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이해도

Search Result 2,26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n Adaptive Tutoring System using Concept-Map (컨셉맵을 이용한 적응형 교수 시스템)

  • Choi, Sook-You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9 no.1
    • /
    • pp.29-39
    • /
    • 2006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daptive tutoring system, which analyzes learning process, subject materials, and test items of students, diagnoses learning problems of them, and then gives proper advice accordingly. In the system, learning materials are constructed using concept map, on which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ing concepts are represented. Concept map can be used for several purposes in instruction process. Our work considers that new learning knowledge is dependent on what is already known. That is, it means that precedent concepts should be thoroughly learned for students to comprehend new concepts. After grasping the learning state of students for precedent concepts to be required before learning new concepts, our system provides proper learning materials for want of them, diagnoses the concepts which students have trouble to understand in the learning process,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it.

  • PDF

Understanding Science Experiments with Science Drama (과학 연극 활동이 과학 실험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 Yoon, Hye-Gyoung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26 no.3
    • /
    • pp.260-266
    • /
    • 2007
  • 대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실험은 추상적인 과학 지식이 실제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많은 경우 학습자들은 실험을 하더라도 그 실험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이해하지 못한다.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 활동과 관련된 과학사를 연극의 형태로 도입하여 실험 내용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먼저 전자기 유도에 관련된 몇 개의 실험을 실시한 후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발견에 관한 짧은 과학 연극을 준비하고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과학 연극의 도입이 이전에 실시한 실험 내용(실험 결과와 이에 대한 해석)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 직후, 과학 연극 실시 직후 동일 검사지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과학 연극을 실시하는 것이 과학 학습에 도움을 주는지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의견도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연극을 실시한 직후 이전에 실시한 실험의 내용을 이해하고 그 실험으로부터 얻은 지식을 적용하는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극 공연자가 관람자에 비해 실험에 대한 이해가 더 많이 증가하였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80% 이상의 참여자가 과학 연극이 실험 내용의 이해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안식하였으며 공연자가 관람자보다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참여자들의 반응으로부터 어떠한 점에서 과학 연극이 과학 학습에 도움이 되는지, 과학 연극의 장점과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 PDF

The Multimedia Contents Development for Electric Circuit Learning on WWW (웹상에서의 전기제어회로 학습 멀티미디어 컨텐츠개발)

  • 박재규;김인중;강명구;이근무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399-402
    • /
    • 2001
  • 실기 중심의 수업에서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반복되는 기능 습득으로 목표점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행동주의적인 학습방법에도 기포적인 이론 즉 인지주의적인 학습이 뒷받침되어야 기능 습득이 효과적으로 된다고 본다. 특히 여기서 다루고자하는 전기회로 실습에서는 기기의 동작원리 및 동작되는 기기에 따라 변화되는 회로의 이해가 학습자에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므로 실습에 사용되는 요소별 회로도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동영상으로 된 회로분석도가 필요하다. 오늘간 일상 생활에서부터 각종 산업분야에 이르기까지 전기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전기분야는 전기이론, 전기기기, 전력, 자동제어, 전기응용, 전기측정, 전기실습 등 여러 분야가 있으나, 전기실습은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곡 필요한 과목이며, 다른 과목의 이해를 돕게 하는 기초적인 요소이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전기실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동영상으로 된 회로 분석도를 작성하였다.

  • PDF

Teaching the Comprehension of Word Problems through Their Mathematical Structure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초등수학에서 문장제의 수학적 구조 파악을 통한 문장제 이해 지도 방안)

  • Ra, Woo-Seong;Paik, Suck-Yoon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3 no.2
    • /
    • pp.247-26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athematical components of word problems and the structure of the component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high achievers about word problems, and ultimately to devise a teaching method geared toward facilitating learner understanding of the word problem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First, word problems could b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mathematical components, namely the mathematical structure of multiple variables provided to learners for their problem solving. And learner's reaction might hinge on the type of word problems. Second, the mathematics high achievers relied on diverse strategies to understand the mathematical components of word problems to solve the problems. The use of diverse strategies made it possible for them to succeed in problem solving. Third,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derstanding of the mathematics high achievers about word problems made it possible to layout successful lesson plans that stressed understanding of the mathematical structure of word problems. And the teaching plans enabled the learners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given word problems.

  • PDF

A Design of Class in the Statistics Learning (통계학습을 위한 클래스 설계)

  • Yoo, In-Cheol;Kim, Kap-S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107-115
    • /
    • 2005
  • 통계 학습에서 자바 애플릿의 활용은 통계간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통계 영역의 그래프를 공부하는데 통계값의 의미를 눈으로 보면서 이해하고 직접 조작하며 학습을 하면 보다 능률적일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계 영역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그래프 객체를 정의하고, 객체의 속성과 메소드를 분석하여 클래스를 구성한 후 클래스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여 클래스 계층구조를 설계하였다.

  • PDF

The Implementation of multimedia education contents for understanding 80C196KC (80C196KC의 개념이해를 위한 교육 컨텐츠 제작)

  • 김현규;곽도화;김영지;최완선;전흥구;최관순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3.06a
    • /
    • pp.272-275
    • /
    • 2003
  • 웹은 이제 우리 생활의 일부분이 되어 가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웹을 이용하여 중요한 정보를 얻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많은 콘텐츠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 학습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콘텐츠도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개발은 교육 및 훈련이 쉽고, 원하는 시간에 반복 학습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80C196KC를 학습하고자 하는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Flash와 Java를 이용해 교육 컨텐츠를 제작하였다.

  • PDF

Learning System of Sorting Algorithm using Web-based Animation (웹 기반의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정렬 알고리즘 학습 시스템)

  • 유광열;정유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574-576
    • /
    • 2003
  • 인터넷과 멀티미디어의 눈부신 발전은 교육현장에서도 다양한 교육매체로 활용되어 수업을 돕고 있다. 이러한 교육매체들은 학습자의 생각으로만 이해할 수 있는 것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보다 직관적이고 구체적으로 이해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플래시 액션스크립트를 사용하여 버블, 삽입, 쉘, 퀵, 힙 알고리즘의 수행과정을 그래픽 애니메이션으로 구현함으로 시각적 효과를 통해 다양한 정렬과정을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학습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Design of Web-based Project Learning Models in Computer Education (컴퓨터 교육을 위한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 설계 모형 탐색)

  • Jang, Young-Jin;Lee, Mi-Wha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1a
    • /
    • pp.249-254
    • /
    • 2006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컴퓨터 교과의 제재를 주제로 한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설계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학습과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제이론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 모형을 설계하여 초등학교 컴퓨터 교과의 주제를 중심으로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설계하였다. 설계 단원은 초등학교 6학년 컴퓨터 교과(재량교과)의 '정보의 이해와 윤리', '컴퓨터 기초', '소프트웨어의 활용' 영역을 예비 학습으로 학습하고, 주제별로 그룹별 프로젝트 활동을 함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 Cognitive .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from Individual CAl for Science Learning (과학 학습을 위한 개별적인 CAI에서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특성과 개념 이해도의 관계)

  • Noh, Tae-Hee;Kim, Kyung-S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5 no.7
    • /
    • pp.728-735
    • /
    • 2005
  • In this study,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 the cognitive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from individual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were investigated. Tests regarding field dependence-independence, learning strategy, self-regulated ability, visual learning preference, goal orientation, self-efficacy on ability, and computer attitude were administered. After having been taught by means of a CAl program, a conception test on molecular motion was administered. It was found that student conceptual understanding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field independence, learning strategy, self-regulated ability among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visual learning preference, goal orientation, self-efficacy on ability among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n conceptual understanding found that field dependence-independence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Self-regulated ability and a deep learning strategy were also found to have predictive power. Lastly, analysis of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visual learning preference and self-efficacy on ability exposed them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student conceptual understanding.

살아있는e러닝-시멘틱웹기반의e러닝(1)

  • Jeong, Ui-Seok
    • Digital Contents
    • /
    • no.4 s.143
    • /
    • pp.62-63
    • /
    • 2005
  • 학습자가 원하는 학습자원을 컴퓨터가 스스로 찾아내서 학습자에게 전달해주고, 더 나아가 새로운 지식까지 추론해서 제공해 줄 수는 없을까? 살아 있는 e러닝이 되기 위해서는 컴퓨터가 학습자가 원하는 학습자원의 의미를 이해하고, 적시적(Just-in-time)으로 학습자에게 맞는 형태(Just-for-me)로 학습자원을 제공해 주어 학습이 단편적이 아닌 연속적, 통합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적응적 학습 환경이 필요하다.의미의 웹이라 불리 우고 있는 시멘틱 웹(Semantic Web)은 의미적으로 연결돼 있는 학습 정보를 컴퓨터가 의미를 이해해서 학습자가 원하는, 학습자 수준에 맞는 정보를 제공해주고, 더 나아가 지식까지도 추론해서 학습자에게 가장 적합한 형태로 전달해 줄 수 있는 강력한 매카니즘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필자는 살이 있는 e러닝이 되기 위해서는 시멘틱 웹과의 통합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2회에 걸쳐 시멘틱 웹과, 시멘틱 웹을 e러닝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에 대해 애기해 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