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종

Search Result 29,164,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from Allium senescens (두메부추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 이미순;정미숙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17 no.1
    • /
    • pp.55-59
    • /
    • 2001
  •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Allium senescens as a aromatic edible plant, volatile flavor components and flavor pattern were analyzed. Essential oils of fresh and freeze dried Allium senescens were extracted by SDE(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method using diethyl ether as solvent. And their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GC)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 total of 46 components, including 11 hydrocarbons, 9 aldehydes, 4 alcohols, 2 esters, 7 acids, 4 ketones and 9 sulfur containing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fresh Allium senescens. In freeze dried Allium senescens, 8 hydrocarbons, 5 aldehydes, 3 alcohols, 5 esters, 2 acids, 3 ketones and 4 sulfur containing compounds were identified. Volatile flavor patterns of Chinese chive and Allium senescens were compared using electronic nose. The score of first principal compon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ium senescens and Chinese chive.

  • PDF

The Aroma Components of Duchung Tea and Persimmon Leaf Tea (두충차와 감잎차의 향기성분)

  • Choi, Sung-Hee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2 no.4
    • /
    • pp.405-410
    • /
    • 1990
  • The aroma components of duchung tea and persimmon leaf tea were collected simultaneous distillation and extraction method. Those were analyzed and identified by GC-MS using a fused sillica capillary column. Seventy seven components, including 17 alcohols, 3 hydrocarbons, 15 ketones, 16 aldehydes, 8 esters,8 acids, 8 heterocyclic compounds and 2 phenols were confirmed in duchung tea. Seventy one components, including 17 alcohols, 10 hydrocabrons, 11 ketones, 13 aldehydes, 8 esters, 6 acids, 5 heterocyclic compounds and 1 phenol were confirmed in persimmon leaf tea. The most abundant components of duchung tea were aldehydes(23.31%) including 2-pentenal and heterocyclic compounds(16.71%) including $epoxy-{\beta}-ionone$. The most abundant components of persimmon leaf tea were alcohols(25.57%) including linalool and aldehydes(19.45%) including hexanal and hydrocarbons(10.40%) including ${\alpha}-copaene$.

  • PDF

Antioxidant Activities of Domestic Garlic (Allium sativum L.) Stems and Garlic Bulbs according to Cooking Methods (조리법에 따른 국내산 마늘종과 마늘의 항산화 효능)

  • Chung, Ji-Young;Kim, Chang-S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8 no.2
    • /
    • pp.188-194
    • /
    • 2009
  •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ies of raw and cooked (blanching, pan-frying, soy sauce pickle, Kochugang pickle) domestic garlic stems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chlorophyll, carotenoid, vitamin C, phenolic compounds and allicin in raw and cooked garlic stems were measured. Various cooking process increased significantly chlorophyll and $\beta$-carotene contents of garlic stem, but decreased vitamin C, phenolic compounds and allicin contents (p<0.05).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raw and cooked garlic stem such as electronic donating ability (EDA),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NSA) were compar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found to have lowered in the order of raw> pan-frying> blanching> garlic stem soy sauce pickle> garlic stem Kochujang pickle. Antioxidant activities of cooked garlic stems were more than 65% of cooked garlic bulbs.

Ascidians of Tangsa and its Adjacent Waters in Korea Strait (대한해협의 당사 및 인근 수역 해초류의 분류)

  • 노분조;최병래;송준임;이영자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v.16 no.1
    • /
    • pp.39-53
    • /
    • 2000
  • The ascidians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Tangsa and its adjacent waters in Korea by scuba divers during the period from 1994 to 1999. They were identified into 30 species which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Tangsa. Out of them one species, Molgula hozawai, was turned out to be new to the Korean fauna, and six species, such as Eudistoma illotum, Symplegma connectans, Boltenia trasversaria, Microcosmus nultitentaculatus, Pyura squamata and Molgula hozawai, were newly recorded in Chundo Island and Geojedo Island, which are influenced by warm waters of the Kuroshio Current.

  • PDF

유기 배 과수원의 생물 종 다양성 연구

  • Kim, Do-Ik;Kim, Seon-Gon;Go, Suk-Ju;Gang, Beom-Yong;Kim, Hong-Jae;Kim, Jong-Seon;Im, Gy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290-290
    • /
    • 2009
  • 유기 배 과수원의 생물종 다양성을 조사한 결과, 월동 직후 유기배 과수원에서는 13종 503마리, 관행 과수원에서 11종 145마리의 토양 미소동물이 채집되었다. 채집된 종류는 거미, 지네, 노래기와 곤충들이다. 유기과수원에는 특히 응애와 거미가 많이 채집되었으며 특히 곤충 중에서 톡토기는 247마리로 관행에 비해 7배가 많이 채집되었다. 또한 생태지수인 종다양도가 관행 1.383에 비해 1.589로 더 높았다. 서식지별 분포를 보면 나무 바로 밑의 개체수와 종수가 더 많아 배나무 뿌리를 중심으로 생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름철 토양동물의 분포는 달팽이, 지렁이를 비롯한 미소 동물들이 유기인증 과수원에는 24종 632마리, 관행에서는 15종 340마리가 채집되어 유기인증 농가에서 월등히 많은 토양동물이 살고 있었으며 종다양도역시 유기농가 2.021로 관행인 1.652보다 높았다. 청목(1985)의 자연도 평가 A그룹종은 환경저항성이 낮아 쉽게 소멸되는 그룹으로 애지네, 노래기 땅지네 등이 여기에 속하는데 유기농가에서 개체수들이 더 많이 채집되었다. 추락트랩을 이용한 조사에서 딱정벌레 중 점박이먼지벌레가 관행 과수원에서 월등히 높았으며 유기농가에서는 큰넓적송장벌레가 채집되어 이들 종이 지표종으로 선발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거미류 중에 수풀오소리거미가 많이 채집되었으며 채찍늑대거미, 꼬마게거미, 점게거미등은 유기농가에서만 채집되어 추후 이들 종이 지표종으로 선발될 가능성이 있었다. 말레이트랩에서는 고치벌과 맵시벌 종류가 많이 채집되었고 파리류에서는 초파리가 많았으며 털검정파리는 유기인증 농가에서 만이 채집되었다. 유아등을 이용한 야간 곤충류를 채집한 결과 유기농가에서 16종 201마리, 관행 9종 42마리가 채집되어 야간에 활동하는 곤충류 역시 유기농가가 많았다. 추락트랩과 말레이트랩모두 유기인증 농가에서 종다양도가 관행보다 높았으며 유아등 채집에서도 마찬가지 결과를 보여 유기배 과수원이 토양 뿐 아니라 배를 중심으로 생활하는 모든 동물들의 종 다양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esearch Products of Each Other Between Korea and Japan - With an Emphasis on the Social Fields - (사회영역에 있어서 한일간 지식정보의 생산과 흐름 - 사회.교육.행정.법률을 중심으로-)

  • 최정태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3 no.2
    • /
    • pp.1-24
    • /
    • 2002
  •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materials which Korea and Japan have investigated about each other during last In years(1901-2000). To the end, we collected monographs and constructed DBs('Korea-Japa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Using it, this study analyzed a characteristic of the publication period, subjects, and producers from a bibliographical point of view. In particular, this study concentrated upon the subject of sociology, education, public administration, and law fields.

  • PDF

절토비탈면의 식물상과 천이양상

  • Choe, Cheol-Man;Lee, Jeong-Hun;Jang, Hyeon-Do;Mun, Seong-Gi;Kim, Min-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173-176
    • /
    • 2008
  • 출현한 식물은 총 61과 156종으로 조사되었는데 조사지점의 생육환경으로 볼 때, 출현 종수가 반드시 절토비탈면의 생성년수와 사면면적에 비례하여 출현하는 것만은 아니었다. 가장 출현빈도가 높은 분류군은 국화과로 14.7%이었고, 벼과 8.3%, 콩과 7.1%, 장미과 5.8% 순이었다. 각 조사지점별 우점종은 생성시기가 비교적 짧은 지점에서는 호밀풀, 바랭이 등의 사초과 식물들, 15년 이상의 표토층으로 된 지점에서는 사방오리나무, 아까시나무와 같은 목본류, 암반층으로 된 지점은 칡, 계요등, 송악 등의 덩굴성 식물들이었다. 귀화식물은 모두 13종이 출현하였고, 이에 의한 도시화지수는 4.8%로 환경변화가 비교적 적은 곳으로 조사되었다. Raunkiaer의 생활형으로 분류하면, 목본류 64종(47.5%), 지중식물 43종(27.6%), 1년생 식물 30종(19.2%), 반지중식물 7종(4.5%), 지표식물 2종(1.3%) 순으로 조사되어 식생의 천이가 안정화되어 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Identification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hinese chive and Baek-Seok Chie (중국 부추와 백석 부추의 휘발성 풍미 성분의 동정)

  • 이혜정;박희옥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0 no.4
    • /
    • pp.539-543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inese and Baek-Seok chive. We collect the volatile components of Chinese and Baek-Seok chive by dynamic head space method. Chinese chive was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GC-MS). 28 components including 20 sulfides, 5 alcohols, 1 benzene and 2 aldehydes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samples, Also Baek-Seok chive was analyzed by GC-MS. 32 components including 19 sulfides, 10 alcohols, 2 benzonoides and 1 aldehyde compounds were confirmed.

  • PDF

Extraction of lipoma Using ART2 from Ultrasonic Images (초음파 영상에서 ART2를 이용한 지방종 추출)

  • Lim, Hyo-Bin;Kim, Kwang 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10a
    • /
    • pp.507-50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지방종 초음파 영상에서 지방종을 자동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초음파 영상에 Monotone Cubic Spline 보간법을 이용하여 ROI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ROI 영역에 Fuzzy Stretching 기법을 적용하여 명암 대비를 강조한 후, ART2 알고리즘과 8방향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잡음을 제거한 후에 지방종의 후보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지방종의 후보 영역 중에서 형태학적으로 타원 형태를 띠거나 가장 큰 후보 영역의 정보를 이용하여 Labeling 기법을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지방종 영역을 추출한다. 제안된 방법을 지방종 초음파 영상에 실험한 결과, 지방종 영역이 비교적 정확히 추출되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 PDF

Extraction of Ganglion from Ultrasonic Images Using FCM (FCM을 이용한 초음파 영상에서 결절종 추출)

  • Lee, Yong-Gwon;Sagong, Yong-Kyu;Yim, Tae-Gyoung;Kang, Ho-Gyun;Kim, Kwang 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93-9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초음파 영상에서 결절종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명암 대비가 낮은 초음파 영상에서도 정확히 추출하기 위해 퍼지 스트레칭 기법을 개선하여 명암 대비를 강조한 후에 ROI 영역을 추출한 후, 추출된 ROI 영역에 대해 FCM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양자화 한다. 양자화된 ROI 영역에서 8방향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결절종의 후보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결절종의 후보 영역 중에서 면적이 가장 크거나 타원 형태를 가진 영역을 라벨링 기법을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결절종 영역을 추출한다. 제안된 방법을 결절종 초음파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기존의 결절종 추출 방법보다 제안된 방법이 결절종 영역이 비교적 정확히 추출되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