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 미기록 종

검색결과 1,334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산 속살이게과(Pinnotheridae) 게류 2 미기록종, Pinnixa penultipedalis Stimpson, 1858와 Sakaina japonica Serène, 1964 (십각목: 게하목)의 보고 (New Records of Two Pinnotherid Crabs, Pinnixa penultipedalis Stimpson, 1858 and Sakaina japonica Serène, 1964 (Decapoda, Brachyura), from Korea)

  • 윤석현;오현주;서인수;김미향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519-523
    • /
    • 2019
  • Two pinnotherid crabs, Pinnixa penultipedalis and Sakaina japonica, collected from Yeosu, Jeollanam-do, South Korea, are newly recorded in Korea. These two species are unique representatives of their respective genera in local waters. The family Pinnotheridae currently comprises nine species in Korea. In this article, brief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of selected parts of these crabs are provided as evidence for their correct identifications.

한국 연근해 상어류 2미기록종 (Two Unrecorded Species of Sharks in Korean Waters)

  • 최윤;임민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965-967
    • /
    • 2020
  • Two shark species captured in Samcheok in 2006 and Ulsan in 2013, previously reported as Heptranchias perlo and Alopias pelagicus, were confirmed to in fact be Hexanchus griseus and A. superciliosus, respectively, neither of which has previously been reported in Korea. H. griseus has six gill slits and is thus distinguishable from Heptranchias perlo, which has seven gill slits. A. superciliosus is clearly distinguishable from A. pelagicus and A. vulpinus, members of the family Alopiidae, due to its large eyes and a groove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head to both eyes. The keys to the family Hexanchidae, including H. griseus, and the family Alopiidae, including A. superciliosus, were presented along with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two new shark species. These two species were given the Korean names "Gi-reum-sang-eo" and "Keun-nun-hwan-do-sang-eo," with reference to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nglish names.

한국산 파랑눈매퉁이과(홍메치목) 어류 1 미기록종, Chlorophthalmus nigromarginatus (New Record of Chlorophthalmus nigromarginatus (Aulopiformes: Chlorophthalmidae) from Korea)

  • 장재훈;이유진;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730-735
    • /
    • 2022
  • Two specimens of Chlorophthalmus nigromarginatus Kamohara, 1953 (51.02 mm, 66.04 mm in standard length) belonging to the family Chlorophthalmidae were collected on February 8, 2022 in the eastern Jeju-do Island, Korea using a bottom trawl. The species has the follow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nout length almost the same as orbit diameter, bump absent on predorsal, caudal fin with posterior black margin. C. nigromarginatus is morphologically very similar to C. acutifrons but can be distinguished by caudal fin with black margin (C. acutifrons has no black margin). Molecular analyses showed that our specimens almost matched with C. nigromarginatus according to mtDNA 16S rRNA sequences (99.8%). Therefore, we propose a new Korean name for C. nigromarginatus, "Geom-eun-kko-ri-pa-rang-nun-mae-tung-i".

한국산 연어과(Salmonidae) 어류 1미기록종, Oncorhynchus tshawytscha(Walbaum, 1792) (New Record of Chinook Salmon, Oncorhynchus tshawytscha (Walbaum, 1792) (Salmoniformes: Salmonidae) from Sokcho, Korea)

  • 이유진;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736-741
    • /
    • 2022
  • A single specimen (91.5 cm standard length) of the salmonid species, Oncorhynchus tshawytscha (Walbaum, 1792) was collected on April 19, 2022 in Sokcho-si, Gangwon-do, Korea. O. tshawytscha has the follow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ase of lower jaw teeth is black, black spots are scattered on the dorsal section of body, and the edge of caudal fin is black. Although the species is morphologically similar to Oncorhynchus kisutch, O. tshawytscha differs from it in having black spots on the caudal fin. Molecular analysis results based on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sequences showed that our specimen perfectly matched with the COI sequences of O. tshawytscha registered at the NCBI. Therefore, we suggest the new Korean name 'Wang-yeon-eo' for O. tshawytscha.

한국산 Raja속 어류의 분류학적 연구

  • 정충훈;이영철;김재흡;양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2호
    • /
    • pp.207-221
    • /
    • 1995
  • 남한해역에서 채집된 Raja속 어류를 Ishihara(1987)의 분류기준에 따라 동정한 결과 Raja(Okamejei) meerdervoortii Bleeker(오동가오리), R.(O.) acutispina Ishiyama(국명신칭:무늬홍어), R.(O.) kenojei Muller et Henle(홍어), R.(Dipturus) kwangtungensis Chu(국명신칭: 참홍어), R.(D.)pulchra Liu(눈가오리)등 5종이 확인되었다. 5종 10집단 165개체에 대한 전기영동법을 이용한 동위효소 분석 결과 13개의 효소 및 비효소성 단백질에서 24개의 유전자를 검출하고 대립인자 빈도를 산출하여 종간 비교를 실기하였다. 5종 중 R.(O.) kenojei 집단은 4집단 간 평균 S = 0.966으로 매우 가까운 유전적 근연치를 나타냈으며, R.(O.) meerdervoortii와 R.(O.) acutispina는 유전적 근연치가 S = 0.749였으며, R.(O.) kenojei와 R.(D.) kwangtungensis는 S = 0.829였으나, R.(D.) pulchra는 다른 4종과 S = 0.597의 값을 나타내어 유전적 근연관계가 제일 멀게 나타났다. R.(D.) kwangtungensis의 경우 동일 아속인 Dipturus 아속에 속하는 R.(D.) pulchra와는 유전적 근연치가 S = 0.648로 뚜렷한 차이가 있었으나, Okamejei 아속에 속하는 R.(O.) kenojei와는 S = 0.829의 가까운 유전적 근연치를 나타내어 주목된다. R.(O.) acutispina와 R.(D.) kwangtungensis는 한국 미기록종으로 동정되었다.

  • PDF

한국산 가자미목 어류 2 미기록종 (First Record of Two Sinistral Flounders (Pleuronectiformes) from Korea)

  • 이충렬;이철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65-370
    • /
    • 2007
  • 최근 우리나라의 남해 연안에서 출현하고 있는 가자미목 어류 2종을 조사한 결과 지금까지 국내에서 서식이 보고되지 않은 붕넙치과의 Psettina tosana와 넙치과의 Pseudorhombus oculocirris로 동정되었다. P. tosana는 형태적으로 P. gigantea와 P. iijimae와 비슷하나 P. tosana는 가슴지느러미 연조가 9~10이고, 측선린수가 적으며, snout 주변이 검지않아 P. gigantea와 다르고, 새궁의 상지에 새파가 없고, 하악의 치열이 1열인 점이 P. iijimae와는 구별되었다. 한편 P. oculocirris는 P. pentophthalmus에 비하여 측선비늘 수가 많고, 유안측의 전비공만 tubular 타입에 flap이 존재하고, 등지느러미 앞쪽의 유리된 연조가 약간 납작하고, 길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아가미지렁이(Branchiura sowerbyi)에 기생하는 포자충류에 관한 연구 Ⅱ (A study on Actinosporeans parasitized inBranchiura sowerbyi (Oligochaeta : Annelida) Ⅱ)

  • 김영길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07-211
    • /
    • 2004
  • 2004년 4월부터 5월까지 전북 군산 소재 대위저수지와 전북 완주 소재 양어장 배수로의 아가미지렁이(Branchiura sowerbyi)를 조사한 바, 한국 미기록종인 2종의 방선포자충 Raabeia sp.와 Triactinomyxon sp.가 각각 1종씩 검출되었다. 검출된 방선포자충은 각각 Raabeia sp. E와 Triactinomyxon sp. F로 기재하였고, 그 기생률은 아가미지렁이 총 200마리중에서 14%인 28마리가 기생되었고, 이 중 Raabeia sp. E는 13.5% (27마리), Triactinomyxon sp. F는 0.5% (1마리) 이었다

지리산(智異山) 일대(一帶)의 고등균류(高等菌類)(IV) (The Flora of Higher Fungi in Mt. Jiri Areas (IV))

  • 박성식;조덕현;류천인
    • 한국균학회지
    • /
    • 18권2호
    • /
    • pp.51-57
    • /
    • 1990
  • 1987년 5월부터 1989년 10월까지 지리산 일대의 국립공원에서 자생하는 한국산 고등균류를 60여종을 채집하여 동정한 결과 미기록종으로 확인한 것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하여 보통명을 신청하였다. Conocybe rickenii (Schaeffer) Kihner(건초 종버섯) Coprinus rhizophorus kawam et al.(헛대 먹물버섯) Agaricus comtulus Fr.(볼록 들버섯) Tricholomopsis decora (Fr.) Sing.(장식 솔버섯) Gymnopilus penetrans (Fr. ex Fr.) Murr.(침투 미치광이 버섯) Amanita abrupta Peck(비탈 광대버섯) A. rufoferruginea Hongo(암적색 광대버섯) Stropharia semiglobata (Batsch ex Fr.) Quel. (반구 독청버섯)

  • PDF

한국산 전갱이과 어류 1미기록종 (First Record of the Carangid Fish, Seriola rivoliana from Korea)

  • 김영섭;김용억;안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44-247
    • /
    • 1997
  • 1995년 10월 28일 전갱이과, Carangidae, 방어속, Seriola에 속하는 Seriola rivoliana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제주도 남동쪽 234-6해구에서 선망어구에 어획되었던 것을 부산공동어시장에서 채집하였기에 이를 보고한다. Seriola rivoliana는 방어속 어류 중 잿방어 Seriola dumerili와 형태적으로 닮았지만, 체고, 제2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형태, 새파수 등과 뒷지느러미의 연조수, 첫번째 혈관극의 형태에서 구별이 된다. 특히, 첫번째 혈관극의 형태가 방어속 어류의 다른 종들과 달리 직선인 것이 특정이다. 본 종은 외부형태적으로 제 2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가 낫모양을 하고 있어 Seriola rivoliana의 국명을 "낫잿방어"로 명명한다.

  • PDF

남해안 아귀(Lophiomus setigerus) 아가미에 기생하는 Acanthochondria spirigera에 관하여 (A report on Acanthochondria spirigera from the gills of Lophiomus setigeru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최상덕;홍성윤;정춘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7-135
    • /
    • 1996
  • 남해안 아귀, Lophiomus setigerus에서 기생성 요각류, Acanthochondria spirigera(Chondracanthidae, Poecilostomatoida)이 채집되었다. 이 종은 한국 미기록종이다. A. spirigera는 나선형으로 굽어지는 알주머니를 가짐으로서 Acanthochondria속 다른 종과 쉽게 구별된다. 또한 이 기생충은 5월을 제외하고 1~4월에 아귀 아가미에서 채집되었다. 감염률과 상대 감염밀도는 1월에서 5월로 진행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Acanthochondria spirigera는 아귀 구강에 제한적으로 기생하며, 숙주의 아가미에서 분비되는 점액질 등을 섭취하면서 서식한다. 그리고 수컷은 암컷의 복절에 작은 혹처럼 부착되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