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자 선택권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 Instructional Design of STEAM Programs using 3D Printer and Analysis of its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3D 프린터를 활용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과 만족도 분석)

  • Bae, Youngkwon;Park, Phanwoo;Moon, Gyo Sik;Yoo, Inhwan;Kim, Wooyeol;Lee, Hyonyong;Shin, Seungk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1 no.4
    • /
    • pp.475-48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TEAM program using 3D printer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and students' satisfaction in order to draw implications and suggest the future directions. To design the alternative instructional framework utilizing the 3D printer, we used the learning standards of 'presenting the situation', 'creative design', and 'emotional experience' for the 3rd to 4th grade and 5th and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about 'interest', 'care and communication', 'self-directed learning', 'career choice for science and engineering'. According to the students' satisfaction survey,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are interested in general, they can learn various subjects in relation to existing the regular classes, and that they have lots of making and experiencing activiti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2 Fuel Cell Education Platform: Meta-Fuelcell (연료전지 교육 플랫폼 Meta-Fuelcell 개발에 관한 연구)

  • Duong, Thuy Trang;Gwak, Kyung-Min;Shin, Hyun-Jun;Rho, Young-J.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2 no.5
    • /
    • pp.29-35
    • /
    • 2022
  • This paper proposes a fuel cell education framework installed on a Metaverse environment, which is to reduce the burden of education costs and improve the effect of education or learning. This Meta-Fuel cell platform utilizes the Unity 3D Web and enables not only theoretical education but also hands-on training. The platform was designed and developed to accommodate a variety of unit education contents, such as ppt documents, videos, etc. The platform, therdore, integrates ppt and video demonstrations for theoretical education, as well as software content "STACK-Up" for hands-on training. Theoretical education section provides specialized liberal arts knowledge on hydrogen, including renewable energy, hydrogen economy, and fuel cells. The software "STACK-Up" provides a hands-on practice on assembling the stack parts. Stack is the very core component of fuel cells. The Meta-Fuelcell platform improves the limitations of face-to-face education. It provides educators with the opportunities of non-face-to-face education without restrictions such as educational place, time, and occupancy. On the other hand, learners can choose educational themes, order, etc. It provides educators and learners with interesting experiences to be active in the metaverse space. This platform is being applied experimentally to a education project which is to develop advanced manpower in the fuel cell industry. Its improvement is in progress.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AI program Model And Its Application (수학과 CAI프로그램 모형 개발과 적용)

  • 강희태;권연근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 no.1
    • /
    • pp.53-64
    • /
    • 1998
  • Two different CAI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to study the affect of CAI element for the types of learners'performance; (i) one is the 'CAI program 1' including the open questions for the fourth grade (the fourth period of the 'Time and Angle' in chapter 3 of the first term) of the mathematics class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il) the other is 'CAI program 2' for the existing methods. The fourth grade of Andong Songhyun elementary school has been chosen as the study subjects (243 learners), and the t-test and learners'interview have also been used to analysis the results of CAI programs. The CAI programs have only been used as the control variable. The developed CAI programs have been applied two different learners'group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performance among the superior, average, and inferior learners. For the superior group (p<.0023) at the t<3.2268 level and for the average group (p<.0706) at the t<1.8211 level the learner' group using CAI program 1 shows the higher performance compared with the learners' group using the CAI program 2, whereas fur the inferior group (p<.8073) at the t<.2458 level two program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The learners interviews show that the superior and average groups have an interest for the open problems, whereas the inferior group do not shows an interest for the open problems. Thus, the CAI programs including the open questions (open fields, open evaluation) will be helped to the learners' group with the individual difference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CAI programs including the open questions as the mathematics and the program model of CAI can be used to develope the CAI program in future.

  • PDF

Reaction of Student for the Field Application of ESE Program - Focusing on the Global Climate Game - (지구계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에 따른 학습자의 반응 - 지구 기후 게임을 중심으로 -)

  • Kang, Hyun-A;Cho, Kyu-Seo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3 no.4
    • /
    • pp.299-308
    • /
    • 2002
  • While 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s gradually proceeding, science education tries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 for integration in science education.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arth Systems Education(ESE), which is approaching method to integrate science education, especially in its focus on planet Earth. Also, the second purpose is to know what the reactions of students are obtained after 'The Global Climate Game' in ESE active learning program is applied to the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SE is to propose the integrated approaching method of searching for natures and ESE teaching-learning method is to try to overcome fixed conventional teaching-learning method focus on the text book,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ESE teaching-learning method is that we can develope the student-emphasized instructional program through the discussional cooperation-teaming models, role-play instructional models. In this study, 'The Global Climate Game' found that was suitable of understanding about relating of atmosphere, hydrosphere, lithosphere and biosphere composing Earth System. Reaction of most students for ESE was showed a positive change of aspect affective region and ESE active learning program is more efficient to improve schoolwork achivement and students positive attitude toward science subject than conventional teaching-learning method. Thus if ESE active learning program is applied for a long time, the general positive attitude of students concerning science will be increased, and then the students is expected to extend the ability of application of science in their life.

NCS-based Education & Training and Qualification Proposal for Work-Learning Parallel Companies Introducing Smart Manufacturing Technology (스마트 제조기술을 도입하는 일학습병행 학습기업을 위한 NCS 기반 교육훈련 및 자격 제안)

  • Choi, Hwan Young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2 no.1
    • /
    • pp.117-125
    • /
    • 2020
  •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smart factory promotion project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more than 10,000 intelligent factories are scheduled or already built in the country and the government-led goal is to nurture 100,000 skilled workers by 2022. Smart Factory introduces numerous types of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from the supplier's point of view, such as training institutions belonging to local governments, some universities, and public organizations, in the form of an efficient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d ICT technology convergence in the automated manufacturing equipment. The lack of linkage with the NCS, the standard for training, seems to have room for rethinking and direction. Results of survey is provided for the family companies of K-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Chungnam area, and analyzes job demands by identifying whether or not they want to introduce smart factories. Defining the practitioners who will serve as a window for the introduction of smart factory technology within the company, setting up a training goal in consideration of the career path, and including the level of training required competency units, optional competency units, and training time suitable for introducing and operating smart factories. Author would like to present an NCS-based qualification design plan.

A Study on GA-based Optimized Polynomial Neural Networks and Its Application to Nonlinear Process (유전자 알고리즘 기반 최적 다항식 뉴럴네트워크 연구 및 비선형 공정으로의 응용)

  • Kim Wan-Su;Lee In-Tae;Oh Sung-Kwun;Kim Hyun-K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5 no.7
    • /
    • pp.846-851
    • /
    • 2005
  • In this paper, we propose Genetic Algorithms(GAs)-based Optimized Polynomial Neural Networks(PNN). The proposed algorithm is based on Group Method of Data Handling(GMDH) method and its structure is similar to feedforward Neural Networks. But the structure of PNN is not fixed like in conventional neural networks and can be generated in a dynamic manner. As each node of PNN structure, we use several types of high-order polynomial such as linear, quadratic and modified quadratic, and it is connected as various kinds of multi-variable inputs. The conventional PNN depends on the experience of a designer that select the number of input variables, input variable and polynomial type.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organize optimized network. The proposed algorithm leads to identify and select the number of input variables, input variable and polynomial type by using Genetic Algorithms(GAs). The aggregate performance index with weighting factor is proposed as well. The study is illustrated with tile NOx omission process data of gas turbine power plant for application to nonlinear process. In the sequel the proposed model shows not only superb predictability but also high accuracy in comparison to the existing intelligent models.

지구온난화에 따른 인천 지역 기상환경과 해양환경 변화의 관계 분석 : 귀추적 탐구 방법을 중심으로

  • Lee, Hyo-Nyeong;O, Hui-Jin;Lee, In-Ho;Kim, Min-Gi;Lee, Gyeong-Seop;Lee, Jun-Ho;Kim, Yeong-Geun;Jo, Su-Ho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70-70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귀추적 탐구 방법과 관련된 전략들을 적용하여 지구온난화에 관련되어 측정된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관련된 사실, 원리, 법칙, 선행 연구 결과 등을 토대로 지구통합적인 관점과 지구계를 구성하는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과 영향을 중심으로 재해석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지구과학(지구시스템과학)의 학문 성격, 최근 동향, 본성 및 탐구 대상의 특성에 대한 내용과 지구과학의 본질적 속성에 잘 부합하는 귀추적 탐구 방법에 대해 학습한 후, 학생들은 인천 및 다양한 지역의 기상과 해양 자료 분석을 통하여 관찰되는 현상(결과)의 원인과 영향을 파악하는 연구 활동을 하였다. 이 과정에서 귀추적 탐구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과학 탐구에서 귀추적 탐구 방법을 사용하는 과학자들의 예시와 모의 활동을 통하여, 귀추적 탐구 방법에 사용되는 다양한 사고 전략(예, 데이터의 재구성 전략, 유추 전략, 개념적 결합 전략 등)에 대한 예시를 경험하였다. 학생들은 지구온난화에 관련되어 나타나는 현상(조사된 사항 포함)과 영향에 대해 지구시스템적으로 이해하고 재해석하기 위해 지구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예, 수권, 대기권)와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검색하고 수집하였다. 1) 지구시스템과 지구온난화에 대한 조사하고, 2)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의 변동성 확인한 후, 3) 지구온난화와 관련된 선행 연구 결과 분석하였다. 또한, 지구과학의 본질적 속성에 잘 부합하는 귀추적 탐구 방법의 이해와 적용하는 과정에서 1) 지구 온난화 및 기후 변화의 실태 파악하고, 2) 인천 지역의 월별, 계절별 기온 변화 분석 및 경향 조사(탐색: 연구문제 규명)한 후, 3) 인천과 속초 지역의 기온, 수온의 변화 추이 및 분석 (조사: 원인 조사 과정)하였다. 4) 속초 지역의 평균해면기압변화 추이 및 분석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5) 문헌조사 및 선행연구 결과 분석을 통한 지구 온난화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재검토 및 확인(선택 및 설명)하여, 6) 인천지역과 속초지역의 지구온난화 원인 분석 및 문제점 보완(설명)하기 위해 7) 겨울철 지구온난화가 더 심각한지 부산지역과 포항지역의 자료 분석을 통하여 연구 결과 내용의 보완 (추가 조사 및 설명)한 후, 8) 분석 결과 및 해석 내용을 전문가와 상담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연구를 진행하면서 얻은 결과를 교육적 측면에서 다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학생들의 지구환경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귀추적 탐구 방법을 활용한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켰다. 아울러, 지구과학의 탐구 본성, 최근 동향, 탐구대상의 특성 등의 학습을 통해 지구과학도로서의 기본적인 소양과 자질 향상에 기여하였으며, 사회과학의 연구방법을 순수과학연구에 접목하여 과학자로서의 문제해결 능력과 시스템 사고력을 향상시켰다.

  • PDF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Acid-Base Related Concepts Using Three Different Neutralization Titration Technologies (세 가지 다른 중화적정 실험 방법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산.염기 관련 개념의 이해 분석)

  • Ree, Jong-Baik;Park, Ga-Young;Lee, Sang-Kw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1 no.6
    • /
    • pp.864-87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acid-base related concepts using three different titration technologies. The test population was composed of 209 students from three classes in the 10th grade. The different titration experiments using indicator, or pH-meter or MBL were performed in each class unit, respectively. The analyses of the effect on the understanding of different titration technologies were carried out by comparing the mean scores of the concept test taken before and after the titration for the three groups. The results of the acid-base related concept test indicated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were shown by all groups. Comparing the effect on the comprehension of the three groups, the MBL group showe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while the pH-meter group showed the least significant. It was also attempted to analyze the effect on comprehension of the concepts by the cognitive and the motivational levels of student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tudents in the formal operation stage showed higher understanding of the acidbase related concepts, while those in the concrete operation stage showed lower comprehension. It was also shown that the students at the active motivational level scored higher in comprehension than those who had a low sc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at each group showed differently enhanced comprehension of concepts by titration technologies. Therefore, teachers need to promote an appropriate experiment technology for the cognitive and motivational levels of students as well as try to help students express freely their own perspectives.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