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 지형학회

Search Result 7,57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Comparative Study on Time of Concentration Results between Conventional and Dynamic Wave Methods in Urban Area (도시유역에서의 기존 도달시간 산정식과 운동파 해석모형의 결과 비교 연구)

  • Park, Sang Hyun;Kim, Hyeon Jun;Noh, Sung Jin;Jang, Cheol Hee;Mitiku, Dereje Birhan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52-152
    • /
    • 2015
  • 도달시간은 강우에 의한 유역반응을 나타내는 시간매개변수로서 홍수유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이며, 이에 따라 도달시간을 산정하기 위한 여러 가지 경험공식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Kirpich, Kraven 및 Rziha 공식 등과 같은 대부분의 경험공식은 자연유역을 대상으로 개발되었으며 지형학적 인자만을 고려한 산정방법이기 때문에 높은 불투수율, 짧은 도달시간 등의 복잡한 수문학적 특성을 갖고 있는 도시유역에 적용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적합하지 않다. 현재까지 자연유역을 대상으로 한 도달시간 산정에 관한 연구는 국내 외에서 많이 수행되었으나 도시유역에서의 도달시간 산정에 관한 연구는 특히 국내에서 부족한 실정이다. 해외에서는 도시유역의 도달시간을 계산하기 위한 산정식으로 Kerby 공식과, 평평하게 포장된 지표면을 대상으로 개발된 Izzard 공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Kerby 공식은 유역길이(L), 표고차(H), 그리고 조도계수(n)과 같은 지형학적 인자만 고려하는 반면, Izzard 공식은 지형학적 인자와 더불어 실제 유역의 수문특성인 강우강도를 함께 고려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인 사당천을 대상으로 Kerby 공식과 Izzard 공식을 적용하여 실제 수문특성의 반영 여부가 도달시간 산정 값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사당천 소유역 단위에서의 Kerby 및 Izzard 공식 적용과 더불어 도시유출모형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ILLUDAS 모형을 적용하여, 기존 도달시간 산정식의 결과와 운동파 해석 모형을 적용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Calculation of Bed Change Depth using Temperature Sensors (온도 센서를 활용한 하상 변동고 산정)

  • Ahn, Myeonghui;Ji, 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74-274
    • /
    • 2018
  • 최근 지표수-지하수 혼합대 흐름은 하천의 지형학적 및 생태학적으로 그 중요성이 인지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혼합대 흐름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 중 하상형태 변화는 혼합대 흐름의 체류시간 및 이동경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하상형태는 혼합대 흐름 특성 분석을 위한 수리학적 변수로 활용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지형측량 장비를 활용하여 종횡단으로 하상형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최근 온도 센서를 활용하여 장기간 하상형태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하상변화를 예측하는 방법은 하상변화 측정의 지속성 및 효율성을 고려한 적절한 측정 방법 중 하나이다. 온도 센서를 활용한 하상변화 예측 방법은 하상에 온도 분포 센서를 설치한 후 하상 온도 및 수온을 일정한 간격으로 장기간 측정하여 기존에 제시된 공식을 통해 시간에 따른 하상 변동고를 산정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온도 분포 센싱을 활용한 계측방법은 하천에서 발생하는 침식 및 퇴적의 시간적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데 매우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온도 분포 센서를 활용하여 시간에 따른 하상형태 변화를 계측하고, 측정 결과는 하상형태에 따른 혼합대 흐름체류시간 및 이동성 분석을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도 센서를 활용하여 하상형태 예측 및 하상 변동고를 산정하기 위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안동하천실험센터 급경사수로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여 하상 온도와 수온을 약 72시간 측정하였고 유량을 공급하기 전과 후에 Total Station으로 지형 측량을 수행하였다.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결과로 하상 변동고를 산정하였고 이를 Total Station으로 측량한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하상 온도와 수온의 시간에 따른 변화 패턴을 확인하였다.

  • PDF

Estimation of the Probable Wave Height considering Storm Surge in the Ocean near the Nuclear Power Plants (원자력발전소 인근 바다에서 폭풍해일을 고려한 가능 최대 파고 높이 추정)

  • Kim, Beom-Jin;Kim, Minkyu;Hahm, Daegi;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11-211
    • /
    • 2021
  • 최근에 기후변화로 인한 한반도에 내습하는 태풍에 빈도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2020년도 8월 26일 태풍 '바비', 9월 2일 태풍 '마이삭', 9월 7일 태풍 '하이선'은 일주일 내의 간격으로 한반도를 내습하였다. 한반도에 내습한 태풍 중에서 마이삭과 하이선은 동쪽 해역을 지나가면서 강풍과 많은 강우를 초래하였다. 그 결과 특정 원전은 자동 가동중지가 발생되는 사태를 야기 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발전소 인근 해역에서 폭풍해일에 의한 가능최대파고 높이를 추정함으로써 발전소 안전성에 대한 검토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2019 전국 심해 설계파 산출 보고서'를 바탕으로 원전 인근 해역 심해 설계파 지점에 대해 파고, 주기, 해상풍과 같은 변수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100년부터 1000만년까지의 변수들을 예측하였다. 두 번째로 해도자료를 바탕으로 GIS를 통한 지형자료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지형자료를 바탕으로 SWAN 모델의 기초자료를 구성하였다. 세 번째로 추정된 변수들과 구축된 지형자료를 바탕으로 100년부터 1000만년까지의 시나리오별 SWAN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원전 인근 해역에 대한 가능 최대 파고 높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특정 원전인근 해역에서의 평균적인 파고 높이에 대한 재해도 곡선을 추정하고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확률론적인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불확실성을 고려한 재해도 곡선 추정 과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EurOtop을 적용하여 파고 높이에 따른 원전부지의 Overtopping을 추정하고, 최종적으로 폭풍해일에 의한 원전부지의 2차원 침수해석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 홍수 방지 및 예방과 관련한 홍수저감 활동과 관련된 통제실 외부 시설물에 대한 수동 조작에 대한 안전성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겠다.

  • PDF

Development of Terrain Analysis S/W for Military Use of DTM (수치지형 자료의 모델링 및 지형분석 S/W의 개발)

  • Mun Seung-Hwan;Choe Byeong-Gyu;Hwang Mun-Ho
    • Journal of the military operations research society of Korea
    • /
    • v.17 no.2
    • /
    • pp.31-43
    • /
    • 1991
  • The fire effectiveness and the operationability of the ground weapon system (such as tank, armored vehicle, howitzer, MLRS, ${\cdots}$), whose operations are usually happened on the ground, are dependent not only on their performances but also on the terrain environments. Especially, the artillery weapons systems' effectiveness is largely varied, because their maneuverability (such as translation, occupation of their sites) and the fire effectiveness are very dependent on the terrain. In this paper, presented are the methods how to analyze the terrain using the digital terrain data. And a software (which are implemented on the IBM PC compatible personal computer) is developed for the analysis of the terrain using the various method of computer Aided Geometric Design and Modeling. The S/W is expected to be very useful for the evaluation of the artillery weapon systems and for the commanders' decision making.

  • PDF

Numerical Analysis of Wind Driven Current and Mesoscale Air Flow in Coastal Region with Land Topography (육상지형을 고려한 연안해역에서의 중규모 기상장과 취송류에 관한 수치해석)

  • Lee, Seong-Dae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0 no.5 s.72
    • /
    • pp.23-29
    • /
    • 2006
  • A quasi depth-varying mathematical model for wind-generated circulation in coastal areas, expressed in terms of the depth-averaged horizontal velocity components and free surface elevation was validated and used to understand the diurnal circulation process. The wind velocity is considered as a dominant factor for driving the current. In this paper, three-dimensional numerical experiments that included the land topography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mesoscale air flaw over the coastal regions.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inland area was determined through a surface heat budget consideration with the inclusion of a layer of vegetation.A series of numerical experiments were th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urnal response of the air flaw and wind-generated circulation to various types of surface inhomogeneities.

A Study on the 3-D Digital Modelling of the Sea Bottom Topography (3차원 해저지형 수치모델에 관한 연구)

  • 양승윤;김정훈;김병준;김경섭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 /
    • v.5 no.3
    • /
    • pp.33-44
    • /
    • 2002
  • In this study, 3-dimensional virtual visualization was performed for a rapid and accurate analysis of sea bottom topography. The visualization was done through the extracted data using the developed program and the generated data using the gridding method. The data extraction program was developed with AutoLISP programming language and this program was able to extract the needed sample bathymetry data from the electronic sea chart systematically as well as effectively The gridded bathymetry data were generated by the interpolation or extrapolation method from the spatially-irregular sample data. As the result of realization for the 3-dimensional virtual visualization, it was shown a proper feasibility in the analysis of the sea bottom topography to determine the route of submarine cable burial.

Finite Element Simulation for Design of Compound Forging Process for a Hollow Flanged Spindle (플랜지형 중공 스핀들의 복합단조 공정설계를 위한 유한요소 시뮬레이션)

  • Kim, Yohng-J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Process Engineers
    • /
    • v.9 no.3
    • /
    • pp.69-75
    • /
    • 2010
  • A hollow flanged spindle is generally used for the assembly of the driving shaft in some vehicles. This part has conventionally been manufactured by both hot forging and machining process, in which case a circular billet is hot-forged into a flanged spindle blank and then its central part is machined for hollow.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 new forming technology without further machining processes has strongly been in demand. In this study, a new compound forging process of the hollow flanged spindle was proposed through the finite element simulation. By the proposed compound forging process, both extruding of the spindle body part and piercing for the hollow inside it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Metal flow patterns, forging defects and forging force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finite element simulation results.

Efficient Rendering Engine of Large Scale Terrain Data for Streaming Services (대용량 위성영상 지형 데이타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효율적인 렌더링 모듈)

  • Park, Tae-Joo;Lee, Sang-Jun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4 no.7
    • /
    • pp.748-752
    • /
    • 2008
  • Various services are developed from advancement of satellite imagery methodologies and internet infrastructure expansions. However, most of these services still rely upon low-resolution satellite images combined with DEM models. In this paper, we have implemented the raw data processing modules and other modules that transfer and render high-spatial resolution satellite images for efficient streaming services in web environments. By utilizing the Bukhan-mountain data as a pilot study, the paper has proposed the efficient approach to solve graphical problems in real time processing the large geographical area.

Wind Tunnel Experiments for Studying Atmospheric Dispersion in the Complex Terrain I.Dispersion in a mountainous Area (복잡한 지형내 오염물질의 대기확산 풍동실험: I. 산지지형에서의 확산)

  • 경남호;김영성;손재익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8 no.3
    • /
    • pp.169-178
    • /
    • 1992
  • Dispersion of pollutant in a mountainous area is simulated in a wind tunnel. In the northwest side of the terrain model, the sea level is assumed. Wind from the sea initially confronts hills along the shoreline, a line of large buildings next, and finally a valley between high mountains in the south and in the east. In the northwest wind conditions, severe flow separation occurs in the lee side of hills, even beyond the building area. Pollutant from the buildings is trapped in this region and its concentration is the highest. In the west wind conditions, pollutant from the buildings flows along the hills aslant the main wind direction in this case. Since large valley is located in the downstream, pollutant tends to disperse along the valley.

  • PDF

A Study on Computing Pit Excavation Volume by Terrain Surface Approximation (지형곡면해석에 의한 토공량 계산에 관한 연구)

  • 문두열;정범석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6 no.6
    • /
    • pp.37-43
    • /
    • 2002
  • The calculation of earthwork plays a major role in the plan or design phase of many civil engineering projects, such as seashore reclamation; and thus, it has become very important to improve upon its accuracy. There have been common drawbacks to earlier methods of ground profiling, such as dialing with sharp corners or the grid points of any tow straight lines. In this paper, we prepose an algorithm for finding a terrain surface using the natural boundary conditions and the both direction spline method, which interpolates the given three-dimensional data by using splin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lgorithm of the proposed two methods to estimate pit excavation volume should provide a better accuracy than Spot height, Chambers, Chen, or Lin method. Also, the mathematical model mentioned offers maximum accuracy in estimating the volume of a pit exca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