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접근양식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Study on Lifestyle as a Basic Curriculum for Design Education (디자인교육을 위한 기초교과목으로서 라이프스타일 연구)

  • Mun, Keum-Hi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9 no.1 s.63
    • /
    • pp.171-180
    • /
    • 2006
  • Modern design has to be satisfied to user in various social class. Therefore a study of lifestyle is vary important as a basic of design. The logical starting point to grasp the user's needs is begun by consumer analysis. There are many methods of consumer analysis, In them, the study of lifestyle is extremely much used for understanding consumer who is classified with groups. Basic education of design have to teach knowledge and ability which is to be a groundwork for designer. The study of lifestyle is not a purpose itself but one of theoretical knowledge which is requested for design. By induding practical techniques and theory, theory can be achieved through practical techniques and the meaning of theory itself could be recalled. The value of this study is in the suggestion which is the way of approach to research and to study for oneself, by introduce the study through conceptual approach for lifestyle into basic desig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study of lifestyle, let students have the theoretical knowledge which is concept of lifestyle, modern social form, consumer culture, the way of using lifestyle and theorizing lifestyle, etc, And after, let students make teams for the study of lifestyle for oneself. Every team creates the subject and studies lifestyle of each social dass by the practical way such as Inquiry, observation and interview etc. As a result they have to make a report after the form of paper and let them have a presentation in each team. Students can understand lifestyle through this process not only theoretical but also practical and can be earned an ability for apply to business.

  • PDF

The Recognition Characteristics of Science Gifted Students on the Earth System based on their Thinking Style (과학 영재 학생들의 사고양식에 따른 지구시스템에 대한 인지 특성)

  • Lee, Hyonyong;Kim, Seung-Hwan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3 no.1
    • /
    • pp.12-3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cognition characteristics of science gifted students on the earth system based on their thinking style. The subjects were 24 science gifted students at the Science Institute for Gifted Students of a university located in metropolitan city in Korea. The students' thinking styles were firstly examined on the basis of the Sternberg's theory of mental self-government. And then,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ype I group(legislative, judicial, global, liberal) and Type II group(executive, local, conservative) based on Sternberg's theory. Data was collected from three different type of questionnaires(A, B, C types), interview, word association method, drawing analyses, concept map, hidden dimension inventory, and in-depth interviews. The findings of analysis indicated that their thinking styles were characterized by 'Legislative', 'Executive', 'Anarchic', 'Global', 'External', 'Liberal' styles. Their preference were conducting new projects and using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es. The results of students' recognition characteristics on earth system were as follows: First, though the two groups' quantitative value on 'System Understanding' was very similar, there were considerable distinctions in details. Second,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in the System' was closely connected to thinking styles. Type I group was more advantageous with multiple, dynamic, and recursive approach. Third, in the relation to 'System Generalization' both of the groups had similar simple interpretational ability of the system, but Type I group was better on generalization when 'hidden dimension inventory' factor was added. On the system prediction factor, however, students' ability was weak regardless of the type. Consequently, more specific development strategies on various objects are needed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ystem learning program.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be practically and effectively used on various fields related to system recognition.

  • PDF

The Influence of Case-Based Learning using video In Emergency care of infant and toddlers (영유아 응급처치 교육에서의 동영상 활용 사례기반학습의 효과)

  • Cho, Hye-Young;Kang, Kyoung-Ah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12
    • /
    • pp.292-30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se-based learning about infants and toddlers on healthcare department students, using a video in an emergency care environment. A total of 57 students from a healthcare department of D university in J city were enrolle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n=29) and the control group (n=28). This study is pre-post designed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1-week education for a duration of 3 weeks (3 sessions in total) with 180 minutes per session. The control group received a traditional curriculum of lecture.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we measured the knowledge and skill confidence of emergency care toward infants and toddlers,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Data collection and intervention were carried out from November to December of 2014. Data were analyzed with x2-test, paired t-test, unpaired t-test with SPSS version 20.0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of skill confidence of emergency care toward infants and toddlers (P<001), as well as preferred task difficulty among sub-items of academic self-efficacy (p=.029), approach avoidance style (P=.001), and problem solving confidence (p=.040) among sub-items of problem solving ability on preferenc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this study, a case-based learning was verified to b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enhance professional competency of healthcare department student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a case-based learning using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expanded, and carried out to promote better learning.

Changes of Housing in the FCS Curricular from the 1st to 2009 Revised of Secondary School (중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의 주생활 영역 내용 변화 - 1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

  • Heo, YoungSun;Kim, NamEun;Choi, MinJi;Baek, MinKyung;Gwak, SeonJeong;Cho, JaeSoo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5 no.1
    • /
    • pp.95-11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housing related to characters, objectives, and contents of FCS curricular from the 1st to 2009 revised curriculum of secondary school. The data were downloaded from the NCIC homepage(http://www.ncic.re.kr/2012. 04. 08) from the 1st(1955. 08) to 2009 revised curriculum(2012. 03) of secondary school. After examining the characters and objectives of each curriculum, contents of housing was analyzed by units and context elem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separately. The titles of the subject, the objectives, the instructions, the leaning spheres, weekly hours, grade and gender of candidates, the emphasis of the instruction, etc. have been changed through the curriculum revision. The 6th curriculum was the main period to open to both genders, the $7^{th}$ was the period to combine with technology, the 2007 version was to change the structure of contents of home economics, and the 2009 version switched technology home economics from mandatory to optional in high school. The character of the courses was presented at the 1st curriculum, but it was left out from the $2^{nd}$ to $5^{th}$ curriculum. From the $6^{th}$ curriculum, the characters were separately given to middle and high school. The character of housing area started to appear only in high school home economics from the $7^{th}$ curriculum. The course objectives were described in all curriculum of both middle and high school. This applies to housing area as well. The course objectives have been modified in order to reflect value changes due to social issues. During each curriculum, contents of housing continued to change in context, course load, and candidates. Reflection of housing trends and social needs were the main causes of the change. 2009 version emphasizes on eco-life and sense of community.

  • PDF

The Development of Science Culture Indicators for Socio-Scientific Issues: Focusing on Climate Change (과학관련 사회적 이슈에 대한 과학문화지표의 개발: '기후변화'를 중심으로)

  • Kim, Lee-Kyoung;Ha, Eun-Sun;Song, Jin-Wo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0 no.4
    • /
    • pp.472-486
    • /
    • 2010
  • The surveys for public awareness in relation to socio-scientific issues (SSI) have been limited to several topics such as public perception of risks about the issues and preference for some policies. To illuminate the public science culture literacy about SSI from a holistic perspectiv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indicator system. For this purpose, the issue on climate change, which is currently one of the biggest issues worldwide, was adopted as a specific SSI and the framework centering on climate change was developed. Science culture literacy about SSI was defined as a lifestyle to identify SSI from various viewpoints and to cope with problems related to SSI appropriately. In the framework proposed, individual science culture indicators are divided into Potential and Activity area. The Potential consists of categories of Interest, Opinion and Understanding, whereas the Activity is composed of categories of Learning and Practice.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framework statistically, the developed questionnaire was reviewed by science educators, environment experts and atmospheric scientists and was used to asked 777 secondary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es, the framework was modified and it consequently had 2 areas, 5 categories, 15 sub-categories, 34 indicators and 63 items. It is expected that the framework of science culture indicators for SSI could be used as a measurement tool for public awareness about various SSI topics.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

Musical Analysis of Jindo Dasiraegi music for the Scene of Performing Arts Contents (연희현장에서의 올바른 활용을 위한 진도다시래기 음악분석)

  • Han, Seung Seok;Nam, Cho Long
    • (The) Research of the performance art and culture
    • /
    • no.25
    • /
    • pp.253-289
    • /
    • 2012
  • Dasiraegi is a traditional funeral rite performance of Jindo located in the South Jeolla Province of South Korea. With its unique stylistic structure including various dances, songs and witty dialogues, and a storyline depicting the birth of a new life in the wake of death, embodying the Buddhism belief that life and death is interconnected; it attracted great interest from performance organizers and performers who were desperately seeking new contents that can be put on stage as a performance. It is needless to say previous research on Dasiraegi had been most valuable in its recreation as it analyzed the performance from a wide range of perspectives. Despite its contributions, the previous researches were mainly academic focusing on: the symbolic meanings of the performance, basic introduction to the components of the performance such as script, lyrics, witty dialogue, appearance (costume and make-up), stage properties, rhythm, dance and etc., lacking accurate representation of the most crucial element of the performance which is sori (song). For this reason, the study analyzes the music of Dasiraegi and presents its musical characteristics along with its scores to provide practical support for performers who are active in the field. Out of all the numbers in Dasiraegi, this study analyzed all of Geosa-nori and Sadang-nori, the funeral dirge (mourning chant) sung as the performers come on stage and Gasangjae-nori, because among the five proceedings of the funeral rite they were the most commonly performed. There are a plethora of performance recordings to choose from, however, this study chose Jindo Dasiraegi, an album released by E&E Media. The album offers high quality recordings of performances, but more importantly, it is easy to obtain and utilize for performers who want to learn the Dasiraegi based on the script provided in this study. The musical analysis discovered a number of interesting findings. Firstly, most of the songs in Dasiraegi use a typical Yukjabaegi-tori which applies the Mi scale frequently containing cut-off (breaking) sounds. Although, Southern Kyoung-tori which applies the Sol scale was used, it was only in limited parts and was musically incomplete. Secondly, there was no musical affinity between Ssitgim-gut and Dasiraegi albeit both are for funeral rites. The fundamental difference in character and function of Ssitgim-gut and Dasiraegi may be the reason behind this lack of affinity, as Ssitgim-gut is sung to guide the deceased to heaven by comforting him/her, whereas, Dasiaregi is sung to reinvigorate the lives of the living. Lastly, traces of musical grammar found in Pansori are present in the earlier part of Dasiraegi. This may be attributed to the master artist (Designee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ho was instrumental in the restoration and hand-down of Dasiaregi, and his experience in a Changgeuk company. The performer's experience with Changgeuk may have induced the alterations in Dasiraegi, causing it to deviate from its original form. On the other hand, it expanded the performative bais by enhancing the performance aspect of Dasiraegi allowing it to be utilized as contents for Performing Arts. It would be meaningful to see this study utilized to benefit future performance artists, taking Dasiraegi as their inspiration, which overcomes the loss of death and invigorates the vibrancy of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