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 미기록 종

검색결과 1,332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산 망둑어과 어류 1 미기록종 Istigobius hoshinonis (A New Record of the Gobiid Fish Istigobius hoshinonis from Korea)

  • 이용주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7권1호
    • /
    • pp.39-44
    • /
    • 1991
  • 1986년 8월 2일 제주도 한림읍에서 채집한 망둑어과 어류 1개체가 한국 미기록종인 Istigobius hoshinonis로 동정되었기에 이를 기재하였다. 본 종은 가슴지 느러미에 유리전조가 없고 둥지느러미전방 비늘이 12개 이상, 횡렬린수가 7-9개, 뺨과 새개부에 비늘이 없는점 등에서 동일속의 다른 종들과 잘 구분된다. 본 종의 한국명은 '비단망둑'이라 명명한다.

  • PDF

알락명나방아과의 (나비목, 명나방과) 미기록 2종에 관한 보고 (Two Species of Phycitinae (Lepidoptera, Pyralidae) New to Korea)

  • 치무지에;박보선;배양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305-309
    • /
    • 2014
  • 명나방과(나비목)의2종, Asclerobia sinensis (Caradja & Meyrick, 1937) 와 Acrobasis malifoliella Yamanaka, 2003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2종에 대하여 재기재하고 성충 및 생식기의 도해도를 제시하였다.

한국산 미기록 기생벌 2종(벌목: 깡충좀벌과)에 대한 보고 (New Records of the Two Species of Parasitoid Wasps (Hymenoptera: Encyrtidae) from South Korea)

  • 유영혁;김효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39-42
    • /
    • 2023
  • 깡충좀벌과에 속하는 Neastymachus japonicus (Tachikawa,1970)와 Boucekiella depressa Hoffer, 1954 2종을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본 종의 기술, 분포, 삽화를 수록한다.

한국산 베도라치아목과 등가시치아목(농어목)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sion of the Suborders Blennioidei and Zoarcoidei (Pisces, Perciformes) from Korea)

  • 김수익;강언종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00-525
    • /
    • 1991
  • 1986년부터 1991년까지 우리나라 연안에서 채집된 베도라치아목 Blennioidei과 등가시치아목 Zoareoidei의 어류 표본을 대상으로 분류학적으로 재검토하였다. 베도라치아목 어류는 먹베도라치과 Tripterygiidae의 가막베도라치 Enneoptewgius etheostomus(Jordan et Snyder) , 비늘 베도라친과 Labrisomidae의 비늘베도라치 감eoclinus bwope(4ordan et Snyder) , 그리고 청 베도라치과 B1enniidae의 청베도라치 Pictiblennius yotobei(Jordan et Snyder), 저울베도라치Entomacrodus stellifer lighti(Herre), 대강베도라치 Istibfennius enosimae(Jordan et Snyder), 앞동갈베도라치 Omobranchus elrgons(Steindachner), 골베도라치 O. punctatus (Valenciennes) 및 두줄베도라치 Petroscines breuiceps(Valenciennes)의 7속 8종으로 분류되었다. 이 가운데 N. bwope의 표본은 우리나라에서는 본 조사기간 중 제주도 연안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어 한국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한편 등가시치아목의 어류는 등가시치란 Zoarcidae의 벌레문치 Lycodes tanakoi Jordan et Thompson, 먹갈치 Lycodes nakamurai Tanaka, 등가시치 Zoarces gilrii Jordan et Starts, 실베도라치 Zoarchias aculeatus( Basilewsky), 우베도라치 Zoarchias uchidai Matsubara, 민베도라치 Zoarchias glaber Tanaka, 얼룩가시치 Neozoarces pulcher Steindachner, 칠성갈치 Petroschmidtia toyamensis Katayama, 자갈치 Gvmnelopsis brashnikoui Soldatov, 문자갈치 Dauidijordania poecilimon(Jordan et Fowler) 및 청자갈치 Allolepis hollandi Jordan et Hubbs, 장갱이란 Stichaeidae의 세줄베도라치 식nogrammus hewagrammus(Temminck et Schlegel), 장갱이 Stichaeus grigorjemi Her\ulcornerenstein, 왜도라치 Chri'olophis wui(Wang et Wang ) , 괴도라치 Chirolophis joponicus(Jordan et snyder) , 벼슬베도라치 각ectrias benjamini Jordan et Snyder, 가시베도라치 Lumpenella nigricons Matsubara, 육점날개 Ophistocentws zonope jordan et Snyder, 그물베도라치 Dictyosoma burgeri Van der Hoeven 및 황점 베도라치Dictyosoma wbrimaculata Yatsu, Yasuda et Taki, 그리고 황줄베도라치란 Pholididae의 황줄베도라치 Phoris taczanowskii(Steindachner), 오색베도라치 Phoris omotus (Girad), 베도라치 Pholis nebuloso(Temminck et Schlegel), 횐베도라치 Pholisfangi(Wang et Wang) 및 점베도라치 Pholis crossispino(Temminck et Schlegel)의 17속 25종이 분류되었다. 이중에서 Zoarchias glaber, Chirofophis oui, Alectrias benjamini, Dictyosoma mbrimaculamia 및 Pholis crassispina의 5종은 한국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아울러 이들 미기록종을 포함한 한국산 베도라치아목과 등가시치아목 어류의 속 .종 검색선 와 종별 사진을 제시하고, 이들 표본을 근거로 하여 형태적 특징, 계수계측치, 채집지 및 서식처를 기록하였으며, 이들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해 논의하였다. 우리나라에 출현하는 베도라치아권의 어류는 거의 대부분이 제주도 연안과 서남해 연안에 제한분포하는데, 등가시치아목의 어류는 주로 동해연안에서 많은 종이 출현하고 있어서 동물지리학적으로 주목된 다.

  • PDF

대전광역시 옥녀봉과 연자산 나뭇잎으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Unrecorded Yeasts Isolated from Leaves of Trees of Oknyeobong Peak and Yeonjasan Mountain in Daejeon, Korea)

  • 한상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3-30
    • /
    • 2017
  • 각종 나뭇잎들의 효모 분포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전광역시 서부지역에 위치한 옥녀봉과 연자산의 나뭇잎들로부터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이들로부터 국내 미기록 효모들을 선별하여 균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옥녀봉의 나뭇잎 20점으로부터 15종 22균주의 야생효모를 분리, 동정하였고 Cryptococcus bestiolae가 5주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또한 연자산 나뭇잎 20점에서는 모두 12종 24균주의 야생효모를 분리하였고 Aureobasidium pullulans가 8주로 가장 많았다. 옥녀봉과 연자산에서 분리한 야생효모 46균주 중에서 6종(Cryptococcus kuetzingii JSL508, Cryptococcus vishniacii JSL509, Dioszegia takashimae JSL510, Plowrightia periclymeni JSL514, Erythrobasidium hasegawianum JSL0193, Rhodotorula nothofagi JSL0196)을 국내에서 보고되지 않은 미기록 효모들로 최종 선별하였다. 이들의 균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E. hasegawianum JSL0196은 자낭포자와 의균사를 형성하지 않았다. D. JSL510 외 모든 미기록 효모들은 내염성 또는 호염성이었고, C. JSL508과 D. JSL510은 $37^{\circ}C$에서 생육하는 고온성 효모들이었다.

한국산 바다뱀과 어류 1미기록종 Muraenichthys gymnopterus (Anguilliformes: Ophichthidae: Myrophinae) (New Record of a Worm Eel Muraenichthys gymnopterus (Anguilliformes: Ophichthidae: Myrophinae) from Korea)

  • 김병기;정충훈;한경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18-323
    • /
    • 2008
  • 인천 연안에서 뱀장어목 바다뱀과 어류 1개체(전장 254.6 mm)가 채집되었다. 한국에서는 미기록 종인 Muraenichthys gymnopterus로 동정되었고, 본종이 포함되는 속(Muraenichthys), 아과(Myrophinae) 역시 한국 미기록으로 확인되었다. 본 종은 아가미구멍이 수축되었고, 체측면의 중앙에 열려있으며, 등지느러미 기부는 항문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아가미구멍보다는 항문에 더 가깝다. 모든 이빨은 끝이 뭉툭하며, 하악치는 띠를 형성하고, 상악치, 하악치, 서골치의 치열은 다열형이다. 세번째 preopercular pore (전새개골공)가 있으며, 전비공과 후 비공 사이에 하나의 infraorbital pore (안하골공)가 있다. 체색은 갈색을 띠고, 아가미구멍에서의 체고에 대한 전장은 43.2배, 체폭에 대하여는 33.7~65.3배, 두장은 눈 지름의 15.0~31.0배이다. 척추골수는 154~161개이다. Subfamily Myrophinae는 "갯물뱀아과", genus Muraenichthys는 "갯물뱀속", M. gymnpopterus는 "갯물뱀"으로 각각 국명을 신칭한다.

한국미기록종 실꽃말미잘(Cerianthus filiformis) 의 보고, 성체와 플라눌라 유생의 자포 비교 포함 (First Report of a Tube Anemone, Cerianthus filiformis Carlgren, from Korean Waters, Including Comparison of Cnidae in Adults and Planulae)

  • 송준임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권2호
    • /
    • pp.79-87
    • /
    • 1986
  • 한국산 산호충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1970년부터 1985년까지 한국 황해 연안에있는 군락지와 흑산도에서 채집된 실꽃말미잘( Cerianthus filiformis)을 동정한 결과 한국미기록종으로 밝혀졌다. 1985년 4월에 채집된 개체는 몸속에 플라눌라 유생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들은 다양한 자포를 약간 갖고 있었고, 몸밖으로 나온 플라눌라 유생에서는 보다 분화된 자포를 갖고 있었다. 특히 성체에서는 체벽에 있는 자포 중 ptychocyst가 처고형성에 지주 역할을 함을 볼 수 있었다.

  • PDF

산애기잎말이나방족(族)의 한국(韓國) 미기록(未記錄) 7종(種) (Seven Species of Olethreutini(Lepidoptera : Tortricidae) New to Korea)

  • 박규택;천변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93-200
    • /
    • 1986
  • 신애기잎말이나방족(族)(애기잎말이나방아과(亞科), 잎말이나방과(科))에 속하는 다음 7종(種)이 우리나라 미기록종(未記錄種)으로 보고(報告)된다. 새로이 보고(報告)되는 종(種)들은 달구지애기잎말이나방, Olethreutes siderana(T.); 돌기무늬애기잎말이나방, O. pryerana (W.); 우수리애기잎말이나방. O. nigricrista F.; 귤빛애기잎말이나방, Pseudohedya retracta F.; 혹돌기애기잎말이나방, Apotomis capreana(H.); 세모애기잎말이나방, Cryptaspasma maginifasciata(W.); 극남방애기잎말이나방, C. angulicostana(W.) 등(等)으로 각각 우리말 이름들이 명명(命名)되었다.

  • PDF

한국 미기록 식물: 제주백운풀(꼭두서니과) (First record of Oldenlandia brachypoda DC. (Rubiaceae) in Korea)

  • 남보미;박명순;정규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30-133
    • /
    • 2010
  • 제주도 서귀포시에서 발견된 Oldenlandia brachypoda DC.를 한반도 미기록종으로 확인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본 종은 속 내의 근연종인 백운풀(Oldenlandia diffusa)에 비해 소화경은 짧고, 돌기가 없으며, 엽액에서 1-3개의 꽃이 피고, 수술대는 0.5-0.8 mm로 길며, 악편은 삼각형, 성숙시 열매의 상부는 팽창하지 않는 점에서 구분된다. 국명은 자생지가 제주도인 점을 고려하여 '제주백운풀'로 명명하였으며, 주요 형질에 대한 도해와 기재,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미기록 침입외래종 보고 : Ludwigia peploides (Kuntze) P.H.Raven (Report : Unrecorded alien plant in South Korea : Ludwigia peploides (Kuntze) P.H.Raven)

  • 김혜원;장창석;박수현;조혜련;손동찬;장계선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2-72
    • /
    • 2018
  • 의도적 도입 또는 비의도적 도입에 의해 국내에 확산되고 있는 침입외래식물은 경제적, 환경적인 해를 가할 수 있으며 자생종의 감소나 절멸을 초래하는 등 생물다양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습지나 저수지 및 하안 생육지는 스트레스와 교란에 의해 외래식물 유입과 확산이 용이하므로 국립수목원에서는 이를 관리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원시 하천변에서 발견한 바늘꽃과에 속하는 Ludwigia peploides (Kuntze) P.H.Raven가 생태계교란종으로 확산 될 우려가 있어 본 종에 대한 기재, 도해, 칼라도판 등을 첨부하여 침입외래식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