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적 패션디자인

Search Result 50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Plagiarism dispute Cases of Fashion Design and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Regarding Plagiarism of Fashion Design (패션디자인의 표절 분쟁 사례와 대학생들의 패션디자인 표절에 대한 인식)

  • Kim, Jang-Hye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0
    • /
    • pp.480-489
    • /
    • 2020
  • Controversy and legal disputes over counterfeit fashion designs have recently arisen in the fashion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ases of counterfeiting disputes over fashion designs, and how the perception of counterfeit fashion designs is fostered from the learner's point of view, suggesting implications for the counterfeiting problem.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counterfeiting disputes over fashion design started from a lack of utilization of the Design Protection Act and the ambiguity in counterfeit design criteria. Second, the negative perceptions of counterfeit designs were mainly about unethical behavior, inhibiting the growth of the fashion industry, and reducing consumers' willingness to buy the genuine article. Positive perceptions were mainly about the process of creation, the promotion of a developmental environment for the fashion industry, and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to promote new designs. The most common perception was the absence of clear criteria for judgments about counterfeiting. Third, the implications of the counterfeiting problem in fashion design require effective institutional improvement in the fashion industry,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s to deal with counterfeiting, the development and practical introduction of education proposals regard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changing the perception of counterfeiting in the fashion industry.

Character Concept Designs Utilizing Formative Methods in Fashion Design (패션 디자인 조형을 응용한 캐릭터 컨셉 디자인)

  • Choi, Rebekah Mijung;Kim, Yejin;Paik, Paul Chul-ho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8 no.3
    • /
    • pp.103-112
    • /
    • 2018
  • 'Fash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in game character design. However, despite its influence, analytical approaches in integrating fashion design methods in character designs are rare practices within the industry. The following paper aims point out the practicality of integrating and utilizing theoretical and formative methods in fashion design in creating character concept designs and show how the following application can create visual stimuli for artists in future concepts.

러시아 혁명기 패션 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 이혜주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Design Studies Conference
    • /
    • 1999.05a
    • /
    • pp.34-35
    • /
    • 1999
  • 러시아 패션 디자인은 전 세계의 찬양과 비판을 동시에 받았던 공산주의 혁명이라는 사회적 변혁의 시기와 더불어 발전되었다. 이 시대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조형적 특징은 이 후 세계적으로 전개된 모더니즘의 초석이 되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중략)

  • PDF

The Pursuit of Individual Freedom in Rudi Gernreich's Fashion Designs (루디 건라이(Rudi Gernreich)패션 디자인에 나타나는 개인적 자유에 대한 추구)

  • Lee, S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38
    • /
    • pp.123-142
    • /
    • 1998
  • 본 논문에서 패션 디자인(fashion design)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새로운 방법론적 접근 방식을 제시해 보려하였다. 즉 패션 디자이너의 디자인에 대한 철학을 이해함으로서 패션에 대한 근복적인 면에 대해 보다 나은 이해를 갖도록 하는 접근 방식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본 논문의 분석대상은 디자이너 루디 건라이(Rudi Gernreich : 1922-1985)와 그의 작품들인데, 그의 작품들에 나타나는 급진적인 성향 뒤에 숨어 있는 그의 디자인 철학을 집중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작품과 철학의 상관관계를 조명하려는 것이 그 주된 목적이다. 기존의 그에 대한 평가는‘파격적 패션’,‘소설 스테이트먼트(Social Statement)’,또는‘시각적 창출’등의 표현으로 극히 피상적인 것이었다. 반면에 그가 어떠한 경로로 이러한 디자인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또는 그가 현대의상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연구는 극히 소수에 불과하였다. 본 논문의 초점은 건라이의 패션 디자인을 그가 중요한 가치로 믿고 있었던‘개인적 자유에 대한 추구’의 반영으로써 재 평가해 보려는 것이다. 이것의 입증을 위해서 그의 디자인들을 역사적, 사회적 그리고 미학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그의 디자인 철학을 도출하기 위해 그의 개인적 배경에 대한 상세한 검토를 하였고, 그의 디자인과 관련된 자료와, 현존하는 작품들과 그에 따른 참고문헌들에 대한 분석 조사 작업을 하였다. 이 작업을 통해 필자는 건라이의 작품들을 세 개의 주된 주제들, 즉,‘부분적 누디즘(Partial Nudism)’,‘유니섹스 모드(Unisexs Mode)’, 그리고‘옵 아트 패션(Op-art Fashion)’으로 구분하였다.‘부분적 누디즘(Partial Nudism)’과‘유니섹스 모드(Unisex Mode)’는 60년대 중반에서 70ssu대 초반에 출현한 유스 컬츄어(Youth Culture)에 부합하는 그이 디자인의 반영으로써 성의 혁명, 여성 인권운동과 동성애자 인권 운동과 같은 사회이슈들과 그의 디자인이 갖는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것이다.‘옵-아트 패션(Op-art fashion)’은 건라이 디자인의 미학적 요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의 작품에 나타나는 인체와 옵-아트 원리의 관계를 조명해 보고, 건라이가 옵-아트와의 연계하에 그의 디자인을 어느만큼 예술적으로 승화시켰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각 주체들은 건라이 작품들의 개별적인 분석을 통해 논하였다. 본 논문은 보다 넓은 관점에서의 건라이의 디자인에 대한 재 평가로 결론을 지었다. 이러한 재평가 작업을 통해 패션 디자인계에 미친 그의 공헌의 역사적 중요성을 강조하고 현대 패션에 그의 영향이 계속 미치고 있는 이유를 설명하려 하였다.

  • PDF

Good Design in 2013 (2013년 우수디자인(GD))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46
    • /
    • pp.44-57
    • /
    • 2013
  • 우수디자인이라 불리는 굿디자인(GOOD DESIGN)은 산업디자인진흥법에 의거하여 상품의 외관, 기능, 재료,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하여 디자인의 우수성이 인정된 상품에 마크를 부여하는 제도로 1985년부터 매년 시행하고 있다. GD마크 선정제란 우수한 디자인 상품을 선정, 장려함으로써 환경친화적 디자인개발을 유도하고 지속 가능한 녹색성장에 기여하고 상품의 디자인개발을 촉진하고 독창적이고 우수한 상품디자인을 개발, 상품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수출증대와 국민경제 발전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품의 디자인 수준향상으로 국민의 다양한 욕구충족 및 국민생활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디자인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및 관심을 고취시킴으로써 산업디자인 발전을 촉진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굿디자인은 제품디자인, 환경디자인, 소재표면처리디자인, 패션디자인, 포장디자인, 커뮤니케이션디자인, 건축디자인, 패션디자인 부문으로 나누어 선정된다. 본 고에서는 2013년도 우수디자인(GD) 가운데 포장디자인 부문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A study on Emotional Fashion Design Using Light (빛을 활용한 감성 패션디자인 연구)

  • Jo, Min-Yeong;Choe, Gyeo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214-217
    • /
    • 2009
  • 현대 패션분야에서 디자이너들의 예술적 표현의 주제이자 매체로서 활용되고 있는 빛은 보다 감성지향적인 방향으로 발전되는 추세로서, 빛을 활용한 감성 패션디자인에 대한 표현 방법과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패션디자인에서 빛을 표현하는 방법으로는 빛의 반사, 이미지 표현, 발광, 투사에 의해 독창적으로 응용되어져 표현되어 왔으며, 다양한 빛의 표현을 위해 재료의 물성을 조작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빛의 유희, 명암이나 형태, 색채를 통한 빛의 재현, 발광물질이나 인공광에 의한 발광, 프로젝터를 통한 빛 이미지 등 다양한 표현방법이 활용되고 있었다. 빛이 활용된 감성 패션디자인의 조형적 특성으로는 상호작용성, 영상성, 투명성, 실험성으로 분류되었다. 상호작용성은 착용자의 행위에 의한 변형과 신체의 변화나 감정의 변화에 의한 불빛이나 영상 패턴이 바뀌는 등 형태나 컬러, 영상의 변형 등 착용자의 메시지 전달이나, 감정표현, 신체보호, 그리고 재미를 유발하는 효과를 자아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상성은 디지털 이미지를 활용한 것과 내부 광원에 의한 발광성으로 분류되며, 드레스에 장착된 수많은 LED 에 의한 영상을 만들거나 이미지를 확대시키는 방법으로 표현된 영상성은 심미적인 효과가 우선시되었다. 투명성은 주로 비닐, 플라스틱, 기능적 소재 등 투명한 소재들을 이용하여 대부분 재료의 특성이 조형적 특성으로 분석되었고, 외부와의 개방성과 위장가능성의 효과를 준다거나, 투명한 재질에 이미지가 변화하는 이미지의 중첩성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성은 새로운 실험적 도구로서의 패션을 표현하고자 할 때, '빛'을 매개체로 하여 관심을 유도하고 재미를 더해주며, 신비주의적 환상이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처럼 빛을 활용한 패션디자인은 빛을 매개체로 하여 다양한 표현방법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특유의 조형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Good Design 2015 (지상전시 - 2015 우수디자인(GD)상품)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73
    • /
    • pp.101-109
    • /
    • 2016
  • 굿디자인(GOOD DESINE)이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자인진흥원의 주관 아래, 산업디자인진흥법에 의거하여 상품의 외관, 기능, 재료,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하여 디자인의 우수성이 인정된 상품에 GOOD DESINE 마크를 부여하는 제도로 1985년부터 매년 시행해 오고 있다. GD마크 선정제란 우수한 디자인 상품개발을 장려하여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나아가 유니버설디자인, 서비스디자인, 전통시장, 산업단지 디자인을 고도화(우수디자인 선정, 장려 등)함으로써 사회적 문제해결과 지속가능한 창조경제를 실현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선정 대상 품목으로는 제품디자인, 환경디자인, 소재표면처리디자인, 패션디자인, 포장디자인, 커뮤니케이션디자인, 건축디자인 패션디자인으로 대통령상 1점을 비롯해 국무총리상, 대상, 최우수상 등을 시상하고 있다. 굿디자인 상품은 향후 조달청이 시행하는 우수제품선정 및 물품구매 적격심사 시 우대되며, 중소기업청이 시행하는 수출유망중소기업지정 및 수출기업화 사업평가시 우대받을 수 있다. 마크사용에 있어 호주 디자인상(AIDA)과의 상호인증으로 마크 부착이 가능하다. 본 고에서는 2015년 우수디자인(GD)으로 선정된 제품 가운데 생활 포장 및 산업포장 부문 수상작들과 일부 선정된 제품들을 살펴본다.

  • PDF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onal Design Ideas in Contemporary Military Look (현대 밀리터리 룩에 나타난 전환적 디자인 발상 유형과 특성)

  • XUEJIAO, JIA;Kim, Hyun-joo;Youn, Ji-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1
    • /
    • pp.265-275
    • /
    • 2022
  • This study analyzes and categorizes the cases of military look's transitional design ideas in recent women's fashion collections, and derives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method is a theoretical review of military look and an analysis of fashion collection cases. The research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a total of six transformational design ideas. As a structural change in design, it is a decentralized type, a type of expansion and reduction, a change in the entire material, or a transition of some materials, and finally a type according to heterogeneous harmony and organic combination corresponding to styling. Finally, a total of three characteristics are the reconstruction of structural elements, the expansion of the metric of the second mix match, and the emotional fusion of styling. I hope that the study of the transformative type of idea of the new military look will be the driving force for creative design development and will be a basic study that can read the current status and changes of the times throughout fashion design.

The Study on How Chanel Influenced in Fashion Industry (Chanel이 패션산업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Hyun-Soon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 /
    • v.2 no.2
    • /
    • pp.95-111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20세기 대표적인 디자이너인 샤넬의 작품활동을 통해 패션산업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여러 문헌과 패션잡지를 통한 자료분석으로 문헌적 연구를 했다. 본 논문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샤넬은 소재의 혁신을 가져왔다. 둘째, 영 스포츠캐주얼 웨어를 디자인하여 제시함으로서 여성에게 젊음과 여유로운 생활을 유도한다. 셋째, 패션의 현대화로 디자인뿐만 아니라 기능적이고 실용적인 심플한 실루엣을 제시하여 하나의 모드를 생성시킨다. 넷째, 패션의 댄디즘으로 여성 해방운동가의 입장에서 패션을 해석하려했다. 다섯째, 클래식한 슈트의 다양한 악세사리를 코디네이션하여 디자인의 변화를 가져왔다. 여섯째, 일부 계층만의 패션이 아니라 20세기 패션의 대중화에 앞장을 선 디자이너 중의 한 사람이었다.

  • PDF

Digital Face Design with Reference to Contemporary Fashion (현대패션의 관점에서 본 디지털 페이스디자인)

  • Lee, Se-L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9
    • /
    • pp.363-371
    • /
    • 2020
  • This study based on the digital innovation of the fashion industry has researched digital-based face design that already has many users all over the world through social media and has influenced the fashion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future vision of the direction of the fashion industry by classifying representative cases of augmented reality-based digital face design and deriving the oriented value that penetrates them. It was needed to analyzing 3D designer's works that provide digital filter-based face design to the public through Instagram and Facebook.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oriented value of digital face design from the point of view of modern fashion through case exploration, three trends were drawn: experimental formativeness orientation, playful experience orientation, and future technology orientation. This study limited the scope to digital-based face design, but the conclusions presented through these are applicable to all areas of fashion. Therefore, it is supposed to expect to study new phenomena related to fashion design and fashion communication based on digital augmented reality beyond the scope of face design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