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의류학회지

검색결과 6,288건 처리시간 0.024초

1977~2013년 한국의류학회지와 해외 의류학 저널 출판논문의 연구동향 및 저자, 연구관계망 분석 -피복과학 분과를 중심으로- (Network Analysis and Trends of Articles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and International Journals (1977-2013) -Clothing Science Related-)

  • 박성진;하정윤;이혜은;이주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834-844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original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JKSCT) from 1977 through 2013 with a consideration of the research collaboration structure. Two international journals were chosen: Textile Research Journal (TRJ) and International Journal of Clothing Science and Technology (IJCT) in order to compare the clothing science research trends of JKSCT-publications to international trends. The collected data from the three journals were used to probe periodic changes in the number of publications and nationality of authors to find the relative international position of Korean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ers. Figures, tables, and references in each article were counted to suggest the most suitable way to express and interpret clothing science results. In addition to the quantified data analysis, a qualified analysis was investigated with the co-author network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ublished articles in JKSCT until 2009 with the rapid decrease after. The number of co-authors in JKSCT wa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RJ and IJCT but growing in the clothing and textile science group. The number of references in JKSCT increased 3 times from 1977 to 2013; therefore, it was assumed there is more recent active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Lastly, a pattern of authors' interaction and the most contributed authors in the network was illustrated in the clothing and textile science group. The present study confirms that JKSCT has made significant progress toward knowledge development in the clothing and textile field and suggests that the analysis of accumulative knowledge helps researchers broaden the scale and approach of studies.

특성화 고등학교의 섬유·의류 전문 교과 교육과정 실태 분석 및 제안 (Analysis and Proposal of the Textiles and Clothing Curriculum in Vocational High Schools)

  • 이지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13-129
    • /
    • 2022
  •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의 섬유·의류 전문 교과 교육과정 중 의류 관련 학과의 교과목 개설 현황을 바탕으로 의류 관련 학과 교육과정 및 내용을 분석하고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자료와 문헌을 분석하고, 의류 관련 학과 전공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후 FGI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 과목으로는 '패션 디자인의 기초' 또는 '의복 구성의 기초'가 개설된 학교 수가 많았다. 이는 특성화 고등학교 의류 관련 학과에서 기술 교육이 우선시 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이론 교과목에 대한 보다 현실적이고 교육 가능한 부분에 대한 논의와 탐색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실무 과목에서도 기초 과목의 선택 결과와 비슷하게 2~3과목에 편중되어 개설된 현황을 살펴볼 수 있었다. 반면, 많은 기자재와 높은 기술력의 필요한 '니트 의류 생산' 교과목과 '가죽·모피 디자인 생산'의 교과목에 대해서는 교육부 차원에서의 교사 연구 기회 확대 및 기자재 확충 사업이 구성되기를 희망한다. 셋째, 실무 과목 내의 NCS 능력 단위 편제의 경우 실습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이 수업을 진행하는 데 용이하거나, 각각의 학과에서 제시한 인력 양성 유형과 밀접한 능력 단위에 집중되어 있었다. 넷째, 의류 교사들의 설문과 FGI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직업 탐색을 고려한 선택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기술 교육이 진행되기 위한 산업체와 연계된 교사 연수와 기자재 및 실습 부자재 지원이 학교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차기 섬유·의류 전문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의류 관련 학과의 교과 교직 과목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교에서 특성화 고등학교 현장 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기를 기대한다. 또한, 학생들에게는 전공 관련 교과목의 선택권을 확대함으로써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는 시점에서 의류과 관련 교과목 개발 및 안착에도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

합성섬유에의 Comfort 가공 (Comfort Finishing on Synthetic Fibers)

  • 류효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7-72
    • /
    • 1982
  • 이 해설문에서는 최근 수년간 개발된 합성섬유에의 Comfort 가공 : Polyester 섬유의 촉감 개선, 소수성섬유에 있어서 친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화학적인 처리, 대전방지가공, 오염방지가공, 그리고 유연제에 대한 것을 문헌조사를 통해 소개하고 있다.

  • PDF

의류학 연구의 통계적 오류 (Statistical Errors in a Research of Clothing and Textiles)

  • 최경호;최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485-493
    • /
    • 2014
  • 본 연구는 통계적 방법의 올바른 사용을 통해 의류학 분야 연구결과의 과학성과 윤리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실시되었으며, 나아가 본 연구가 통계적 방법을 활용하는 의류학 관련 연구 발전에 기여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계적 방법의 적용이나 통계패키지의 활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는 의류학 관련 연구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류학회지를 대상으로 연구과정에서 자주 발생할 수 있는 통계적 오류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 각 단계별로 많은 오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요인분석 등에 있어 올바른 분석방법을 적용하고 있지도 않을 뿐더러, 천편일률적으로 기계적인 기술을 하고 있었다. 또한 교차분석의 경우에도 가설설정이 없으며, 검정의 내용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았다.

90년대(1990-1998)한국의류학 연구의 현황 -한국의류학회지와 한국복식학회지를 중심으로- (A Survey On Korean Clothing and Textiles in Nineties(1990-1998) - Focused 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김정호
    • 복식
    • /
    • 제46권
    • /
    • pp.133-142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rends of subject matter emphasis in clothing and textiles and to show the future directions to cooperate the fashion & textiles business and college. The data were included clothing and textiles related reasarch articles published in two professional jorunals from 1990 through 1998. The identified 1131 articles with clothing and textiles subject-matter emphasis were categorized in six areas: history of costume textiles design and aesthetics social-psychological aspect of clothing fashion merchandis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each area research was ranked as follows history of costume(231-20.4%) textiles(221-19.5%) design and aesthetics(198-17.5%) social-psychological aspect of clothing(183-16%) fashion merchandising(169-15%) clothing construction(129-11%) 2. In the area of history of costume most of research have been published through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197 out of 231. 85%). Especially history of korean costume was the most dominant area(154 out of 231.67%) 3. In the area of textiles most of research have been published throug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209 out of 221.95%) 4. Fashion design and aesthetics area was getting increased remarkably(ranking 3) as compared with preceding study(ranking 6) 5. Nineties' research(1990-1998 1131) has been a significant growth in terms of the number of research as compared with preceding study(1977-1989. 346)

  • PDF

의류 관련 학술지의 상호인용 빈도를 이용한 네트워크 분석 (Network Analysis using Cross-citation Frequency of Clothing & Textiles -Related Journals)

  • 최경호;최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637-643
    • /
    • 2014
  • 본 연구는 학술지의 질적인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인 상호인용 빈도를 활용하여 의류학 관련 학술지의 영향력을 파악하고, 나아가 연결망 그래프를 활용하여 학술지 간의 관계도를 연구하여 연구자들에게 국내 의류 관련 학술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영향력 있는 학술지를 보다 쉽게 파악하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되어 있는 의류학관련 10개 학술지로 하였으며, 상호인용 빈도는 2008년부터 2011년까지의 논문으로 KCI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재정리된 별도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결망분석에 활용한 소프트웨어는 R ver. 2.15이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인용비율에 대해서는 패션과 니트가 압도적으로 높고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가 다음 순이었다. 둘째, 중분류 생활과학에 속하는 23개 학술지의 영향력지수 평균이 1.00임에 비추어 볼 때, 의류학 관련 학술지들의 영향력지수 평균은 0.681로 다소 낮은 편이다. 한국생활과학회지는 1.24의 영향력 지수를 보여 중분류 생활과학에 속하는 학술지 평균보다 높았다. 한국생활과학회지는 근접중심성 및 중개중심성도 한국의류학회지와 함께 높아 의식주 관련 학술지들의 상호인용에 있어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염가공된 의류에 대한 소비자들의 의식도와 기호도에 관하여 (Consumer Awareness of and Preference for Flame Retardant Apparel)

  • ;김용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5-32
    • /
    • 1982
  • 본 연구의 목적은 1. 방염 가공된 의류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도를 측정하고 2. 방염 관계 법규를 확대하여 12세 이상의 어린이나 기타 연령층에서도 방염 가공된 의류를 원하는지를 알아보고 3. 인산염계 방염 가공제 사용 금지 조치가 방염 가공 의류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호도에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기로 하였다. Alabama, Tuscaloosa 시에 있는 국민학교와 유아원에 다니는 어린이의 학부모 230명에게 1979년 9월 26일 질문지를 배부하여 그 후 3일부터 10일까지 질문지를 회수여하 83장의 유효한 자료를 얻었다. 83명의 학부모를 Group 1: 유아원에 다니는 어린이의 부모 45명 Group 2: 국민학교에 다니는 어린이의 부모 38명으로 나누고, 두 Group의 각 목적에 대한 유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attell,s Profile Analysis를 하였다. 목적 1과 2에 대하여서는 Group 간의 유의도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목적3에 대하여서는 Group 간의 유의도가 발견되었다. 목적 3의 각 항목에 대하여 t-tests를 행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응답자들은 1. 방염 가공된 잠옷이 시장에서 널리 팔리고 있음은 알고 있으나 방염가공에 관련된 관계법규에 대하여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2. 방염 가공에 관련된 법규를 확대하여 어린이나 노인층의 의복이 방염 가공되기를 원하고 있으며, 3. 시장에서 방염 가공된 의류와 방염 가공되지 않은 의류가 함께 진열되어서 선택할 수 있는 계기를 원하고 있으며, 4. 유아의 부모들이 국민학생의 부모보다 방염 가공의 해독성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 모두가 인산염계 방염 가공제의 독성에 대한 정확한 지식은 없었다.

  • PDF

혁신성과 가격민감도가 스마트의류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Innovativeness and Price Sensitivity on Purchase Intention of Smart Wear)

  • 박현희;노미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18-230
    • /
    • 2012
  •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innovativeness and price sensitivity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smart wear. A total of 211 copies of data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a structural model and test research hypotheses using AMOS 7.0 packag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ashion innovativeness and technology innovativeness negatively affected price sensitivity; however, information innovativeness positively affected price sensitivity. Second, technology innovativeness positively affected the purchase intention of smart wear; however, fashion innovativeness and information innovativeness did not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of smart wear. Third, price sensitivity negatively influenced the purchase intention of smart wear. This study is useful for marketers and managers who establish marketing and a price strategy for smart wear in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 of consumer innovativeness, price sensitivity,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smart we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