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글 필기체

Search Result 9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an On-line Handwritten Hangul Character Recognition by Identifying Relative Positions of Strokes (획 상대 위치 판별을 통한 온라인 필기체 한글 문자 인식에 관한 연구)

  • 정진국;김수인;남궁재찬
    • Th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Database
    • /
    • v.4 no.2
    • /
    • pp.65-78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획 상대위치 판별을 통한 온라인 필기체 한글 문자 인식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한글을 구성하는 획을 인식하기 위하여 각 획의 시작부분과 끝부분의 방향코드를 이용하였으며, 인식된 획들을 바탕으로 각 획들간의 상대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자소를 인식하였다. 온라인 필기체 한글의 경우 획의 모양과 크기가 필기자에 따라 불규칙하게 변하므로 획의 모양보다는 획의 위치를 인식에 더 중요한 자료로 삼아 인식을 행하였다. 6,000자의 온라인 필기체 한글 문자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문자당 평균인식속도 0.034초, 획 인식률 92.3%와 문자 인식률 94.6%를 보였다. 본 실험의 결과로서 온라인 필기체 인식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획의 시작 부분과 끝부분의 진행방향이 획인식의 중요 요소임과 획들간의 상대적 위치가 한글 문자 인식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임을 밝혔다.

Improved Handwritten Hangeul Recognition using Deep Learning based on GoogLenet (GoogLenet 기반의 딥 러닝을 이용한 향상된 한글 필기체 인식)

  • Kim, Hyunwoo;Chung, Yoo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7
    • /
    • pp.495-502
    • /
    • 2018
  • The advent of deep learning technology has made rapid progress in handwritten letter recognition in many languages. Handwritten Chinese recognition has improved to 97.2% accuracy while handwritten Japanese recognition approached 99.53% percent accuracy. Hanguel handwritten letters have many similar character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Hangeul, so it was difficult to recognize the letters because the number of data was small. In the handwritten Hanguel recognition using Hybrid Learning, it used a low layer model based on lenet and showed 96.34% accuracy in handwritten Hanguel database PE92. In this paper, 98.64% accuracy was obtained by organizing deep CNN (Convolution Neural Network) in handwritten Hangeul recognition. We designed a new network for handwritten Hangeul data based on GoogLenet without using the data augmentation or the multitasking techniques used in Hybrid learning.

An Implementation of Hangul Handwriting Correction Application Based on Deep Learning (딥러닝에 의한 한글 필기체 교정 어플 구현)

  • Jae-Hyeong Lee;Min-Young Cho;Jin-soo Kim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9 no.3
    • /
    • pp.13-22
    • /
    • 2024
  • Currently, with the proliferation of digital devices, the significance of handwritten texts in daily lives is gradually diminishing. As the use of keyboards and touch screens increase, a decline in Korean handwriting quality is being observed across a broad spectrum of Korean documents, from young students to adults. However, Korean handwriting still remains necessary for many documentations, as it retains individual unique features while ensuring readability. To this end, this paper aims to implement an application designed to improve and correct the quality of handwritten Korean script The implemented application utilizes the CRAFT (Character-Region Awareness For Text Detection) model for handwriting area detection and employs the VGG-Feature-Extraction as a deep learning model for learning features of the handwritten script. Simultaneously, the application presents the user's handwritten Korean script's reliability on a syllable-by-syllable basis as a recognition rate and also suggests the most similar fonts among candidate fonts. Furthermore, through various experiment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roposed application provides an excellent recognition rate comparable to conventional commercial character recognition OCR systems.

Segmentation of Unconstrained Handwritten Korean Characters using the Center of Gravity (중심점을 이용한 무제약 필기체 한글 분할)

  • 박성호;조범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820-822
    • /
    • 2004
  • 현재까지도 대부분의 필기체 한글 인식은 완벽한 분할을 가정하여 개발되고 있으며 한글 분할 그 자체에 대한 관심은 매우 낮은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무제약 필기체 한글을 분할하기 위하여 중심점을 이용한 분할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분할 방법들이 갖는 직선화된 분할경로 뿐만 아니라, 문자내에 존재하는 여백의 정보를 활용하여 꺽은선 형태의 분할경로도 찾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한글 문자열에 대한 전처리 과정과 수직투영을 통해 분할대상을 결정한다. 그리고 문자에서 특징점을 찾고 인접한 특징점들 간의 중심점을 찾아서 가상의 분할 경로를 생성한 뒤 최적 분할 경로를 결정한다.

  • PDF

A Hangul Element Separation for the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필기체 인식을 위한 한글 자소분리)

  • Baek, Nam-U
    • 한국IT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1a
    • /
    • pp.208-211
    • /
    • 2004
  • 본 연구는 필기체 한글 문자를 인식하기 위하여 한글 문자구조를 6개 기본구조로 분류한다. 각각의 한글 자음과 모음을 7-세크먼트, '/'(Left-Incline), '$\backslash$'(Right-Incline), '-'(Left-Right), '$\mid$'(UP-Down), 'c'(Circle), 'ㄱ'(Right-down), 'ㄴ'(Down-Right) 분리한다. 분리된 7-세크먼트에 대해 한글이 쓰여지는 위치에 따라 8개의 기본구조로 정의하여 세크먼트를 분리하여 레벨화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자를 자소(자음과모음)로 하여 7-세크먼트로 분리하는 필기체 자소분리 구조를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Hangul Handwriting Generation and Classification Mode for Intelligent OCR System (지능형 OCR 시스템을 위한 한글 필기체 생성 및 분류 모델에 관한 연구)

  • Jin-Seong Baek;Ji-Yun Seo;Sang-Joong Jung;Do-Un Jeo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23 no.4
    • /
    • pp.222-227
    • /
    • 2022
  •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a Korean text generation and classification model based on a deep learning algorithm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industries. It consists of two implemented GAN-based Korean handwriting generation models and CNN-based Korean handwriting classification models. The GAN model consists of a generator model for generating fake Korean handwriting data and a discriminator model for discriminating fake handwritten data. In the case of the CNN model, the model was trained using the 'PHD08' dataset, and the learning result was 92.45. It was confirmed that Korean handwriting was classified with % accuracy.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classification model by integrating the Korean cursive data generated through the implemented GAN model and the training dataset of the existing CNN model, it was confirmed that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was 96.86%, which was superior to the existing classification performance.

Detection of Intersection Points of Handwritten Hangul Strokes using Run-length (런 길이를 이용한 필기체 한글 자획의 교점 검출)

  • Jung, Min-Chu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7 no.5
    • /
    • pp.887-894
    • /
    • 2006
  • This paper proposes a new method that detects the intersection points of handwritten Hangul strokes using run-length. The method firstly finds the strokes' width of handwritten Hangul characters using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run-lengths, secondly extracts horizontal and vertical strokes of a character utilizing the strokes' width, and finally detects the intersection points of the strokes exploiting horizontal and vertical strokes. The analysis of both the horizontal and the vertical strokes doesn't use the strokes' angles but both the strokes' width and the changes of the run-lengths. The intersection points of the strokes become the candidated parts for phoneme segmentation, which is one of main techniques for off-line handwritten Hangul recognition. The segmented strokes represent the feature for handwritten Hangul recognition.

  • PDF

Design and Construction of a Large-set Off-line Handwritten Hangul Character Image Database KU-1 (대용량 오프라인 한글 글씨 영상 데이터베이스 KU-1의 설계 및 구축)

  • Kim, Dae-In;Kim, Sang-Yup;Lee, Seong-Wha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7.10a
    • /
    • pp.152-159
    • /
    • 1997
  • 최근 들어 인쇄체 문자 인식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필기체 한글 인식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인쇄체 문자와는 달리 자연스럽게 필기된 한글 글씨는 동일한 문자라 하더라도 같은 모양을 가지고 있다고 단정하는 것이 불가능할 정도로 필기자의 필기 유형에 따른 다양한 변형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한글 글씨 인식기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변형을 포함하는 대용량의 한글 글씨 영상 데이터베이스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공학연구소 주관 국어 정보 베이스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고려대학교에서 구축 중인 오프라인 한글 글씨 영상 데이터베이스, KU-1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본 데이터베이스는 KS C 완성형 한글 사용 빈도순 상위 1,500자에 대하여 다양한 계층, 직업, 연령, 지역 분포를 고려한 1,000명 이상의 필기자가 정서체와 본인의 평소 자유 필체로 필기한 1,000벌의 명도 한글 글씨 영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 PDF

Extraction of Directional Strokes in Handwritten Hangul using Runlength (런 길이를 이용한 필기체 한글 자획의 방향 성분 추출)

  • Jung, Min-Chu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6.05a
    • /
    • pp.485-488
    • /
    • 2006
  • 본 논문은 수평 런 길이와 수직 런 길이를 이용해 필기체 한글 문자의 자획 두께를 구하고, 그 자획 두께를 이용해 입력 문자의 자소를 수평 성분과 수직 성분으로 분리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수평 성분과 수직 성분 분석은 각도와 관계없이 자획 두께와 수평 런 길이의 변화량만을 이용해 구한다. 분리된 수평 성분 자획과 수직 성분 자획은 오프라인 필기체 한글 인식을 위한 요소 기술 중 하나인 자소 분리를 위한 특징이 된다.

  • PDF

Handwritten Korean Character Segmentation using Background thinning (배경 세선화를 이용한 한글 필기체 글자 단위 분할)

  • 서원택;조범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823-82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필기체 한글의 글자단위의 분할을 위해 배경 세선화(Background thinning)라는 방법을 제안한다. 배경 세선화 방법은 글자와 글자 사이에 존재하는 배경의 정보를 세선화 처리하여 필기체 한글에서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중첩(Overlap)글자와 연결(Touched)글자를 서로 분할하는데 효과적인 성능을 보였다. 배경 세선화를 이용하여 글자를 분할하는 방법은 인식과정의 판단을 필요하지 않은 외적분할 방법으로 빠른 속도의 분할 성능을 보였다. 이 방법은 특히, 중첩된 글자의 분할에 탁월한 성능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연결된 글자에 대해서도 좋은 성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