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 지형학회

Search Result 7,57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Pre-Filtering based Post-Load Shedding Method for Improving Spatial Queries Accuracy in GeoSensor Environment (GeoSensor 환경에서 공간 질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선-필터링을 이용한 후-부하제한 기법)

  • Kim, Ho;Baek, Sung-Ha;Lee, Dong-Wook;Kim, Gyoung-Bae;Bae, Hae-Young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12 no.1
    • /
    • pp.18-27
    • /
    • 2010
  • In u-GIS environment, GeoSensor environment requires that dynamic data captured from various sensors and static information in terms of features in 2D or 3D are fused together. GeoSensors, the core of this environment, are distributed over a wide area sporadically, and are collected in any size constantly. As a result, storage space could be exceeded because of restricted memory in DSMS. To solve this kind of problems, a lot of related studies are being researched actively. There are typically 3 different methods - Random Load Shedding, Semantic Load Shedding, and Sampling. Random Load Shedding chooses and deletes data in random. Semantic Load Shedding prioritizes data, then deletes it first which has lower priority. Sampling uses statistical operation, computes sampling rate, and sheds load. However, they are not high accuracy because traditional ones do not consider spatial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Pre-Filtering based Post Load Shedding' are suggest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spatial query and to restrict load shedding in DSMS. This method, at first, limits unnecessarily increased loads in stream queue with 'Pre-Filtering'. And then, it processes 'Post-Load Shedding', considering data and spatial status to guarantee the accuracy of result. The suggested method effectively reduces the number of the performance of load shedding, and improves the accuracy of spatial query.

The Study of Coastal Change from Using Ortho Aerial Photo and Hydrographic Survey : the Parcel under the Sea (정사항공사진과 해양조사측량을 이용한 해안선변화탐지에 관한 연구 : 포락지 중심으로)

  • Choi, Chul-Eung;Seo, Yeong-Chan;Yang, Ji-Yeon;Park, So-Yeong;Kim, Youn-Soo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0a
    • /
    • pp.167-173
    • /
    • 2004
  • The erosion(or sediment) reaches very serious level due to the aftermath by the imprudent reclamation on the coast. Continuous studies for long on coastline erosion may be warranted and possible countermeasures proposed because the change of the coastline has been progressed slowly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a wide area. Many experts anticipate that the global sea level's average increase by 19-35 cm due to global warming may certainly have an effect on the coastal erosion throughout the world. Thus, a more rigorous study on the causes of changing coastlines is particularly proposed to find ways to counteract any possible threats against coastal environments. In this study, Ortho aerial photo and hydrographic survey datum were utilized to quantitatively analyze coastal erosion and sediment patterns. This paper also seeks to prove that a parcel under the sea occurred due to relatively significant changes to the coastline. We created Ortho aerial photo using aerial photos taken each decade ('81, '93, '00), overlaid them onto a cadastral registration map, and calculated each amount of erosion and sediment while accounting for the tide level and without considering it.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propose that the methods of Ortho aerial photo and the marine observation datum were the effective ways of change detection in erosion, sediment, and artificial reclamation of the coastline for a long time.

  • PDF

Analysis and Evaluation on the Location of Gu-Office Facility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The case of Mapo Gu-Office in Seoul (GIS 기법을 이용한 구청사 입지분석 및 타당성 검토)

  • Huh, Jun;Jang, Hoon;Lee, Hyun-Suk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0a
    • /
    • pp.5-1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easure a gravitational attraction about urban pulbic service facilities and to evaluate the location of public service facilities. It is important in that these facilities should provide more inexpensive and convenience public service to users. To do this, the GIS's spatial analysis and gravity model were used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the public facilities. The gravity model was conducted as the main analysis method, and another model for this analysis was the discrete model. The gravity model is originally to anticipate migration flows, traffic flows and other types of movements so that this model compares the gravitational attraction between places. The discrete model is to find the optimal location and to evaluate a location of facility regarding urban areas as the combination of node and link. In this research, these two models were adopted to compare and analyze location of Mapo-Gu Offic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the locational evaluation of urban public service facilities discovered the appropriateness of those facilities, and the public facilities was necessary to displace to other site.

  • PDF

농촌어메니티에 기초한 농촌자원의 중요도 평가 및 순위적 관계 분석

  • 박창석;전영옥;조영국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05a
    • /
    • pp.120-123
    • /
    • 2002
  • 본 연구는 농천어메니티의 개념을 토대로 농촌주민과 도시민의 가치라고 할 수 있는 정주기능으로서의 생활자원화와 방문가치로서의 관광자원화로 구분하고, 이를 토대로 도시민과 농촌주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농촌자원의 중요도와 순위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자원을 자연적 자원과 문화적 자원, 사회적 자원으로 구분하여 37개 자원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농촌자원은 농촌어메니티를 형성하거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대상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이러한 농촌자원은 농촌주민과 도시민이 지닌 가치에 기초하여 생활자원적 가치와 관광가치적 가치를 동시에 혹은 차등적으로 지닐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농촌자원에 대한 중요도 평균에 대한 차이검증(t-test)을 수행한 결과 전체 자원의 56.8%에 해당하는 21개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결과에 의해 지지를 받는다. 셋째, 농촌자원에 대한 순위적 상관관계분석에서도 전문가와 전체집단에서 생활자원과 관광자원에 대한 순위상관관계가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위의 두번째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농촌자원의 개발 방향과 가치부여가 자원의 속성에 따라 차등적으로 진행되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다섯째, 농촌자원의 유형을 생활자원화와 관광자원화에 대한 중요도의 표준화 점수에 기초하여 4개 유형(유형 I~IV)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유형별 자원중요도를 고려하여 농촌마을의 개발목적에 비추어 생활자원형이나 관광자원형과의 연계를 통해 마을의 정체성과 특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를 고지도와 지리지.읍지를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변한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을 분석하여 시대상의 복원과 지역사회의 정체성 확립에 일조하고자 한다.곡물의 여러 줄기가 합수하고 물이 역류하지 않으며 잘 감아도는 곳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명당의 기본적인 원리는 장풍(藏風)과 득수득파(得水得破)이다. 장풍과 득수란 '국'(局), 즉 산줄기와 수계로 이루어진 일정한 범위 속에 만물이 생태계 속에서 살아가는 모습인 '체형(體形)'의 의미가 나타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는 시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면적의 52%를 점유하여 감자 재배지의 핵심지를 이룬다. 4. 한국 감자 재배지역 중심지의 지리적 특징은, 높은 산지지역의 산록완사면에 밭작물로 재배된다는 점과 교통이 불편한 지역으로서 도시화와 산업화 지역의 그늘 지역이 대부분이다. 강원도의 감자 재배지는 감자재배에 적합한 자연환경과 화전농업의 전통, 감자 재배기술의 전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지원하는 각종 연구소 분포와 영농지도, 씨감자 생산과 협동조합의 판로 개척, 도로 개설과 포장 등의 인문지리적 요인이 영농조건을 개선하고 감자 판매를 위한 시장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남한 최대의 감자 재배지역을 형성하였다. 제주도는 산지지형과 따뜻한 기온으로 2기작이 가능하고, 감자가공 공장설립과 교통발달에 따른 육지 시장과의 접근이 용이해졌기 때문에 남한에서 2번째로 큰 감자재배지역이 되었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으며,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농도를 달

  • PDF

GIS based Effective Methodology for GAS Accident Management (GIS를 이용한 효율적인 가스사고관리 방법에 관한 연구)

  • 김태일;김계현;전방진;곽태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399-406
    • /
    • 2004
  • 최근 급속한 도시의 팽창과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가스시설은 급속히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가스시설물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많은 도시가스업체에서는 가스관망 시설정보를 전산화하여 항상 최신의 현황을 유지할 수 있는 가스시설물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가스시설물의 현황파악 및 유지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기능만을 제공하는 관계로, 가스 누출사고 발생시 정확한 사태의 파악과 함께 신속한 대책 마련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체계적인 가스사고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응용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가스사고분석을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가스사고관리 적용알고리즘 분석 및 최적의 알고리즘을 정립하여 가스사고관리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1ㆍ2차 차단밸브의 산정이 가능해짐으로써 빈번한 가스 누출사고 발생시 실시간으로 적정대처방안의 제시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누출 최대가스량을 제시함으로써 누출에 대한 피해예상 분석을 위한 정보 제공 및 가스의 신속한 재공급을 위해 필요한 의사결정 지원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아울러, 가스누출사고에 의한 가스공급중단 관로 및 수용가에 대한 속성현황의 파악은 물론 시각적인 도식을 통한 전체적 현황파악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가스사고관리시스템의 개발을 통하여 사고 발생시 신속한 사고방안 제시 및 사고피해의 최소화를 위해 필요한 의사결정 지원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국민의 안전 및 복지와 도시가스업체의 업무 효율화로 인한 예산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가시권 분석기능을 이용하여 실제 지형공간상에서 전파경로 손실치를 도시화함으로써 전파관리자가 무선서비스지역 설계, 전파음영지역 판단, 최적 중계기와 기지국 위치 선정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하지 않은 지역과 서로 다른 분광특성을 나타내므로 별도의 Segment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임상도의 경계선으로부터 획득된 Super-Object의 분광반사 값과 그 안에서 형성된 Sub-Object의 분광반사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임상도의 갱신을 위한 변화지역을 탐지하였다.라서 획득한 시추코아에 대해서도 각 연구기관이 전 구간에 대해 동일하게 25%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 ?스굴 시추사업은 2008년까지 수행될 계획이며, 시추작업은 2005년까지 완료될 계획이다. 연구 진행과 관련하여, 공동연구의 명분을 높이고 분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시료채취 및 기초자료 획득은 4개국의 연구원이 모여 공동으로 수행한 후의 결과물을 서로 공유하고, 자세한 전문분야 연구는 각 국의 대표기관이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스굴에 대한 제1차 시추작업은 2004년 3월 말에 실시하였다. 시추작업 결과, 약 80m의 시추 코아가 성공적으로 회수되어 현재 러시아 이르쿠츠크 지구화학연구소에 보관중이다. 이 시추코아는 2004년 8월 중순경에 4개국 연구팀원들에 의해 공동으로 기재된 후에 분할될 계획이다. 분할된 시료는 국내로 운반되어 다양한 전문분야별 연구에 이용될 것이다. 한편, 제2차 시추작업은 2004년 12월에서 2005년 2월 사이에 실시될 계획이다. 수백만년에 이르는 장기간에 걸쳐 지구환경변화 기록이 보존되어 있는 ?스굴호에 대한

  • PDF

A Study on Generating a Coastal Flood Hazard Map (국내 적합한 연안침수지도제작에 관한 연구)

  • 원대희;김계현;박태옥;최현우;곽태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435-440
    • /
    • 2004
  • 연안침수지도는 태풍이나 해일에 의한 연안침수 발생 시 방조제의 월류 및 붕괴로 인한 예상 침수구역을 강우빈도(200년)별로 나타내고, 침수면적과 깊이를 표현한 지도로서 국외 선진국에서 방재형 국토관리 정책결정과 침수피해에 대한 대민 홍보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연안침수에 의한 피해가 나날이 커지고 국토의 개발에 따른 자연 재해가 많아짐에 따라 보다 방재형 국토개발로 국민의 안전과 복리를 증진하고, 연안침수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연안침수지도의 제작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의 시범지역인 대부도 남부지역의 GIS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문헌조사 및 기구축 데이터 확보, 지역의 특성에 맞는 신규 GIS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제시하였다. 침수구역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링을 지원하기 위한 정확도와 경제성, 객관성, 현실성이 높은 지형공간자료의 효율적인 구축이 강조되었다.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의 세부 유형은 침수위험구역, 침수경계구역, 침수량 화살표이며, 기존에 구축된 데이터를 활용한 레이어는 해안선, 도로, 건물, 등고선, 등심선, 연안 표고점 측량데이터이다. 연안침수지도는 효율적인 재난관리를 위하여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나아가 주민의 침수에 대한 경각심 고취와 사전 교육, 지방자치단체의 침수위험 관리업무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연안침수지도는 지자체 주민들을 위해 보기 쉽고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제작되었으며, 이를 위해 사진과 삽화를 추가하여 주민들에게 침수피해에 대한 경각심과 이해를 높이는데 중점을 두었다. 유지관리 후 활용체계 정비의 중요성’을 점검하고, ‘변동자료 발생원인의 분석’, ‘명확한 변동자료 입력 근거의 확보’, ‘갱신주체별 역할의 정의 및 유지관리 기준의 설정’, ‘분야별업무 특성을 고려한 관련 기준의 마련 및 타 시스템과 연계되는 항목을 고려한 절차 정의’ 등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유지관리 모델을 기반으로 각 지자체별로 적절한 컨설팅이 진행되고 이에 따라 담당자의 실천이 이루어진다면 지자체 GIS의 투자대비 효과에 대한 기대는 이상이 아닌 현실로 다가오게 될 것이다.가오게 될 것이다. 동일하게 25%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 ?스굴 시추사업은 2008년까지 수행될 계획이며, 시추작업은 2005년까지 완료될 계획이다. 연구 진행과 관련하여, 공동연구의 명분을 높이고 분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시료채취 및 기초자료 획득은 4개국의 연구원이 모여 공동으로 수행한 후의 결과물을 서로 공유하고, 자세한 전문분야 연구는 각 국의 대표기관이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스굴에 대한 제1차 시추작업은 2004년 3월 말에 실시하였다. 시추작업 결과, 약 80m의 시추 코아가 성공적으로 회수되어 현재 러시아 이르쿠츠크 지구화학연구소에 보관중이다. 이 시추코아는 2004년 8월 중순경에 4개국 연구팀원들에 의해 공동으로 기재된 후에 분할될 계획이다. 분할된 시료는 국내로 운반되어 다양한 전문분야별 연구에 이용될 것이다. 한편, 제2차 시추작업은 2004년 12월에서 2005년 2월 사이에 실시될 계획이다. 수백만년에 이르는 장기간에 걸쳐 지구환경변화 기록이 보존되어 있는

  • PDF

Experimental Study on Engineering Performance Evaluation and Field Performanc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Functional Concrete (친환경 기능성 콘크리트의 공학적 성능평가 및 현장적용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Lee, Byung-Jae;Park, Seong-Bum;Kim, Yun-Yong;Jang, Young-Il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24 no.2
    • /
    • pp.165-172
    • /
    • 2012
  • In this study, the physical, mechanical, structural,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s based on field measured data were evaluated to check the suitability of concrete for ecological preservation and cultivation of a hydrophilic environment. More specifically, the study is focused on develop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functional concrete with river ecology restoration and natural river early formation capabilities. The mechanical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increase in mix rate of the PVA (Poly Vinyl Alcohol) reinforcement fibers and silica fume caused an increase in the strength. The optimal mix rate was found to be 0.05 volume % PVA fiber and approximately 10% silica fume. The frost resistance evaluation showed that superior performance was gained when 0.05 volume % PVA fiber and 15% silica fume was mixed simultaneously. In the structural performance evaluation, the bending strength was improved by 47.7% compared to plain concrete when mixed with 0.05 volume % PVA fiber. The flexural toughness also saw significant improvement. The environmental monitoring of field performance showed that grasses germinated most rapidly, but the growth of red poppies, a plant that germinates in the spring, was most active with passing of time. Coverage measurements in all of the monitoring locations found favorable coverage of over 95% after 12 week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functional concrete had outstanding environmental performance.

Shear Strength of Ultra-High Performance Fiber-Reinforced Concrete(UHPFRC) I-shaped Beams without Stirrup (강섬유 보강 초고성능 콘크리트(UHPFRC) I형 보의 전단 강도)

  • Lee, Ji-Hyung;Hong, Sung-Gul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29 no.1
    • /
    • pp.53-64
    • /
    • 2017
  • Ultra-high performance fiber-reinforced concrete (UHPFRC) is characterized by a post-cracking residual tensile strength with a large tensile strain as well as a high compressive strength. To determine a material tensile strength of UHPFRC, three-point loading test on notched prism and direct tensile test on doubly notched plate were compared and then the design tensile strength is decided. Shear tests on nine I-shaped beams with varied types of fiber volume ratio, shear span ratio and size effect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shear behavior in web. From the test results, the stress redistribution ability represented as diagonal cracked zone was quantified by inclination of principal stress in web. The test results shows that the specimens were capable of resistance to shear loading without stirrup in a range of large deformation and the strength increase with post-cracking behavior is stable. However at the ultimate state all test specimens failed as a crack localization in the damaged zone and the shear strength of specimens is affected by shear span ratio and effective depth. Strength predictions show that the existing recommendations should be modified considering shear span ratio and effective depth as design parameters.

An Efficient Image Retrieval Method Using Informations for Location and Direction of Outdoor Images (outdoor image의 촬영 위치와 방향 정보를 이용한 효율적인 영상 검색방법)

  • Han, Gi-Tae;Suh, Chang-Duk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4B no.5
    • /
    • pp.329-336
    • /
    • 2007
  • In this paper we propose both the construction of image DB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shooting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captured outdoor images and the efficient retrieval method from the DB. Furthermore, for the automatic extraction of the loca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we suggest to have the Digital Camera equipped with an expandable GPS modulo which has a function to calculate the location and direction and also to utilize GPS IFD tags in the EXIF. Then that will make it possible for us to retrieve quickly and precisely the target image with its geography and other objects on the ground included. In the previous retrieval method based only on the location, we eel some extra useless images due to the fact that all the images in the ROI(Region Of Interest) are searched on one condition, radius. However, with the proposed method in this paper, we can not only retrieve all the images selectively within the ROI but also achieve nearly 100% of precision when we search for the target images within DOI(Direction Of Interest) with another condition, direction, added. Applying this method to an image retrieval system, we can classify or retrieve natural images based on the loca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which, in turn, will be vitally useful to diverse industrial fields such as disaster alarm system,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system, traffic information system, and so forth.

Localization of Unmanned Ground Vehicle based on Matching of Ortho-edge Images of 3D Range Data and DSM (3차원 거리정보와 DSM의 정사윤곽선 영상 정합을 이용한 무인이동로봇의 위치인식)

  • Park, Soon-Yong;Choi, Sung-In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1 no.1
    • /
    • pp.43-54
    • /
    • 2012
  • This paper presents a new localization technique of an UGV(Unmanned Ground Vehicle) by matching ortho-edge images generated from a DSM (Digital Surface Map) which represents the 3D geometric information of an outdoor navigation environment and 3D range data which is obtained from a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sensor mounted at the UGV. Recent UGV localization techniques mostly try to combine positioning sensors such as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IMU (Inertial Measurement Unit), and LIDAR. Especially, ICP (Iterative Closest Point)-based geometric registration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for UGV localization. However, the ICP-based geometric registration techniques are subject to fail to register 3D range data between LIDAR and DSM because the sensing directions of the two data are too different. In this paper, we introduce and match ortho-edge images between two different sensor data, 3D LIDAR and DSM, for the localization of the UGV. Details of new techniques to generating and matching ortho-edge images between LIDAR and DSM are presented which are followed by experimental results from four different navigation path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technique is compared to a conventional ICP-based techniq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