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지리학

검색결과 2,177건 처리시간 0.025초

지속가능한 지리학 발전을 위한 지리지식의 순환체계 (Circulation System of Geographical Knowledge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Geography)

  • 문남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73-483
    • /
    • 2014
  • 오랜 역사를 통해 다양한 사회적 요구와 필요에 의해 발달해온 지리지식은 (순수)학문지리지식과 학교지리지식, 응용지리지식, 대중지리지식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리지식은 이들 영역간 지식의 생산과 전달, 응용 및 적용, 재생산으로 이어지는 지식의 순환체계를 바탕으로 발전해 왔다. 따라서 한 영역에서의 지식순환의 단절은 다른 영역의 지식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지리학 전체의 위기를 초래하게 된다. 그러므로 지속가능한 지리학 발전을 위해서는 (순수)학문지리에 의한 지식의 생산과 축적, 학교지리에 의한 지식의 전달, 응용지리와 대중지리에 의한 지식의 사회적 활용과 일상생활의 적용으로 이어지는 지식의 선순환체계가 확고하게 구축되어 지식의 사회적 요구와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 PDF

상주 공검지 일대의 고대 이후 고기후 변화와 농경활동 (Paleoclimate changes and agriculture activitiessince ancient times around Gonggeomji, Sangju-si, Gyeongsangbuk-do, South Korea)

  • 윤순옥;안은정;김효선;황상일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47-163
    • /
    • 2013
  • 상주 동천 상류부 산간분지의 출구에 위치하는 공검지는 통일신라시대 말기에 조성된 것으로 파악된다. 공검지 제방이 축조되기 이전에는 분지에 넓은 습지가 형성되었으며, 갈수기에는 공기 중에 노출되면서 대단히 치밀한 실트층이 퇴적되었다. 청동기시대 초기와 초기철기시대의 분지에는 주로 밭에 기장을 재배하였다. 삼국시대에는 논농사와 밭농사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퇴적층이 발견되지 않았다. 제방이 축조되면서 분지 내 밭에는 기장을 재배하며 논농사를 병행하였을 것이다. 공검지 일대의 청동기시대 초기기후는 냉량하였고 초기철기시대 동안의 기후는 대체로 온난하였다. 제방이 축조된 통일신라시대 말기부터 고려시대 중기까지도 역시 온난하였으나, 이후 냉량, 온난한 시기를 반복하다가 고려시대 말부터 점차 냉량해진다.

Entrepreneurial Ecosystems(기업가적 생태계) 개념과 시사점 (Entrepreneurial Ecosystems: Key Concepts and Economic Geographical Implications)

  • 구양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2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Entrepreneurial Ecosystems의 핵심 개념을 분석하고 경제지리학 연구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기업가정신과 지리를 결합한 Entrepreneurial Ecosystems이 중요한 개념과 이론으로 부상하였는데, '행위자와 요인', '생산적', '영역'이라는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Entrepreneurial Ecosystems에서는 개인적·조직적·제도적 구성요소인 기업가, 스타트업, 기존 기업, 제도와 문화적 요소들이 상호연결되어 '기업가적 재순환'을 통해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로컬 지역에서 기업가적 문화를 기반으로 혁신적인 고성장 신생기업을 창출하는데 기여한다. 개념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생산적 기업가정신(혁신창업)의 지리적·공간적 프로세스를 밝히고 지역기반 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해 경제지리학 관점에서 이론적, 실증적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강원도 양양군 쌍호, 가평리습지, 궁개호, 염개호의 20세기 경관 변화 (Landscape Changes during the 20th Century of Ssangho, Gapyeongri wetland, Gunggaeho and Yeomgaeho, Yangyang-gun, Gangwon Province)

  • 윤순옥;황상일;박충선;진민경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1-52
    • /
    • 2010
  • 양양군 오산리 일대에는 쌍호, 가평리습지, 궁개호와 염개호 등 4개의 석호가 높은 밀도로 나타난다. 쌍호는 동해안의 대표 석호군과 함께 해진극상기에 하구부가 익곡되어 현재까지 호수를 유지하고 있으나, 가평리습지와 궁개호, 염개호는 사빈의 제간습지에 형성되었다. 20세기동안 4개 석호는 대체로 축소 및 위치변화 정도가 심한데, 그 원인을 자연적인 요인과 인간의 영향, 그리고 기타 요인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지형발달에 따른 매적단계와 함께 20세기동안 급속하게 진행된 산업화와 개발에 따른 매립, 소규모 석호의 존재가치에 대한 인식 부족이나 지도 작성시 오류, 그리고 측량기술의 낙후성에 기인한다. 따라서 경관 복원 계획은 석호의 성격에 따라 다르게 진행되어야 하며, 쌍호를 우선적으로 복원하는 것이 권장되며, 인간의 영향이 최소한 미쳤던 1920년대의 지형으로 되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오파크(Geopark) 명칭에 대한 논의 (Debates on the Korean Name of Geopark)

  • 김창환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3-83
    • /
    • 2011
  • 본 연구는 지오파크(Geopark)에 대한 개념과 탄생 과정 그리고 지리학 분야에서의 지오파크 활동 등을 고찰하고,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지오파크 명칭 문제를 논의한다. 지오파크는 세계지리학연합(IGU)과 세계지질학연합(IUGS)의 상호 협력관계로 출발한 것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지질공원법'이란 체계를 이용하여 특정 분야에서만 지오파크를 논의하려는 부분은 매우 잘못된 것이다. 지오파크에서의 활동은 지역의 지형·지질을 비롯한 자연물의 보전이라는 측면을 가지고 있다. 지오파크는 어느 특정 학문 분야의 전유물이 아니다. 따라서 지오파크 태동기에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지오파크 명칭에 대한 논의와 합의가 선결 과제라고 생각한다.

대한지리학회 창립 50주년 기념 국제지리학술대회와 지리학의 당면 과제 (The International Geographical Symposium for the 5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the pressing problems in Korean geography)

  • 이학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88-199
    • /
    • 1995
  • 대한지리학회가 1945년 9월 11일에 창립되어 50주년을 맞았다. 이를 기념하기 위하 여 국제지리학술대회를 1995년 10월 13일, 14일 이틀에 걸쳐 서울대학교 교수회관에서 개최 하기로 결정하였다. 이 대회에서 논의될 주제는 분단국토의 현실과 통일국토의 미래상, 21세 기 한국 지리학의 도전, 한국 지리학의 반세기-회고와 전망이라는 3가지가 중심이 된다. 이 번 학술대회를 통하여 2000년에 개최할 IGC서울대회를 성공적으로 이끌 역량을 축적하고, 지리학의 연구내용이 결국 인간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해야만 학문적 영속성과 가치 를 인정받을 수 있다는 진실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 PDF

김해 율하 지역 화분분석을 통한 홀로세 중기 이래 고환경 복원 (Reconstruction of the Paleo-Environment Since the Middle Holocene Using Pollen Analysis at Yulha-dong, Kimhae-si, South Korea)

  • 황상일;황범진;윤순옥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1-64
    • /
    • 2017
  • The paleo-environments including changes in vegetation, climate, and sea level since the middle Holocene(6,400(?)-1,800(?) yr BP) were reconstructed with the special reference to pollen analysis from two trench samples at Yulha-dong, Kimhae-si, southern Korea.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by the pollen zonation wassummarized asfollows: Pollenzone I(6,400(?)~3,940(?) yr BP)showed the dominance of Quercus species with broad-leaved trees, it was warm condition. Pollenzone II(3,940(?)~2,300(?) yr BP) was characterized to the yellow soil indicating terrestrial environment. Moreover, it showed Alnus-NAP period related to the extension of agriculture and deforestation by the rapid decrease of Quercus and increase of Gramineae. Pollenzone III(2,300(?)~1,800(?) yr BP) showed human impact from the increase of NAP and Pinus. Plenty of Quercus with deciduous broad-leaved trees also suggested warmer condition than before.

안면도 바람아래 할미섬 주변의 시계열적 침식·퇴적환경 변화 분석 (A Time-Series Analysis of the Erosion and Deposition around Halmi-island, Baramarae)

  • 유재진;김장수;장동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7-60
    • /
    • 2016
  • In this study, datum points measurement have been collected and then weather data have been analyzed to figure out erosion and deposition environmental change around Halmi-island, Baramarae. First of all, it was difficult to analyze geomorphological change which is caused by climate change because of quite short term of collection period of data. However, differences in spatial distribution of erosion and deposition have locally been shown. In all season, the wind is blowing in north and north-west direction mostly except in summer which is shifted to south direction. However, since its ratio which are above 5m/s is much lower than the north and north-west wind, its effect on geomorphological process is very tiny. In order to look at a tendency of erosion and deposition environmental change around Baramarae Halmi-island, the periphery of Halmi-island was classified to east and west part, then accumulated erosion and deposition values have been calculated. As a result, generally, the datum points are located in the west part which are mostly depositional sites. On the other hand, the datum points are located in east part showed the dominant erosion patterns.

울산시 태화강 하류부의 Holocene 중기 이래 해수면변동과 고지형변화 (Sea level change and paleogeomorphological change since the middle Holocene in the lowerreaches of Taehwa River, Ulsan-si, South Korea)

  • 김정윤;황상일;윤순옥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1-75
    • /
    • 2016
  • This study aims to reconstruct sea level change and paleogeomorphology since the middle Holocene by diatom analysis and 14C-dating from the sedimentary facies of three trenches on alluvial plain of Taehwa River, Taehwa-dong, Ulsan-si, South Korea. The Taewha-dong area was a narrow bay located between Bangeojin and eatuary of Taehwa River was a narrow bay which has been detached from the open sea during middle Holocene. Taewa-dong area at bay area was developed into alluvial plain by the sediments had been come from the Taewa river basin. The sea level change during the middle Holocene effected on the development of Taewha-dong alluvial plain and its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sediment facies.

표층화분의 WA-PLS 분석을 통한 한반도 남동부지역 홀로세 고기온 복원 (Reconstruction of Paleo-Temperature During the Holocene Using WA-PLS Analysis of Modern Pollen From the Surface Soil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 윤순옥;황범진;황상일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3-25
    • /
    • 2017
  • To reconstruct the paleo-temperature quantitatively and to overcome limitation of traditional qualitative pollen analysis, this study was performed pollen analysis using the modern surface soil at Yulha-dong, Gimhae-si of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CCA) was done to identify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 variable about composition of modern surface pollen sample. Also, Weighted Average-Partial Least Square(WA-PLS) was analyzed to obtain modern surface pollen-temperature transfer function. The transfer function was applied to the results of qualitative fossil pollen analysis at Yulha-dong, Gimhae-si, Sampyung-ri, Ulsan-si and Taewha-dong, Ulsan-si. Therefore, the paleo-temperature was reconstructed during the Holocene since 6,200 yr B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 is $1{\sim}2^{\circ}C$ lower than the current average annual temperature at the study area in 6,200 yr BP, since then it increased to the same level to the current temperature and decreased again until 2,600 yr BP. From the 2,600 yr BP, the temperature was fluctuated to the pres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