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 미기록 종

검색결과 1,332건 처리시간 0.027초

진도의 육상 하모섬모충류 2미기록 종의 재기재 (Redescription of Two Terrestrial Hypotrichous Ciliates from Jindo Island, Korea)

  • 권춘봉;신만균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nspc5호
    • /
    • pp.71-79
    • /
    • 2005
  • 진도의 육상에 서식하는 하모섬모충류 2종, 근사전열하모충 (Holostichides chardezi Foissner, 1987)과 팔핵경피하모충[Rigidocortex octonucleatus(Foissner, 1988)]은 한국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종으로서 이들에 대해서 자세히 재 기재하고 이들의 형태적 변이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이 두 종의 식별형질에 대해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근사전열하모충은 길쭉한 몸을 가지며 뒤틀리거나 유연하다. 표층에는 연노랑의 알갱이 고루 분포하고, 막판구대는 체장의약 $28\%$를 차지한다. 좌우의 중앙복극모열이 쌍으로 존재하며 좌측열은 구부정점까지 이르고, 우측열은 몸의 중앙까지 이른다. 후방극모가 없고, 좌우 측극모열은 몸의 후단까지 이르지만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28-42개의 대핵과 1-5개의 소핵은 몸 전체에 흩어져 있다. 미극모는 3개, 등쪽섬모열은 4열이다. 팔핵경피하모충은 계란형의 몸을 가지며 뻣뻣하거나 잘 수축하지 않는다. 연노랑의 세포질 결정체와 지방체가 촘촘히 존재한다. 막판구대는 체장의 약 $40\%$를 차지한다. 후방극모는 5개이고. 좌우 측극모열은 몸의 후단까지 이르지만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8개의 대핵이 몸의 중앙에 세로로 배열한다. 미극모는 3개, 등쪽섬모열은 분절된 것이 많으며 7-10열이다.

담수환경에서 발굴된 Didymella속 3종의 국내 최초 보고 (First Report of Three Didymella Species Isolated from Freshwater Ecosystem in Korea)

  • 문혜연;고재덕;오유선;정애란;정남일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8
    • /
    • 2018
  • 국내에 보고되지 않은 3종의 균류가 담수환경으로 부터 분리되었다. NNIBRFG108은 강원도 삼척의 담수침전식물체에서 분리되었고, NNIBRFG1139와 NNIBRFG1480은 경북 김천과 제주지역의 토양으로부터 분리되었다. 형태적 특징 및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ITS), 18S rDNA, 28S rDNA 및 ${\beta}$-tubulin 유전자를 이용한 분자계통학적 분류를 통해 동정한 결과, NNIBRFG108, NNIBRFG1139, NNIBRFG1480 균주는 각각 Didymella segeticola, D. ellipsoidea 및 D. aeria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국내에서는 발견되지 않은 미기록종으로 본 보고가 국내 최초이다.

국내 미기록 곤충기생성 응애, Pyemotes moseri Yu et Liang (Acarina: Pyemotidae)의 생식 및 기생 능력 (Reproduction and Parasitization Capacity of an Insect Parasitic Mite, Pyemotes moseri Yu et Liang (Acarina: Pyemotidae) New to Korea)

  • 김세진;이종호;양창열;강택준;조명래;홍기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93-400
    • /
    • 2015
  • 국내 미기록종 Pyemotes moseri Yu et Liang (Acarina: Pyemotidae)는 곤충기생성 응애로 매실 씨앗 속 유충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발견당시 응애가 기생하고 있었던 기주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증폭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복숭아씨살이좀벌의 유충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실험실 조건하에서 P. moseri의 번식과 기생 능력을 조사하였다. 복숭아씨살이좀벌의 유충을 기주로 이용하여 P. moseri의 교미한 암컷 성충을 사육하면서 주기적으로 관찰하여 새로 태어나는 자손의 수와 성별을 조사한 후 제거하였다. 기생 능력 조사는 원예용 상토가 깔린 스테인레스 바트에 대량 사육한 응애가 들어 있는 튜브와 복숭아씨살이좀벌 유충이 가해한 매실 씨앗을 함께 담은 후 지퍼백에 넣어 인큐베이터에 보관하였다. 복숭아씨살이좀벌 유충 또는 번데기에 응애의 기생 여부를 확인하고자 한달 후 매실 씨앗을 조사하였으며 본 실험은 5반복씩 3회 실시하였다. 교미한 암컷이 기생하기 시작한 이후부터 생식이 끝날 때까지의 기간은 평균 24.4일(n=8)이었으며 교미한 암컷 한 마리당 평균 104.0마리(n=8)의 암컷을 낳았디. 복숭아씨살이좀벌의 유충 또는 번데기가 들어 있는 매실 씨앗은 바트당 평균 7개 이상이었고 이중 단 2개의 씨앗에서만 기생에 성공한 응애를 관찰하였다.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 산림토양에서 분리한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미생물학적 특성과 생리기능성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Unrecorded Yeasts from Mountains Soil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Chungcheongnam-do, Korea)

  • 한상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38-144
    • /
    • 2016
  • 대전광역시 연자산과 충청남도 주요 산림 토양들로부터 분리, 동정한 야생효모들 중 국내 미기록종으로 Pseudozyma prolifica HL9-1, Trichosporon coremiiforme NS19-2, Candida cretensis SA4-1, Cryptococcus diffluens TJ4-3, Cryptococcus pinus YB17-2 등의 유포자효모와 Candida vartiovaarae DD2-5, Pichia galeiformis DM3-5, Candida pseudolambica JW2-3, Trichosporon xylopini NS5-1, Trichosporon moniliiforme NS5-7, Tetrapisispora iriomotensis NS14-2, Tetrapisispora nanseiensis SA17-1 등의 무포자효모들을 선별하여 이들의 미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12균주 모두 구형~타원형이었고 출아법으로 영양증식하였으며 yeast extract peptone dextrose (YPD) 배지에서 잘 생육하였다. 특히 Candida cretensis SA4-1과 Tetrapisispara iriomotensis NS14-2은 10% NaCl을 함유한 YPD 배지에서 잘 생육하는 호염성 효모들이었다. Candida vartiovaarae DD2-5외 3균주들은 유당을 자화시켰으며 Tetrapisispora nanseiensis SA17-1은 xylose를 자화시키고 동시에 발효시켰다. Candida cretensis SA4-1과 Tetrapisispara iriomotensis NS14-2 두 호염성 효모들의 생리기능성을 조사한 결과 이들의 무세포추출물들의 항고혈압성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이 각각 71.3%와 68.4%로 높았다.

국내 미기록 선충포식성 곰팡이 Arthrobotrys sinensis의 형태 및 분류 (First Report of an Unrecorded Nematode-trapping Fungus, Arthrobotrys sinensis in Korea)

  • 하지혜;강헌일;강항원;김동근;이동운;김용철;최인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9-13
    • /
    • 2019
  • 선충포식성 곰팡이는 선충을 포획하기 위하여 다양하고 특수한 기관을 사용한다. 국내 성주지역의 참외 경작지 뿌리 주변의 토양에서 3차원 접착 고리를 형성하여 선충을 포획하는 곰팡이를 분리하였다. 곰팡이의 미세형태 구조를 관찰한 결과 분생포자병은 직립형으로 길이는 $290{\sim}528(342.8){\mu}m$으로 길었으며, 계란형의 $30.5{\times}20.3{\mu}m$ 크기를 가진 1~3개의 분생포자를 형성하였다. 균주의 rDNA의 5.8 S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Arthrobotrys속의 계통군에 속하였으며, 특히 Arthrobotrys sinensis와 99%의 유사성을 보였다. 형태적 특징과 분자생물학적 계통 분석을 바탕으로 본 균주는 A. sinensis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국내 미기록종으로 식물기생성선충의 생물학적 조절을 위한 하나의 자원이 될 수 있다.

인도 북동부의 동히말라야 상부 Siang 지역의 식물다양성 및 식생 조사 (Floristic diversity assessment and vegetation analysis of Upper Siang district of eastern Himalaya in North East India)

  • ;;;이중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22-246
    • /
    • 2012
  • 이 연구는 세계 39개 생물다양성 hot spot중에 하나인 인도 동부 히말라야 상부 Siang 지역의 식물상을 4년 동안 조사한 결과물이다. 이 지역의 식생에 대한 분석결과와 함께 조사된 총 1,003분류군, 110과, 529속, 994종, 1아종 그리고 8변종의 피자식물 목록을 첨부하였으며 1신종, 3미기록종 및 82특산종을 포함하고 있다. 초본과 관목의 다양성이 교목보다는 높게 나타났으며 과별로는 벼과, 콩과 그리고 난과 순으로 다양성이 우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지역의 절멸위기에 처한 종들을 보고함과 동시에 급속한 도시화와 화전은 자연식생의 직접적인 절멸을 가속화하고 있어 이 지역의 자연유산을 보호하고 보존하는 방법을 찾는데 도움이 되기를 제안한다.

한국(韓國) 중부(中部) 지방(地方)의 토양(土壤)에 분포되는 Streptomyces의 분류(分類) (Class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Streptomyces Isolated from Soil of Middle Part of Korea)

  • 윤봉식;신관철;최재을
    • 농업과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44-55
    • /
    • 1989
  • 우리나라 토양중의 Streptomyces를 분류, 동정하고자 토양으로부터 총 826 균주이 Streptomyces를 분리하여 1차 배양하고 형태적, 생리적 특성이 다른 65 균주를 선발하여 I.S.P 방법에 따라 총 46 종의 Streptomyces를 동정하였으며 그 중 국내미기록종은 38종으로서 마음과 같다. 1) melanin 색소형성균 S. lavendulae, S. tuirus, S. purpurascens, S. violarus, S. lateritius, S. olivochromogenes, S. purpeofuscus, S. fulvoviolaceus, S. gallilaeus, S. naganishii, S. hygroscopicus subsp. ossamyceticus, S. nevagawaensis, S. anandii, S. phaeopurpureus, S. mirabilis, S. arenae, S. massasporeus, S. eurythermus. 2) Melanin 색소 비형성군 S. fellus, S. flavidovirens, S. exfoliatus, S. fumanus, S. termitum, S. glomeroaurantiacus, S. luteofluorescens, S. prunicolor, S. fradiae, S. tauricus, S. griseolus, S. misakiensis, S. poonensis, S. antimycoticus, S. diastaticus subsp. ardesiacus, S. nigrifaciens, S. tendae, S. narbonensis subsp. josamvceticus, S. atroolivaceus, S. chrysomallus subsp. fumigatus.

  • PDF

한경 곶자왈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식물상 (Flora of Hangyeong Gotjawall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Area in Jeju-do)

  • 박지현;현화자;임은영;김창욱;정준호;강신호;송관필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1-61
    • /
    • 2018
  • 한경 곶자왈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은 개가시나무와 백서향 등을 포함한 암괴지대의 상록활엽수림으로서 그 중요성이 인정되어 산림유전자원 생태보전지역으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지역의 식물상을 조사하여 곶자왈의 분포식물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라산 서쪽 곶자왈지역 중 곶자왈 산림유전자원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을 2017년 6월부터 2017년 9월까지 20여 차례 현장조사를 통하여 표본을 수집하고 이를 기록 정리하였다. 조사지역의 식물은 총 83과 181속 236종 23변종 2품종 총 261종으로 조사결과 양치식물이 7과 18속 30종 2변종 32분류군, 나자식물이 1과 1속 2분류군, 피자식물은 74과 162속 204종 21변종 2품종 227분류군 이었다. 그 중 쌍자엽식물은 67과 139속 179종 16변종 1품종 196분류군이고, 단자엽식물이 7과 23속 25종 5변종 1품종 31분류군이었다. 조사에서 확인된 환경부 멸종위기야생식물은 개가시나무 1종 이었다. 식물 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총 9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등급별로는 V등급 검정개관중, 개가시나무로 2분류군, IV등급 백서향, 녹나무 등 12분류군, III등급 아왜나무, 호자나무 등 37분류군, II등급 올벚나무, 개산초 등 13분류군, I 등급 푸조나무, 자금우 등 3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의 적색목록 식물을 분석해보면 취약(VU)은 개가시나무, 섬다래 등 3분류군, 준위협(NT)은 백서향, 약난초로 2분류군, 관심대상종(LC)은 골고사리, 새우난초 등 9분류군, 미평가종(NE)은 빌레나무 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청수 저지 곶자왈 지역의 생태학적 자료로 제주도 내 곶자왈과 비교하였을 때 맹아가 발달한 종가시나무가 우점하는 지역으로 향후 상록수림 천이에 의해 상록수 아래에 자라는 식물로 낙엽활엽수가 대체될 것으로 추정되어 지속적인 조사가 요구된다.

  • PDF

광릉시험림(光陵試驗林)의 부생성(腐生性), 균근성(菌根性) 및 기생성(寄生性) 고등균류(高等菌類)의 분포(分布)와 다양성(多樣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Saprophytic, Mycorrhizal and Parasitic Higher Fungi in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in Korea)

  • 이경준;오르손 밀러;김양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6권4호
    • /
    • pp.376-389
    • /
    • 1987
  • 1976년(年), 1984년(年), 1985년(年), 1986년(年)의 7월(月)부터 10월(月)까지 경기도(京畿道) 광릉(光陵)에 있는 임업시험장(林業試驗場) 중부지장(中部支場)의 시험림(試驗林)에서 고등균류(高等菌類)를 채집(採集)하여 분류(分類)하였다. 총(總) 104속(屬) 257종(種)의 담자균류(擔子菌類)를 동정(同定)하였는데, 그중(中) 부생균(腐生菌)이 75속(屬), 135종(種)으로써 전체종수(全體種數)의 52%를, 외생균근성(外生菌根性)의 28속(屬) 120종(種)으로써 47%를, 기생균(寄生菌)이 1속(屬) 2종(種)으로써 1%를 점유(點有)하고 있었다. 균근(菌根)버섯 중에서 광대버섯속(屬), 무당버섯속(屬), 젖버섯속(屬)이 전체균근(全體菌根)버섯종수(種數)의 53%를(63종(種)) 차지했으며, 이는 전체(全體)버섯종수(種數)의 25%에 해당(該當)한다. 위의 세가지속(屬)의 버섯들이 광릉시험림(光陵試驗林)의 우점종(優占種)(속(屬))이라고 할 수 있다. 문헌조사결과(文獻調査結果) 257종(種) 중(中)에서 한국미기록종(韓國未記錄種)이 77종(種)에 달함을 발견(發見)하였다.

  • PDF

한국 제주도에서 채집된 동갈돔과 어류, Ostorhinchus fleurieu 첫 기록 (First Record of the Flower Cardinalfish, Ostorhinchus fleurieu (Apogonidae) Collected from Jejudo Island, Korea)

  • 이강현;안순찬;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93-198
    • /
    • 2024
  • 2023년 9월과 10월에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위미항에서 처음으로 동갈돔과에 속하는 1미기록종인 Ostorhinchus fleurieu (54.25 mm, 55.64 mm SL) 표본 2점이 채집되었다. O. fleurieu는 동속의 O. aureus와 매우 유사하지만, 새파수 (O. fleurieu는 19~23 vs O. aureus는 22~27), 꼬리자루 줄무늬의 형태(O. fleurieu는 가장자리가 불분명한 술통형 vs O. aureus는 가장자리가 뚜렷한 모래시계형) 등에서 잘 구분된다. 또한, 동갈돔과 2개체의 COI 염기서열 560 bp는 NCBI에 등록된 O. fleurieu의 염기서열(MT076481)과 100% 일치하였다. O. fleurieu의 새로운 국명으로 "꽃동갈돔"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