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 미기록 종

검색결과 1,332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산 곰치과(뱀장어목) 어류 1 미기록종, Echidna nebulosa (First Record of Echidna nebulosa (Anguilliformes, Muraenidae) from Korea)

  • 강충배;이유진;김진구;한송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478-483
    • /
    • 2022
  • A single specimen (522.0 mm in total length) of the family Muraenidae, collected from the waters off south-western Jeju-do Island in November 2021, was identified as Echidna nebulosa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methods (DNA barcoding).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several morphological traits as follows: 10 rounded molar, median intermaxillary, and vomerine teeth; 4 predorsal vertebrae, 50 preanal vertebrae and 123 total vertebrae; and a pale background color with two rows of 17-20 blackish brown starry blotches along the head and body. A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E. nebulosa in Korea, we propose the new Korean names, "Dung-Geun-Ni-Gom-Chi-Sog" for the genus Echidna, and "Beol-Kkok-Gom-Chi" for E. nebulosa.

경제작물에 영향을 미치는 뿌리혹 선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spp.) Affecting Economic Crops in Korea)

  • 최영연;추호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9-98
    • /
    • 1978
  • 경제작물증산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뿌리혹선충에 간하여 1977년 경상남, 북도 경기도 제주도 등의 4개도 46개 지역에서 66개의 재료를 채집하여 조사한 결과 뿌리혹선충 종두는 Meloidogyne hapla. Meloidogyne arenaria, Meloidgyne incognita 그리고 Meloidogyne javanica등 4종이 발견되었으며 동정된 4종의 뿌리혹선충의 중요 형태적 특징을 기술했다. 이 중에 Meloidogyne javanica는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경기도 수원시 이목동 원예시험장의 감자, 경북 대구시 검사 동의 배추, 대구시 산격동의 오랑캐 꽃, 경남 남해군 초음리의 호박 등에서 발견되었다. 지역별 뿌리혹선충 종류별 분포상태는 제주도에서는 전부 Meloidogyne incognita만 발견되었고 다름 3종은 발견도지 않았다. 그러나 경기도에서는 Meloidogyne incognita는 전연발견되지 않았다. 경상북도와 경기도에서는 Meloidogyne hapla가 가장 많이 발견되었으며 경상남도에서는 4종 모두 발견되었으나 Meloidogyne hapla와 Meloidogyne incognita가 비슷하게 분포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빈번히 광범하게 분포하고 있는 종은 Meloidogyne hapla로 전체 조사수의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이 Meloidogyne incognita로 $33.3\%$, Meloidogyne arearia $10.6\%$, Meloidogyne javanica $6.0\%$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피해상태는 제주도가 가장심하게 나타났고 다음이 경남, 경북, 경기 등의 순이었다. 뿌리혹선충의 피해를 받고 있는 직물은 24종이 발견되었으며, 그 중에 특히 중요한 농작물로는 콩, 땅콩, 감자, 토마토, 오이, 당근, 호박, 수박, 우엉, 고추, 가지, 배추, 상치, 담배, 인삼 등이었다. 전반적으로 뿌리혹선충방제를 위한 지도 계몽이 시급히 요구된다.

  • PDF

한국산 숲모기 Aedes (Aedimorphus) alboscutellatus에 대한 분류학적 기술 (Description of Aedes (Aedimorphus) alboscutellatus occuring in Korea)

  • 이관우;알렌 엔 헌트;필립 이 후레이셔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1권1호
    • /
    • pp.111-117
    • /
    • 1983
  • 1979∼1980연 칠월초에 서부 비무장지대 (DMZ)에서 모기 유충채집을 실시한 바 Aedes alboscutellatus의 유충을 제집하여 사육한 결과 성충(♀,♂), 완전유충, 유충 및 편의 탈피각등 분류에 필요한 자료를 얻었다. 이 종은 Reisen등(1971)에 의하여 한국에서 처음 성충(♀)채집을 기록하였으나 이를 확증할 만한 표본이나 분류학적인 기재가 없어 분류상의 오독으로 간주되어 왔었다. 저자등은 본 채집을 통하여 분류상 필요한 모든 자료를 수집하였기에 성충(♀, ♂), 유충, 항, 자충생식기등의 특징을 Reinert(1973)의 기재와 상세히 비교 검토한 결과 웅충에서 gonostylar claw와 basal mesal lobe에 있는 강모의 수가 다르고 자웅충에서는 subspiracular area에 횐 비늘들이 모여있는 점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이들 차이점을 여기에서는 단지 지리적 변화로 간주하였으므로 더 많은 수의 채집을 통하여 보다 확실한 구각이 요구된다 이 표본의 장기보관을 위하여 암수 각 한개섹의 표본과 그에 수반되는 유충 및 편의 탈피곡 표본을 미국 Smithonian연구소에 보냈으며 나머지는 미 8군 예방의무부 곤충연구실에 보관되어 있다.

  • PDF

한국상 상어류(Elasmobranchii) 2 미기록종 Sphyrna lewini와 Alopias vulpinus (New records of Sharks, Sphyran lewini and Alopias vulpinus (Pisces: Elasmobranchii) in Korea)

  • 최윤;김익수;나카야 카즈히로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3권4호
    • /
    • pp.285-290
    • /
    • 1997
  • 우리나라의 서해연안에서 채집된 상어류 2개체는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보고된 바 없는 Sphyrna lewini(Griffith and Smith)와 Alopias vulpinus(Bonnaterre)로 동정되었다. S. lewini는 귀상어(S. zygaena)와 유사하지만 두부의 중앙부가 함입되엉 있고, 제2등지느러미 끝이 거의 꼬리지느러미에 달한다는 점에서 귀상어와 구분되었다. A. ulpinus는 환도상어(A. pelagicus)와 유사하지만 복부의 흰색이 가슴지느러미 기부 위까지 확장되고, 입의 양쪽 끝에 입술주름이 있어서 환도상어와 구분되었다.

  • PDF

화본과식물에서 분리한 Curvularia spp.의 동정 (Identification of Curvularia spp. Isolated from Gramineous Plants in Korea)

  • 이정혜;김진원;이두형;심규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6-60
    • /
    • 2002
  • 1998년 병든 화본과작물, 목초, 잔디 및 야생잡초의 잎점무늬와 마름병징으로부터 Curvularia spp. 16균주를 분리하였다. 이들 균주를 균학적 특징을 기초로 동정한 결과 C. cymbopogonis, C. inaequalis, C. intermedia, C. lunata, C. lunata var. aeria, C. ovoidea, C. pallescens C. senegalensis로 동정되었다. 이중에서 C. cymbopogonis, C. lunata var. aeria, C. ovoidea, C. senegalensis는 국내에서 처음 보고되는 미기록종들이다.

자두 과실을 가해하는 새로운 잎벌류 해충, Monocellicampa pruni Wei (벌목, 잎벌과) 보고 (A New Sawfly Pest, Monocellicampa pruni Wei (Hymenoptera, Tenthredinidae) Attacking Fruitlets of Japanese Plum in South Korea)

  • 박비아;능엔남하이;이종욱;홍기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29-333
    • /
    • 2019
  • 2018년과 2019년 봄철에 전남 광양의 일부 자두(Prunus salicina Lindl.) 과수원에서 어린 과실을 낙과시켜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는 새로운 해충을 채집하여 사육한 후 우화한 성충을 분류동정한 결과, 국내미기록종인 자두수염잎벌(신칭; Monocellicampa pruni Wei)로 확인되어 보고한다. 또한 이 해충의 피해 상황과 분류학적 특징을 기재함과 동시에 수컷생식기의 특징을 도해하여 제시하였다.

한국에서 발견된 국내 미기록종 Daldinia childiae의 미세형태적 고찰 (Consideration of Daldinia childiae as a New Record in Korea,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 Collections)

  • ;한상섭;사동민;이양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37권4호
    • /
    • pp.289-295
    • /
    • 2007
  • The genus Daldinia is a member of the Xylariaceae that has brown to dark brown and phaseoliform single cell ascospores with a conspicuous full germ slit. The isolate of D. childiae collected from Mt. Deuk-yu in Korea were compared with similar taxa, D. eschscholzii and D. concentrica.. Ascospores were $11{\sim}13{\mu}m{\times}5.5{\sim}6{\mu}m$ in size, light brown to brown, unicellular, ellipsoid-inequilateral, with dull round ends. Ascospore showed very faint ornamentation at ${\times}7.0k$ magnification. It is one of the ma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Korean collection of D. childiae under SEM level and a main reason of reinterpretation of D. concentrica in Korea. Using KOH-extractable pigment color of stroma, D. concentrica that also has supported the SEM level investigation. Daldinia concentrica, having those characteristic recorded in Korea, should be renamed as D. childiae. However, the isolate will be the first record as D. childiae, having precise morphological description in Korea.

감나무 잎에서 분리한 Phialocephala piceae에 대한 보고 (A New Report on Phialocephala piceae Isolated from Leaf of Diospyros kaki in Korea)

  • 박상규;이승열;이재진;강인규;이향범;정희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88-192
    • /
    • 2016
  • 경상북도 상주시에 재식된 감나무 잎의 표면에서 국내 미기록종인 곰팡이를 분리하여 형태학적 및 계통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리된 곰팡이는 Phialocephala piceae의 형태적 특징인 암갈색 균총과 굵고 짧은 분생자경 유사조직을 관찰할 수 있었다. Phialocephala속의 동정에 사용되는 internal transcribed spacer 영역과 RNA polymerase II largest subunit 유전자를 이용한 계통학적 분석을 통해 해당균이 P. piceae임이 확인되었고, 이를 통해 최초로 국내에 P. Piceae가 존재함을 보고하였다.

토양에서 분리한 Diaporthe tectonae에 대한 보고 (First Report of Diaporthe tectonae Isolated from Soil in Korea)

  • 박상규;이승열;이재진;백창기;이향범;정희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83-89
    • /
    • 2017
  • 전북 전주시 완산구의 토양으로부터 국내 미기록종인 균류를 분리하였다. 형태학적 특징 및 ITS영역, ${\beta}-tubulin$, $EF1-{\alpha}$ 유전자를 이용한 계통학적 분석 결과, 토양에서 분리한 균류는 Diaporthe tectonae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본 연구를 통해 D. tectonae가 국내에 존재함을 최초로 보고하였다.

한국 남해에서 채집된 둥글넙치과(가자미목) 1미기록종, Crossorhombus azureus 후기자어의 형태기재 및 분자동정 (Morphological description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of the newly recorded bothid, Crossorhombus azureus (Bothidae, Pleuronectiformes) postlarva collected from the southern sea of Korea)

  • 서민주;유효재;김진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7권3호
    • /
    • pp.264-269
    • /
    • 2021
  • A single postlarva (9.72 mm in standard length) specimen of Crossorhombus azureus (Alcock, 1889) belonging to the family Bothidae, was collected using a bongo net from the southern sea of Korea on December 10, 2019.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having spines on post basipterygial processes. It has two eyes located at the opposite side in head, which accordingly belongs to pre-metamorphosis stage. Melanophores are distributed on the dorsal and anal fin base on the right side (blind side), which is regarded as a useful identification key distinguishing C. azureus from congeneric species in their postlarval stage. A molecular analysis based on mitochondrial DNA COI sequences showed that our specimen was closely matched to adult C. azureus (K2P distance = 0.017). As there is no Korean name for the genus Crossorhombus in spite of presence of Crossorhombus kobensis and its Korean name "Go-be-dung-geul-neob-chi" in Korea, we proposed a new Korean name "Dung-geul-neob-chi-sog" for the genus Crossorhombus and "Pa-lang-dung-geul-neob-chi" for the species C. azure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