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어 교육과정

Search Result 10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upport plan and analysis of deman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using e-learning by marriage immigrants (이러닝 활용 다문화교육에 대한 결혼이민자의 수요 분석 및 지원 방안)

  • Ahn, Seong-H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6 no.1
    • /
    • pp.131-142
    • /
    • 2012
  • In this paper, a support plan for marriage immigrants through e-learning was studied. Currently, the number of Korean men marrying foreign women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the imbalance of gender ratios caused by preference for boys and shunning of rural areas by Korean women. To alleviate this problem, the government is performing various social adaptation programs such as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Most marriage immigrants, however, are not properly educated as they are burdened by their household duties or work. In this paper, a plan for supporting marriage immigrants through e-learning was researched. To achieve this goal, a survey on intentions of the marriage immigrants to receive muticultural education through e-learning was performed. The result showed that most of marriage immigrants have a strong preference for e-learning.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on their preference depending on the original nationality and residential region. A support pla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e-learning was proposed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 The support plan consists of three parts. First, education for marriage immigrants will be specialized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original nationality. Second, Korean education will be given greater emphasis in education. Third, vocation education which will benefit marriage immigrants will be prepared. Above support plans are expected to help the marriage immigrants to settle as equal members of the society instead of deteriorating into an underprivileged class by providing them with an opportunity to receive education.

  • PDF

A Qualitative Study on Educational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s (이민자녀들의 한국교육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Sim, Mi-Kyung
    •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 /
    • v.24 no.5
    • /
    • pp.71-95
    • /
    • 2014
  • This is a pilot study of multifaceted longitudinal research project to explore educational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s in Korea. Especially for this pilot study, I selected three foreign-born immigrant youths and tried to explore how these youths describe constraints of their learning experience in different culture.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mainly collect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perceptions in this study, narrative inquiry and series of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a period of four months which corresponds to one semester of school system in Korea.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to establish a systemic and developmentaly appropriate language education programs that ensure educating the language to the foreign-born immigrant youths because their academic achieve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future depend greatly on the fluency of Korean language. It was also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take appropriate educational actions in supporting alternative schools where the foreign-born immigrant youths can fully and seriously considered as a whole person. Although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in examining every single aspect of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of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in Korea, it provides deep insight into some of their initial educational experiences and proposes several ways to improve these educational programs for them.

Performance Comparison of Automated Scoring System for Korean Short-Answer Questions (한국어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시스템의 성능 개선)

  • Cheon, Min-Ah;Kim, Chang-Hyun;Kim, Jae-Hoon;Noh, Eun-Hee;Sung, Kyung-Hee;Song, Mi-Young;Park, Jong-Im;Kim, Yuhyang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10a
    • /
    • pp.181-185
    • /
    • 2016
  • 최근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의 능력 평가는 단순 암기보다 학생들의 종합적인 사고력을 판단할 수 있는 서답형 문항을 늘리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 그러나 서답형 문항의 경우 채점하는 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채점자의 주관에 따라 채점 결과의 일관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런 점을 해결하기 위해 해외의 사례를 참고하여 국내에서도 서답형 문항에 자동채점 시스템을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14년도에 개발된 '한국어 문장 수준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시스템'의 성능분석을 바탕으로 언어 처리 기능과 자동채점 성능을 개선한 2015년도 자동채점 시스템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각 자동채점 시스템의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성능 분석 대상으로는 2014년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의 서답형 문항을 사용했다. 실험 결과, 개선한 시스템의 평균 완전 일치도와 평균 정확률이 기존의 시스템보다 각각 9.4%p, 8.9%p 증가했다. 자동채점 시스템의 목적은 가능한 채점 시간을 단축하면서 채점 기준의 일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있으므로, 보완한 2015년 자동채점 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 PDF

The Direction to Assessment of School Mathematics in Accordance with 2009 Reformed Curriculum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평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

  • Kang, Myung-Won;Kim, Sung-Ho;Park, Ji-Hun;Lee, Sun-Joon;Cha, Yong-Woo;ChoiKoh, Sang-Soo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4 no.2
    • /
    • pp.301-323
    • /
    • 2010
  • This study was to find the direction to assessment of school mathematics in accordance with 2009 reformed curriculum. As new trends in the latest reformed 2009 curriculum, creativity,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athematics disposition were focused. In creativity, more items should be developed for enhancing students' ability in areas of fluency, elaborateness, and originality, besides flexibility which was mostly dealt in the formal assessments that have been done previously in school. In multicultural education. purposeful bilingu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mathematics education to improve not only students' language skill, but also mathematical ability. In mathematical disposition, various questionnaires including checklists along with clinical interview should be provided to evaluate students' on-going process of mathematical learning.

Lernerstrategien beim Deklinationserwerb im Deutschen (독일어 명사변화 습득을 위한 학습자 전략)

  • Kim Kab-Nyun
    • Koreanishche Zeitschrift fur Deutsche Sprachwissenschaft
    • /
    • v.7
    • /
    • pp.25-41
    • /
    • 2003
  • 외국어 습득 시 우리는 모국어와 배우려는 언어 사이에 존재하는 언어적 차이 때문에 많은 실수를 한다. 한국어와 독일어 사이에는 물론이고 언어사적으로 친밀한 관계에 있는 언어들 사이에도 이런 어려움은 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Erika Diehl(1991)의 연구를 바탕으로 외국어 학습자들이 독일어 명사변화 습득 시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특정한 전략을 사용하는가 하는 문제를 다루었다. Diehl은 2차 언어 습득은 언어적 과도체계를 형성하며 이루어진다는 견해이다. 즉 학습자는 특정하고 동일한 학습자 언어를 형성하며 외국어를 습득한다고 한다. 그녀는 연구대상 언어로 독일어와 불어를 선택하여 불어 모국어 사용자의 독어 명사변화 습득을 관찰하여 이러한 실수의 원인으로 대비가정, 동일가정, 중간언어 가정을 든다. 그러나 불어 모국어 화자들이 2차 언어로서의 독일어 명사변화 학습 시행하는 실수의 정확한 원인이 간언어적 원인인지 언어내적 이유인지 정확히 규명할 수는 없었다. 필자는 본 논문을 토대로 한국어 모국어 화자들의 독일어 명사변화 습득과정을 살펴보는 논문을 계획한다.

  • PDF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Object-Oriented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Dolittle' for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Secondary Education (중등 컴퓨터과학교육을 위한 객체지향형 EPL '두리틀'의 적용 및 평가)

  • Kwon, Dae-Yong;Gil, Hye-Min;Yeum, Yong-Cheul;Yoo, Seoung-Wook;Kanemune, Susumu;Kuno, Yasushi;Lee, Won-Gyu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7 no.6
    • /
    • pp.1-12
    • /
    • 2004
  • Current computer education is difficult to educate basic concepts and principals of the computer science because the 7th curriculum of computer education is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software. According to the ACM K-12 report about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model, current computer education is taking the wrong way and we should put the highly priority on the education of the fundamentals through programming languages for a better computer education oriented to the computer science. This paper introduces a new object-oriented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Dolittle". The design principals of Dolittle are simple syntax of Korean, incremental programming, text based programming, aliasing of function, and object-oriented programming. Being applied to middle school classes, we can confirm that Dolittle is easy to learn, and gives rise to high interest and keeps interest through a course, and also is of great practical use in class for programming novice.

  • PDF

A Study on th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Foreign Labors in Gwangju (광주지역 내 외국인 근로자의 정보추구행태에 관한 연구)

  • Yun Eun-Mi;Chang Wo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6.08a
    • /
    • pp.23-30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광주지역에 거주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이 일상생활에서 겪게 되는 다양한 정보요구(need)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의 정보추구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한국어교육, 임금, 가족과 관련한 정보요구가 많았으며, 다양한 정보원들을 이용하여 정보요구를 해결해 나갔다. 정보원은 대체로 접근이 용이하고 친근하다고 느끼는 것과 모국어로 되어 있는 것을 주로 이용하였고 스스로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선호하였다.

  • PDF

Automated Scoring System for Korean Short-Answer Questions Using Predictability and Unanimity (기계학습 분류기의 예측확률과 만장일치를 이용한 한국어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시스템)

  • Cheon, Min-Ah;Kim, Chang-Hyun;Kim, Jae-Hoon;Noh, Eun-Hee;Sung, Kyung-Hee;Song, Mi-Young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5 no.11
    • /
    • pp.527-534
    • /
    • 2016
  • The emergent information society requires the talent for creative thinking based on problem-solving skills and comprehensive thinking rather than simple memorization. Therefore, the Korean curriculum has also changed into the direction of the creative thinking through increasing short-answer questions that can determine the overall thinking of the students. However, their scoring results are a little bit inconsistency because scoring short-answer questions depends on the subjective scoring of human raters. In order to alleviate this point, an automated scoring system using a machine learning has been used as a scoring tool in overseas. Linguistically, Korean and English is totally different in the structure of the sentences. Thus, the automated scoring system used in English cannot be applied to Korean. In this paper, we introduce an automated scoring system for Korean short-answer questions using predictability and unanimity. We also verify the practicality of the automatic scoring system throug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results of the automated scoring system and those of human raters. In the experiment of this paper, the proposed system is evaluated for constructed-response items of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and science i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he analysis was use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Kappa coefficient. Results of the experiment had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t 0.7 or higher. Thus, the scoring results of the proposed scoring system are similar to those of human raters. Therefore, the automated scoring system should be found to be useful as a scoring tool.

Natural Language-based Immersive English Tutoring System (자연어 대화 기반 몰입환경 영어 교육 시스템)

  • Lee, Kyusong;Lee, Sungjin;Lee, Jonghoon;Noh, Hyeongjong;Lee, Gary Geunba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0.10a
    • /
    • pp.22-27
    • /
    • 2010
  • 최근 국가적 차원에서 영어교육에 대한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기존의 주입식, 암기식 영어 교육은 회화 실력 향상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하였다. 컴퓨터를 이용한 영어교육 또한 많은 관심을 얻고 있으나 실제 의사소통을 위한 회화 학습에 대한 고려는 깊지 않으며, 주어진 흐름의 대본을 따라 단순히 읽고 반복하는 수준의 시스템만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학습형태는 흥미 유발 동기가 약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장기간 꾸준히 학습하게 만들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제2언어 습득 이론에 바탕을 둔 자연어 처리 기반 몰입 환경 영어 교육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는 도메인 확장성이 뛰어난 예제 기반 대화 시스템을 3 차원 가상공간과 결합한 시스템으로 자연스러운 대화를 통한 외국어 회화 연습을 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발화 오류를 분석하고 교육적 피드백을 제공한다. 또한 현실과 비슷한 몰입 환경에서 체험형 기술을 통해 자발적인 학습을 유도하고 집중력, 기억력을 획기적으로 높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영어교육 시스템의 이론적 배경, 예제 기반 대화관리, 시스템 구성요소와 동작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기술하였다.

  • PDF

Performance Comparison of Automated Scoring System for Korean Short-Answer Questions (한국어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시스템의 성능 개선)

  • Cheon, Min-Ah;Kim, Chang-Hyun;Kim, Jae-Hoon;Noh, Eun-Hee;Sung, Kyung-Hee;Song, Mi-Young;Park, Jong-Im;Kim, Yuhya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6.10a
    • /
    • pp.181-185
    • /
    • 2016
  • 최근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의 능력 평가는 단순 암기보다 학생들의 종합적인 사고력을 판단할 수 있는 서답형 문항을 늘리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 그러나 서답형 문항의 경우 채점하는 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채점자의 주관에 따라 채점 결과의 일관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런 점을 해결하기 위해 해외의 사례를 참고하여 국내에서도 서답형 문항에 자동채점 시스템을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14년도에 개발된 '한국어 문장 수준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시스템'의 성능분석을 바탕으로 언어 처리 기능과 자동채점 성능을 개선한 2015년도 자동채점 시스템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각 자동채점 시스템의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성능 분석 대상으로는 2014년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의 서답형 문항을 사용했다. 실험 결과, 개선한 시스템의 평균 완전 일치도와 평균 정확률이 기존의 시스템보다 각각 9.4%p, 8.9%p 증가했다. 자동채점 시스템의 목적은 가능한 채점 시간을 단축하면서 채점 기준의 일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있으므로, 보완한 2015년 자동채점 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