal thickness accompanied by shallowing of Moho over a distance of about 50 km. The crustal model of the margin is characterized by a high-velocity (up to 7.4 km/s) lower crustal (HVLC) layer that is thicker than 10 km under the slope base and pinches out seawards. The HVLC layer is interpreted as magmatic underplating emplaced during continental rifting In response to high upper mantle temperature. The acoustic basement of the slope base shows an igneous stratigraphy developed by massive volcanic eruption. These features suggest that the evolution of the Korean margin can be explained by the processes occurring at volcanic rifted margins. Global earthquake tomography supports our interpretation by defining the abnormally hot upper mantle across the Korean margin and in the Ulleung Basin.

Characteristic of in-situ ocean optical data in Kongsfjorden, Svalbard during Arctic summer (August 2006) (북극 스발바드섬 콩스피오르덴만의 여름(2006년 8월) 기간 해양광학적 특성 연구)

  • Moon, Jeong-Eon;Ahn, Yu-Hwan;Yang, Chan-Su;Park, Byong-Kw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210-215
    • /
    • 2007
  • 북극 다산기지가 있는 니알슨 인근 해역인 Kongsfjorden만은 일부 해역이 해빙으로 덮혀 있는 반폐쇄적인 만으로 수심이 평균 200m 이상 된다. 이곳 북극 지방은 하절기 라도 태양의 고도가 낮아 해색위성분야의 극지활용에 대한 가능성 여부도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못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극 다산기지가 위치한 스발바드 군도의 니알슨 주변 해역(Kongsfjorden 해역)을 중심으로 2006년 8월 현장관측된 자료들을 유사한 시기의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현장관측된 자료들과 비교/분석하여 해양환경적 특성과 해수광학적인 특성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북극 지방에서 인공위성을 이용한 해색위성자료의 극지활용이 가능한지를 검토하였다. 해수의 광 특성으로, 니알슨 주변 해역의 ${\alpha}^*_{ph}(440)$ 최대값은 $0.1m^2/mg$으로 한반도 주변해수의 ${\alpha}^*_{ph}(440)$ 최대값보다 약 2배정도 높게 측정되어 플랑크톤의 광 흡수효율이 중위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alpha}^*_{ss}(440)$ 값은 $0.04-0.1m^2/g$으로 동중국해와 유사하며,한반도 주변해수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 이것은 Kongsfjorden 해역의 부유물질(SS) 구성성분이 동중국해와 유사한 무기광물 입자로 주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alpha}_{dom}(400)$ 값은 $0.08-0.25m^{-1}$로 한반도 주변해수의 ${\alpha}_{dom}(400)$이 값과 유사하고 연안해역의 ${\alpha}_{dom}(400)$ 값보다 낮은 값을 나타냈다. $E_d(460)$의 평균값은 Konsfjorden 해역 $40mW/cm^2/{\mu}m$, 동중국해 $120mW/cm^2/{\mu}m$, 황해남부 $110mW/cm^2/{\mu}m$, 남해연안 $100mW/cm^2/{\mu}m$, 진해만 $100mW/cm^2/{\mu}m$이었다. 이와 같은 현장관측결과를 토대로 분석한 북극 다산기지 주변 해역의 해수광학적인 환경 특성은 용존유기물의 흡광도를 기준으로 볼 때 대양(Open Sea)의 광 특성과 유사하였다. 또한 북극지방에서 태양의 해수 입사 광량은 중위도의 약 40%정도이지만 해색위성자료의 극지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Monthly Variations of Surface Winds from QuickSCAT in the Korean Peninsula sea area (QuickSCAT에 의한 한반도 주변 해상풍의 월변동 특성)

  • Yang Chan-Su;Lee Nu-Ree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337-340
    • /
    • 2006
  • 태풍의 경우, 주요 자연재해 중의 하나로 태풍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기상예측의 정도를 높이고, 재해를 방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태풍의 동향을 감시하는데 있어, 히마와리 등의 기상위성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근년 인공위성의 원격탐사를 이용하여 광범위의 해양에 대한 해상풍과 파랑의 관측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QuickSCAT위성에 의한 해상풍 관측의 현상을 조사하고, 위성으로부터 얻어진 2000년의 데이터를 사용해서 한반도 주변해역에 대한 해상풍의 월변동 특성을 조사하고, 2000년 7월에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 카이탁내의 해상풍을 검토하였다. 추가로 RSMC 동경 태풍 센터에서 발행하는 태풍자료를 이용하여, 태풍 비교를 수행하였다. 풍속은 제주도 주변해역, 특히 제주도 동쪽해역에서의 풍속이 연중 강하며, 9월에서 2월 기간에는 북풍 계열의 바람이 우세하고, 6월-8월에는 남풍계열의 바람이 지배적이다. 봄의 기간인 3월-5월에는 북풍에서 남풍으로 바뀌는 과정으로 다양한 방향의 바람이 혼재한다. 태풍 카이탁의 해상풍 조사를 통하여, 위험반원의 형상이 보다 복잡하며 그 범위가 크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 PDF

L밴드 인공위성 SAR센서를 활용한 한반도 주변해의 산출 해상풍 정확도 특성

  • Kim, Tae-Seong;Park, Gyeong-Ae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133-133
    • /
    • 2010
  • 인공위성 SAR센서는 기존 산란계 해상풍 자료의 낮은 해상도로 인한 여러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다양한 해양연구에 있어 필요성과 활용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다파장 SAR 센서들이 운용 또는 발사 예정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한반도 주변해에 대한 SAR 해상풍 산출 연구는 C밴드에만 한정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L밴드 해상풍 추출알고리즘을 적용하여 L밴드 SAR 영상으로부터 한반도 주변해의 해상풍을 추출하고 산란계 해상풍 자료와 비교 분석을 통해 정확도 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07년 8월 우리나라 동해 지역을 관측한 L밴드 ALOS PALSAR 영상에 대해 L밴드 HH편광 GMF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해상풍을 산출하였다. 산출 해상풍은 동일시점의 산란계 QuikSCAT 자료와 공간적으로 유사한 패턴을 보였으며 두 자료 간의 풍속오차는 3.45m/s로 나타났다. 연구 해역과 같이 강한 바람 범위에서는 산출 해상풍 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며 풍향으로 인한 오차특성이 보인다. 특히 풍속의 경우, 산란계 해상풍이 중간바람 범위에 집중된 것에 비해 L밴드 SAR 산출 해상풍은 강한 바람 범위까지 포함하는 넓은 풍속값 범위를 나타냈다.

  • PDF

한반도 지진 위험 진단과 연구 실태

  • Kim, So-Gu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0 no.3 s.334
    • /
    • pp.55-61
    • /
    • 1997
  • 최근 한반도 주변인 중국과 일본 및 사할린에서 일어난 대지진은 충격적이다. 이것은 한반도를 중심으로 인접한 여러판의 새로운 지체구조력 운동이 활발하다는 것을 증명해준다. 지진이 발생할 때 신속ㆍ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응급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와 대책이 절실하다.

  • PDF

Characteristic Analysis of Crustal Movement around Korean Peninsula By IGS Data (IGS 자료에 의한 한반도 주변의 지각변동 특성 해석)

  • Park, Joon-Kyu;Kang, Joon-M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8 no.6
    • /
    • pp.645-653
    • /
    • 2010
  • In this study, IGS(International GNSS Service) stations were processed by the method of PPP(Precise Point Positioning), and velocities of crustal movements about the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calculated precisely. The characteristics of crustal movements around Korean Peninsula were understood by velocity calculation of crustal movements. We confirmed from the result which calculated by crustal movement velocity shows the movement Eurasia and North America plate move to south-east, and Philippine plate moves to north-west. This result is respected to be utilized as a basic data about analysis of earthquake and earth physics.

Earthquake Mechanism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및 인근의 지진 메카니즘 특성)

  • Jun, Myung-Soon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10a
    • /
    • pp.1-5
    • /
    • 2008
  •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9 intraplate earthquake mechanisms since 1936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regional stress orientation and tectonics. These earthquakes are largest ones in this century and may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earthquake in this region. Focal mechanism of these earthquakes show predominant strike-slip faulting with small amount of thrust components. The average P-axis is almost horizontal ENE-WSW. This indicate that not only the subducting Pacific Plate but also the indenting Indian Plate controls earthquake mechanism in the far east of the Eurasian Plate.

  • PDF

Modeling of Ocean Circulation in the Neighboring Seas of Korean Peninsula from Global Ocean Circulation Model (전구 해수순환 수치모형에 의한 한반도 주변의 순환 모사)

  • Choi Bung Ho;Choi Young Jin;Kim Cheol 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6 no.4
    • /
    • pp.241-257
    • /
    • 2004
  • Global prognostic models based on NCOM(NCAR CSM Ocean Model) of NCAR which is generic from Bryan-Cox-Semtner model are established to study the ocean circulation in the neighboring seas of Korean peninsula. The model domain covers areas from $80.6{^\circ}S~88.6{^\circ}N$in meridion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water column is divided into 15 levels taking enhanced grid resolution of $0.3^\circ$ around Korean peninsula. Island option is used for 22 islands to simulate inshore circulation by hole-relaxation method and the restart hydrographic data are taken from NCAR(1998) CSM model that has been run for 300 years. The wind stress data are taken from Choi et al. (2002). Based on the model results, circulation patterns in the NW Pacific and global oceans are investigated. Volume transports calculated at five straits in the neighboring seas of Korean peninsula are compared with the results from Choi et al. (2002) and other observed data.

Focal Mechanism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및 주변의 지진 메카니즘 특성)

  • Jun, Myung-Soon;Jeon, Jeong-Soo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13 no.3
    • /
    • pp.198-202
    • /
    • 2010
  •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18 intraplate earthquake focal mechanisms since 1936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focal mechanism and regional stress orientation and tectonics. These earthquakes are largest ones from the last century and may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earthquake in this region. Focal mechanism of these earthquakes show predominant strike-slip faulting with small amount of thrust components. The average P-axis is almost horizontal ENE-WSW direction. This mechanism pattern and the direction of maximum stress axis is very similar with northeastern part of China and southwestern part of Japan. However they are quite different with the eastern part of East Sea. This indicate that not only the subducting Pacific Plate from east but also the indenting Indian Plate controls focal mechanism in the far east of the Eurasian Pl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