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8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2초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학교 환경이 스마트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매개효과 (Impact of Social Withdrawal and School Environment on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 손신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577-58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의 영향 요인들을 확인하고, 요인들 간의 작용하는 직·간접 경로를 통해 스마트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8)의 2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고, SPSS 26.0 및 26.0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여섯 개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자아존중감과 우울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위축과 학교 환경은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매개 요인으로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영향을 미쳤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은 개인적 요인뿐 아니라 학교 환경과 같은 사회적 요인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의존을 예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근거자료로 제시될 것이다.

초기 청소년의 발달환경이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 매체환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Early Adolescents' Developmental Environment on their Delinquent behavior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Media Environment)

  • 현다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71-283
    • /
    • 2018
  • 본 연구는 부모양육태도, 친구관계, 학교환경 등 청소년의 발달환경이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컴퓨터, 휴대전화 등 매체환경이 그 관계에서 어떤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기 청소년인 중학교 1학년 총 518명 대상으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 6차년도 조사결과를 활요하였다. 분석결과, 부모양육태도가 애정형, 과잉간섭형, 학대형일수록, 친구와 소외관계가 깊을수록 비행행동은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비일관성, 친구간 의사소통은 컴퓨터와 휴대폰을 더 자주 사용하게 하였다. 컴퓨터, 휴대전화를 자주 사용할수록 비행행동도 늘어났다. 따라서 청소년의 가정환경, 친구관계는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부모교육프로그램, 친구간 소통프로그램 등 비행행동을 방지하는 발달환경의 조성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비행행동을 완화하기 위해 최근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컴퓨터나 휴대전화 등에 대해 올바른 활용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이 요구된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 매개효과 (Effects of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on Adolescents' Aggressiveness: Mediation Effects of Peer Attachment)

  • 김숙향;김형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642-65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과 또래애착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 초4 7차 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공선성 VIF 값을 사용하여 양육태도, 공격성, 또래애착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 하였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공격성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또래애착이 부분매개효과가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험적 근거로 의미를 가지며, 이를 토대로 부모를 대상으로는 부모교육프로그램과 청소년을 대상으로는 또래애착 강화 프로그램이 사회복지개입실천에서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 구조 모형 구축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Korean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 이하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02-310
    • /
    • 2018
  • 본 연구는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고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 연구는 2016 한국아동 청소년 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ps)의 자료 중 7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청소년 본인 1881명 중 응답률이 불충분한 101명을 제외한 1780명을 최종 분석에 활용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 22와 Amos Program 22를 이용하여 유의수준 .05 수준에서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과 연구변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 통계 분석(descriptiv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검증 및 가설 검증은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 estimate)을 사용하였으며 모형 적합도 평가는 $X^2$ 통계량, GFI, AGFI, CFI, IFI, RMSEA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은 우수한 모델 적합도를 나타내었으며, 자아탄력성, 또래관계, 공동체 의식은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자아탄력성, 또래관계, 공동체 의식을 높일 수 있는 혼합형 중재가 필요할 것임을 제안한다.

청소년이 인식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간의 종단적 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의 적용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Adolescents,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pplication of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 이서연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9-65
    • /
    • 2022
  •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녀가 인식하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개인의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이 상호간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2018년 자료 중 중학교 1학년 패널의 1차~3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고, 변수들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유용한 자기회귀교차모형을 적용하여 종단적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이 인식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가 각각 이후 시점의 부정적 양육태도 인식,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이전 시점의 부정적 양육태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이후의 자아존중감이나 삶의 만족이 유의하게 낮았고, 이전 시점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이후 시점의 삶의 만족이 유의하게 높았다. 삶의 만족이 높을수록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더 낮게 인식하였고, 자아존중감은 높았다.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에 대한 인식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낮추는 반면 자아존중감에서 부정적 양육태도 인식으로 가는 교차지연계수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청소년기의 부정적 양육태도 인식과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간의 종단적인 관련성을 확인하였고, 청소년의 긍정적 자아존중감 형성과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청소년의 그릿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개인요인, 부모요인, 학교요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Adolescent's Grit: Individual Factor, Parent Factor, School Factor)

  • 장윤아;김소영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57-6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개인요인과 부모요인, 학교요인이 그릿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2018)자료를 활용하여 중학교 1학년 학생 2,394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개인요인인 자아존중감과 주의집중은 그릿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청소년의 부모요인인 거부, 강요, 비일관성은 그릿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학교요인인 교사관계는 그릿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청소년기에 그릿에 미치는 요인들을 예측하여 후속연구에 제언하였다.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종단분석: 성별 및 학업 관련 특성을 중심으로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the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Focusing on gender and academic characteristics)

  • 심재휘;이기혜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4권1호
    • /
    • pp.199-225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중1패널 3-6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학업 관련 특성과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적 관계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성별에 따라 삶의 만족도와 영향요인 간의 종단적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도 확인하였다. 먼저 최소제곱법(OLS) 추정을 이용한 중학교 3학년 때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대한 학생 간 차이 분석 결과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주관적 학업성취 수준이 높고 수업에 잘 적응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반면 학습시간이 많은 학생의 삶의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주관적 학업성취 효과는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적 관계 변수들을 추가로 투입했을 때 통계적 유의미성을 상실하였으며, 부모, 교사, 친구와의 관계는 모두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고정효과(fixed effect) 추정을 통해 중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청소년 삶의 만족도의 종단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주관적 학업성취와 수업적응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관계가 확인되었다. 한편 중학교 3학년때 크게 나타났던 여학생과 남학생의 삶의 만족도 격차는 고등학교 2학년 시기에 좁혀졌다. 가정및 학교 내 사회적 관계의 효과를 보면 교우관계, 부모자녀 관계는 남녀 모두에게 정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으나 교사학생 관계는 여학생에게서만 정적인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이상의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한국교육의 풍토에 대해 논의하였다.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이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개발 체험활동 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Adolescent's Social Withdrawal on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Participation in Self-development Youth Activities -)

  • 이은정;정은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596-606
    • /
    • 2022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이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발 체험활동 참여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 3차년도 자료 중 중학교 1학년 2,384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분석, 선형회기분석, 위계적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적 위축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아지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위축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개발 체험활동이 사회적 위축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넷째, 자기개발 체험활동이 사회적 위축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중학교 청소년의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를 중심으로 (Association of Sleep Duration and Quality of Sleep with Depress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 윤현정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9-197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quality of sleep and depression,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design with secondary data, middle school student panel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and data from a total of 2,590 students was used for analysi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 26. Results: The mean depression score in adolescents was 17.99±6.38. Depress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leep duration and quality. Adolescents with less than eight hours of sleep showed the highest depression, and poor sleepers showed higher depression scores than good sleepers. Gender, school achievement, school satisfaction, economic status, and exercise time were found to significantly relate to depression. After controlling for general characteristics, depression explained 17.2% of the variance in quality of sleep (β=-.15, p<.001) and sleep duration (β=-.04, p=.022).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rvention strategies to enhance the quality of sleep and appropriate sleep duration for preventing depression in adolescents.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mpacts of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on Children's Smartphone Dependency: Based on Meditation Effect of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 박혜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406-41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정적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의존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 구실을 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초4 코호트" 2,607명 중 불성실한 응답표본 208명을 제외한 2,399명이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성 지지와 강요는 아동의 공격성에 대해 부(-)영향을 미치지만, 거부와 비일관성은 공격성에 대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일관성과 거부는 아동의 사회적 위축에 대해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강요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격성은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사회적 위축은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자율성지지, 거부, 강요 그리고 비일관성은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공격성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시사하는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