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 전통의상

Search Result 132,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조선시대의 혼례복 규범

  • 이은주;최은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6a
    • /
    • pp.31-33
    • /
    • 2004
  •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혼례복 규범과 변천 양상에 관한 것으로, 신랑의 사모ㆍ관대, 신부의 족두리ㆍ화관에 원삼 또는 활옷이라고 하는 혼례복 규범이 언제부터 형성된 것인지, 보편적인 규범이었는지 등에 대한 검증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검증을 통해 혼례복 전통의 특징과 의미를 파악할 때 올바른 전통 혼례복의 계승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중략)

  • PDF

An Analysis of Oriental Dress Aesthetics Shown in the 197us Western Dress (1970년대 서양복식에 나타난 동양 복식미의 다각적 분석)

  • Nam-Kyung J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3 no.1
    • /
    • pp.143-157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1) 1970년대 서양복식에 존재하는 오리엔탈리즘의 반향에 대해 정의하고, (2) 서양 복식을 통해 표출된 오리엔탈리즘의 의미를 당시 정치, 사회, 문화적인 측면과 연결하여 탐구하는데 있다. 이론적 틀로는 문화인류학 이론에서 유래된 Hamilton의 Unifying Metatheory of Clothing and Textile(1987)이 적용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1970년부터 1979년까지 미국에서 발행된 총 142권의 VOGUE 잡지 중 80권을 분석하여, 오리엔탈리즘이 보여지는 45장의 패션사진을 자료로 추출한 후, 연도, 디자이너의 소속 지역. metatheory에 따라 분석하였다. 각 연도별로 오리엔탈리즘이 표현되는 정도와 방법은 다양하였다. 서양디자이너들은 동양의 전통의상을 거의 그대로 모방하거나 하나 이상의 국가들의 전통의상 디자인 요소들을 하나의 복식에 혼합, 표현하는 방법을 주로 보여주는 반면, 동양 디자이너는 전통의상을 포함한 자국의 다양한 문화적 요소들을 서양복식에 도입하여 표현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복식에서 보여지는 시각적인 면의 분석과 더불어, 1970년대 당시 미국의 정치. 사회, 문화전반의 상황과 복식에 있어서 오리엔탈리즘의 도입과의 영향관계가 파악되었다. 따라서, 복식을 연구함에 있어서 문화인류학적 이론과 같은 다른 분야의 이론의 적용은 복식을 새로운 측면에서 이해하는 넓은 안목과 통합적인 틀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and Vietnamese Traditional Patterns on Necktie Design (한국 및 베트남 전통문양을 응용한 넥타이 디자인 개발)

  • Mai Anh, Pham Ho;Lee, Youn-Soon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 /
    • v.12 no.1
    • /
    • pp.61-76
    • /
    • 2010
  • 세계적으로 넥타이는 착용자의 이미지를 표상하게 됩니다. 따라서 특히 넥타이 디자인에 각국의 문화적 요소를 활용하는 것이 문화적 이미지의 패션 상품 디자인과 함께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및 베트남의 전통문양을 학습에 적용 및 전통적인 문양에 관심을 더 이해할 수 있게 도와 연구팀은 이러한 문양을 활용하여 특별하고 양국의 문화를 내표한 고유하고 세련된 넥타이를 개발하고자 함이다. 우리는 또한 한국 및 베트남 전통문양 사이의 상징성 의미가 특히 유사한 문양을 설계도면 방법차이를 발견했다. 따라서 한국 및 베트남 문양 사이의 조합의 경우, 본 연구뿐만 아니라 국가의 특정 문화에 기여하는 다른 나라에 한국 및 베트남문양에 대한 미학의 측면을 소개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및 베트남 전통문양이 미학적, 실용성 및 문화유산의 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국 및 베트남 전통문양의 소재로는 식물, 동물(조류, 곤충, 상상의 동물, 길상형상 및 문자, 기하형태 등이 있다. 셋째, 한국전통 기하문양의 태극문양과 베트남의 전통기하문양의 특별한 기원과 행운, 창조의 조화 등 의미가 있으며, 이들 각각의 문양은 국기에 사용되어 현대에 이르기 까지 양국가를 상징하는 공통점이 있다. 넷째, 한국 및 베트남의 우호증진을 기원하고 국제경쟁력이 있는 양국의 고유한 문화가 깃든 국제경쟁력이 있는 독특한 넥타이 상품개발을 위해, 양국의 대표적 전통 기하문양인 태극문양과 별문양을 응용하여 넥타이디자인을 행하였다.

  • PDF

청대 피령의 조형적 특성

  • 박현정
    • Proceedings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6a
    • /
    • pp.34-38
    • /
    • 2004
  • 복식사 연구의 의의 중 하나는 고대 복식 자료를 현대 패션 디자인에 활용하는데 있다. 현대 패션디자이너들은 전통 복식의 스타일, 소재, 색, 문양 등에서 디자인 영감을 얻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고대 아시아 북방 민족들에게서 시작되어 중국 본토에 보편화되었으며 청조에는 관복의 구성품목으로 제도화된 피령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중략)

  • PDF

A study of Semiotical Approach for Analysis Costume Works -Focused on flattened Costume Works- (의상작품 분석을 위한 기호학적 접근방법 연구 -평면구조의 의상작품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박현신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3 no.3
    • /
    • pp.91-100
    • /
    • 2000
  • As non-verbal communication medium, clothing has various form to express the artist's statement, for example, flattened clothing. On this thesis, three flattened clothing are analyzed, these works convey the meanings, 1) tradition/ contemporary 2) cynical attitude about body 9) new concept to wear

  • PDF

A Study of the Type of Absent Body in Clothing - Based on Deconstructionism - (의상에 있어서 신체부재의 유형 연구 - 해체적 사고에 근거하여 -)

  • 박현신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5 no.3
    • /
    • pp.231-240
    • /
    • 2002
  • The relationship between doffing and body has been fixed, deconstructism evoked doubt about not only presence or absence of body but also identity for wear. In the result, meta-body which is beyond the existent body was proposed through deconstruction of body which is main concept for doffing. The decostructive body have an effect on the way of expressions and forms for doffing as well as the rational doffing, and propose various types of body absence in clothing. The results are: 1. the absence of gender identity 2. the absence of wholeness in harmony 3. the absence of doffing form 4. the absence of meaning as clothing

  • PDF

Modem Meaning of Han Chinese Clothing(韓服) (한 후의 현대적 의미)

  • Ho, Wei;Lee, Eun-Young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 /
    • v.11 no.1
    • /
    • pp.99-109
    • /
    • 2009
  • 한 후란 중국의 전통 복장을 말하는 것이다. 한 장 (漢裝) 이라고도 하며 고대 복장이라고도 한다. 영어로는 silk robe라고도 한다. 한 후는 한 나라 이후 명나라까지 만주가 정복하기 전인 1644년까지 입혀졌던 중국의 전통복장이다. 최근 중국에서도 전통복장에 대한 새로운 모색이 일어나고 있다. 중국 전통복식으로 대표되는 치파오는 만주족의 한족 말살 정책의 일환으로 간소화시킨 복식이다. 따라서 중국 전통의복은 만주족에 의해 사양길을 가기 전 고대 한 조의 복식이 중국전통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전통적인 한 후 스타일은 벨트를 매며 여밈이 있고 좁은 소매 혹은 넓은 소매가 특징이다. 한 족이 한 나라, 상 왕조, 송나라, 당나라때 입었던 한 후가 중국의 복식을 대표하는 복식이며 주나라의 쉔의는 튜닉과 스타일의 결합으로서 아직도 상류그룹이 입고 있다. 당나라에서는 동방의 문화와 혼합되어 화려하거나 사치스럽게 수정되었고 만주가 침범하여 한 후는 더 이상 전통복으로 입히지 못하였다. 한 후의 현대적 의미를 볼 때 역사적으로는 베트남에서 기모노에 이르기까지 그 원형을 볼 수 있고 한 후를 통해 중국전통 복식의 원류를 찾을 수 있다. 연구방법으로 문헌과 시각자료를 활용하였다. 한 후의 현대적 의미는 전통의 새로운 자각과 세계화 현대화의 노력이라 할 수 있다. 치파오로 규정된 중국복식에 반해 전통 한 후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활용은 세계화와 오리엔탈이미지에 녹아 있는 한 후 디자인 디테일을 통해 현대적 모색을 활용하고 있다. 충분한 시각 자료가 부족하지만 현대적 노력이 앞으로의 중국이미지의 재고를 가져올 것이다.

  • PDF

Undergraduate Students' Perspectives towards Modernization of Historical Costume in Historical Drama -Focused on Havruta Learning- (사극 드라마에 나타난 고증 의상의 현대화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하브루타 학습법을 중심으로-)

  • Kim, Jang-Hyeon;Lee, Yu-Rim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5
    • /
    • pp.343-353
    • /
    • 2021
  • Historical dramas are changing in response to the public who wants more dramatic development, and historical costumes are also expressed in a modern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nization of historical costumes in historical dramas and how the modernization of historical costumes in historical dramas is fostered from the learner's point of view with suggesting implicat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essential problem with the modernization of historical costumes was the excessive modern transformation that undermines historical facts in historical dramas. Second, the negative perceptions of the modernization of historical costumes in historical dramas included the loss of the unique Korean identity, decreased immersion in drama, and the educational influence of media. Positive perceptions focused on the increased interest through raising awareness of traditional culture, compromises on changes in the times, and increased visual play of the public. Third, the implications of the modernization of historical costumes in historical dramas require the awareness improvement of participants in historical drama and a thorough preliminary investigation by the costume designer on the historical costume, an in-depth study of traditional costumes, a systematic educational approach, viewers' attention, and government eff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