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 미기록 종

검색결과 1,334건 처리시간 0.034초

덕유산(德裕山) 일대(一帶)의 매화나무이끼류에 관하여 (Studies on Parmeliae in Mt. Deokyoo Area)

  • 조성식;이영녹
    • 한국균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49-157
    • /
    • 1980
  • 1979년(年) 5월(月) 1일(日)부터 9월(月) 30 일까지 전라북도 무주군 덕유산 일대에서 지의류(地衣類) 240 개체를 채집(採集)하고 길촌용(吉村庸) (Yoshimura)의 검색표에 의거하여 매화나무이끼속 (Parmelia)으로 20종을 동정하었다. 이들 중 다음 17 종(種)은 한국미기록종(韓國未記錄種)이다. Parmelia piedomontensis, p. subramigera, P. mexicana, P. taractica, P. relicina, P. borreri, P. cochleata, P. marmarizia, p. reticulata, P. denegans, P. subaurulenta, P. homogens, P. subcrinita, P. austrosinensis, P. praesorediosa, P. perlata , P. caperata. 본 연구를 위해 많은 조언과 지도를 아끼지 않으신 이지열교수(李址烈敎授)님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린다.

  • PDF

우이군도의 하계 조간대 어류 (Intertidal Fishes of Wooi-Islands, Chollanam-do, Korea in Summer)

  • 최윤;김지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59-263
    • /
    • 2000
  • 1998년 8월 14일부터 18일 까지 전라남도 신안군 우이군도의 조간대에 서식하는 어류를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한국미기록 1종을 포함하여 모두 5목 15과 22속 25종이였다. 이 가운데 망둑어과 Gobiidae 어류가 6종, 청베도라치과 Blenniidae 어류가 3종이었고,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어종은 망둑어과의 점망둑 Chasmichthys dolichognathus, 두줄망둑 Tridentiger trigonocephalus,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 였다. 한편 성촌(St. 2)에서 채집된 1개체는 Pomacentridae (자리돔과)의 자리돔속에 포함되는 Abudefduf bengalensis로 동정되었고, 이 종은 몸에 검은 가로줄무늬를 가진 특징으로 "흑줄돔"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 PDF

백운산지역(白雲山地域)의 고등균류(高等菌類)(I) (Fungal Flora of Mt. Paekwoon(I))

  • 석순자;김양섭;이경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4호
    • /
    • pp.556-562
    • /
    • 1994
  • 전남 백운산 지역의 버섯류 분포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1년 7월 버섯을 채집한 결과 총 137종을 분류동정하였으며, 이중 한국미기록 종인, 종이꽃 낙엽버섯 Marasmius pulcherripes Peck ; 광양주름버섯 Agaricus purpurellus(Moller) Moller ; 멍게먹물버섯 Coprinus echinosporus Buller ; 검은산그물버섯 Xerocomus nigromaculatus Hongo ; 석류밤그물버섯 Boletellus shichianus(Teng & Ling) Teng ; 꼬마무당버섯 Russula kansaiensis Hongo의 6종을 동정하였다. 백운산지역의 버섯류 분포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앞으로 조사를 더하여 보완 후 버섯목록은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제주도 올리브 과원에 발생하는 해충 종류 (Olive Pests in Jeju, Korea)

  • 최경산;고상욱;오현석;김효중;김소라;안정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03-107
    • /
    • 2023
  •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제주도 올리브(olive, Olea europaea)에서 발생하는 해충을 조사한 결과, 총 15종의 해충이 확인되었다. 이중 나방류와 노린재류의 발생과 과실 피해가 매우 심했다. 나방류는 수수꽃다리명나방(Palpita nigropunctalis), 큰점애기잎말이나방(Aterpia circumfluxana), 차잎밀아나방(Homona magnanima),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Adoxophyes honmai) 순으로 많이 발생하였다. 나방류 해충은 주로 잎을 가해했지만, 수수꽃다리명나방은 과실피해도 심하게 유발하였다. 노린재류로는 갈색날개노린재(Plautia stali), 썩덩나무노린재(Halyomorpha halys), 풀색노린재(Chinavia hilaris)가 주로 발생하여 과실 피해를 유발하였다. 깍지벌레류인 갈색깍지벌레(Chrysomphalus bifasciculatus)와 뽕나무깍지벌레(Pseudaulacaspis pentagona)는 무방제 시 과실에도 발생하여 피해를 주었다. 진딧물과 해충은 국내 미기록종인 올리브면충(신칭, Prociphilus oleae)만이 발생하였고, 갈색나무매미충(Ricania shantungensis)도 올리브에 처음 발생이 확인되었다. 국내 미기록종인 올리브철모깍지벌레(신칭, Saissetia olea)은 발견되었으나 방제후 더이상 발생하지 않았다. 이외 천공성 해충이 올리브에 심각한 피해를 유발하였으나, 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광릉요강꽃과 복주머니란의 뿌리에서 분리한 내생균의 다양성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Roots of Cypripedium japonicum and C. macranthum in Korea)

  • 이봉형;한한결;권혜진;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0-2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포천과 강원도 춘천에 자생하는 광릉요강꽃과 강원도 삼척에서 자생하는 복주머니란의 뿌리에서 내생균을 순수 분리하였고, 분리된 균주의 ITS 부위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계통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광릉요강꽃에서는 11종의 균주가 분리되었고, 복주머니란에서는 15종의 균주가 분리되었으며, Leptodontidium orchidicola, Humicola fuscoatra var. fuscoatra, Umbelopsis dimorpha 등의 균주는 공통으로 분리되었다. 분리된 균주 중 Oidiodendron echinulatum, Pseudogymnoascus roseus, Geomyces vinaceus, Cryptosporiopsis ericae, Umbelopsis dimorpha, Chaetomium cupreum 은 국내 미기록종으로 확인하였다.

강원도 함백산에 서식하는 목본식물의 잎에서 분리한 4종의 내생균 (Four Species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Leaves of Woody Plants in Mt. Hambaek)

  • 어주경;이봉형;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39-24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함백산에 서식하는 잣나무, 전나무, 일본잎갈나무, 산겨릅나무 등 4종의 목본식물의 잎에서 내생균을 분리하여 균의 형태적 특징과 ITS 부위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분자계통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국내 미기록종인 Talaromyces radicus, Myceliophthora verrucosa, Cryptosporiopsis diversispora, Sphaerulina berberidis로 동정되었으며, 각 균주의 형태학적, 분자계통학적 특징을 기술하였다.

식물 근권토양에서 분리한 수지상균근균 (Notes on Some Unrecorded Specie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Collected from Rhizospheres of Plants in Korea)

  • 이은화;이정윤;어주경;가강현;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06-31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목본식물의 근권에서 수지상균 근균을 분리하여 배양하였다. 형태 및 18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총 4개 속 5개 종의 수지상균근균을 동정하였으며 이들 균은 현재까지 국내미기록종이다; Acaulospora cavernata, Claroideoglomus luteum, Diversispora aurantium, D. trimurales, Rhizophagus irregularis. 각 종의 형태적 특징 및 계통관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지상균 근균의 다양성 연구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주지역 수생식물에서 발굴된 Sordariomycetes강 균류 3종의 국내 최초 보고 (New Records of Three Sordariomycetes Fungi Isolated from Aquatic Plants in Jeju, Korea)

  • 오유선;문혜연;고재덕;정남일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91-9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제주 습지 환경에서 채집한 수생식물에서 내생균류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을 형태학적 특징과 internal transcribed spacer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동정한 결과, NNIBRFG2982, NNIBRFG2984, NNIBRFG3040 균주는 각각 Acremonium tubakii, Colletotrichum cliviae, Cylindrocarpon pauciseptatum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3종의 균류는 Ascomycota문의 Sordariomycetes강에 속하는 균류로 국내 미기록종으로 보고하는 바이다.

블루베리나무에서 작은상제집나방 피해 보고 (The Report of the Damage for Saridoscelis sphenias (Lepidoptera: Yponomeutidae) on Blueberry Trees)

  • 오진보;박명미;오시헌;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639-640
    • /
    • 2022
  • 집나방과(Yponomeutidae)에 속한 작은상제집나방(Saridoscelis sphenias Meyrick)은 2016~2017년 전남 진도와 완도에서 채집된 개체를 동정하여 2020 국내 미기록 종으로 보고되었으며, 마취목(Pieris japonica)과 진달래과에 속한 모새나무(Vaccinium bracteatum Thunb.)와 Leucothoe grayana Maxim. var oblongifolia (Miq.)가 기주식물로 알려져 있었다. 이 종은 2014년 8월 제주특별자치도 블루베리 재배지에서 처음 발견된 후 미정착된 것으로 취급되었으나, 2018년에 이어 2019년에도 제주시와 서귀포시 여러 블루베리 농장에서 발생이 확인되었다. 그 후 2020년부터는 노지 과원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부화유충이 처음 신초 줄기 속으로 침입하여 가해하다가 중간크기로 자란 후 탈출하여 몇 개의 신초를 그물로 철하고 집단적으로 가해하는 등 특이한 피해증상이 나타난다. 향후 피해가 우려되는 해충으로 피해증상과 생활사를 간단히 보고한다.

한국산 미기록 이끼토양자라하모충(섬모충문: 다막충강: 하모충목)의 재기재와 유사종의 비교 (Redescription of Newly Recorded Ciliate, Euplotes muscorum(Ciliophora: Polyhymenophora: Hypotrichida) and Comparison with Related Species from Korea)

  • Jong O Jo;Mann Kyoon Shi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9권2호
    • /
    • pp.227-235
    • /
    • 2003
  • 2002년 제주도의 한 웅덩이에서 채집된 섬모충류를 실험실에서 분리, 배양한 결과 하모류의 이끼토양자라하모충(Euplotes muscorum Dragesco, 1970)으로 동정되었으며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되어 재기재한다. 기재는 생체 표본 관찰, protargol impregnation 그리고 형태통계에 기초하여 기술하였다. 이 종의 형태적 특징은 몸길이 63-78${\mu}m$, 폭 40-52${\mu}m$, 9개의 전방복극모, 5개의 후방극모, 4개의 미극모, 한 개의 대핵과 소핵, 몸길이의 약 2/3을 덮고 있는 막판구대는 32-35개의 구부막판으로 이루어졌고, 8개의 등쪽섬모열, 중앙의 등쪽섬모열의 섬모는 20-24개, 등쪽섬모배열은 complex type 등의 특징들을 가진다. 이 종은 이끼자라하모충(E. muscicola Kahl,1932)과 매우 비슷하지만 이끼토양자라하모충은 8개의 등쪽섬모열, complex type의 등쪽섬모배열을 가지는데 반해 이끼자라하모충는 9개의 등쪽섬모열, multiple type의 등쪽섬모배열을 가지는 형태적 특징을 각각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