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습성찰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32초

구조화된 인지적 성찰일지가 메타인지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s of Well-structured Cognitive Reflection Journal on Metacogni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 박선희;이승기;최미나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1호
    • /
    • pp.5-14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교육에서 구조화된 인지적 성찰일지 적용이 학습자의 메타인지와 학업성취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해 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 D대학교 공과대학 '기초반도체공학'을 수강하는 학생 총 143(실험집단 52명, 통제집단 91명)명이다. 연구절차는 먼저 두 집단이 메타인지와 학업성취도 측면에서 동질집단임을 검증한후, 실험집단의 경우 구조화된 성찰일지를 4주간 제공하였고 통제집단의 경우 구조화된 인지적 성찰일지를 제공하지 않았다. 그리고 4주가 지난 후 메타인지와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였다. 연구도구로는 Sperling(2002)의 메타인지 측정문항을 번안하여 사용하였고, 구조화된 인지적 성찰일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구조화된 인지적 성찰일지 제공이 메타인지 능력 지속성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학업성취 측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플립 러닝을 활용한 서양복식사 수업 사례 및 효과 - 고대 메소포타미아 복식을 중심으로 - (Case studies and effects of flipped learning applied to western costume history)

  • 신혜원;김희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7-147
    • /
    • 2018
  •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대학생 24명을 대상으로 하여 서양복식사 수업 중 고대 메소포타미아 복식 단원에서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인 플립 러닝 수업을 진행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플립 러닝 수업은 3단계로 설계하였으며 수업 전 단계에서는 메소포타미아 사회문화적 배경에 관한 동영상과 복식관련 ppt자료를 온라인으로 학습하도록 하였다. 수업 중에는 사전학습여부를 퀴즈로 확인한 후 미니강의를 하고, 심화학습으로 온라인 루브르 박물관을 활용하여 모둠별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여 메소포타미아 복식에 대한 자료를 많이 접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과제발표를 통해 학생들이 서로 공유하도록 하였고 피드백을 주어 수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업 후 단계에서는 최종적으로 내용을 정리하고 평가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였다. 플립 러닝 수업 효과는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인식과 성찰일지로 살펴보았다. 학생들은 플립 러닝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플립 러닝 수업의 수준이 적절하다고 하였으며, 동영상과 ppt자료, 퀴즈, 루브르 온라인 박물관을 이용한 복식 분석 과제가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고, 수업에서 상호작용이 원활하다고 하였으며, 플립 러닝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찰일지를 내용분석 한 결과 플립 러닝 수업 방식, 루브르 온라인 박물관 과제, 협동학습, 수업 내용과 같은 4개의 요인에 대해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플립 러닝 수업을 메소포타미아 복식 수업에 활용해 보는 것은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방법으로 긍정적 학습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동영상 위키 기반 마이크로티칭 지원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Microteaching supporting tool based on multimedia wiki)

  • 권숙진;정효정;조항철;김동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1-232
    • /
    • 2011
  • 마이크로티칭은 교사들의 모의수업을 녹화한 후 피드백, 평가, 성찰의 과정을 통하여 수업 스킬을 개선하는 교수-학습방법으로 교직수업 및 교원연수 등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마이크로티칭을 진행하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적, 물리적 부담이 부가되며, 때문에 더욱 의미있는 학습, 평가와 성찰의 기회가 허락되지 않기도 한다. 따라서 이를 효율적,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요구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영상 위키 시스템에 기반을 둔 마이크로티칭 지원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텍스트, 음성 기반 피드백 기능을 지원하여 교수자의 피드백을 보다 원활하게 도우며, 동영상 위키의 속성을 활용하여 동료피드백을 지원하여 능동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 PDF

의료/의학의 인문학적 통찰

  • 최종덕
    • 의학교육논단
    • /
    • 제8권1호
    • /
    • pp.13-22
    • /
    • 2006
  • 인문학은 인간에 대한 깊은 성찰과 세계에 대한 폭넓은 조망에서 잉태한다. 이런 인문학 교육은 인문대학만이 아니라 전반적인 의료교육 현장에 접목되어야 한다. 따라서 인문학 역시 현실을 도외시한 언어유희가 아니라 현실속의 사회 문화적 통로를 접근하는 방식으로 도입되어야 한다. 인문학적 성찰은 전문가만의 소유물이 아니다. 특히 의료인문학적 성찰은 죽은 몸이 아니라 살아 있는 몸을 다루는 임상행위의 전제이다. 이렇게 살아 있는 생명의 몸을 다루는 의학 부문에서 과학적 설명의 적용범위와 그 실현가능성은 아직 충족되고 있지 않다. 이는 과학탐구 대상으로서의 톰과 증상과 치료의 대상으로서의 구체적인 의학적 몸 사이의 간극이 있음을 무시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인문학적으로는 설명 장르의 몸에서 제외된 이해 장르의 몸이 다시 조명되어야 한다. 정확히 말하면 설명 장르와 이해 장르가 통합되어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러한 인문학적 반성이란 추상적 이론으로 그쳐서는 안 되며, 의학과 의료 현실에 어떻게 실천적으로 적용가능한지를 질문하는 일이다. 이 논문에서는 그 적용사례로서 증거중심의학(EBM)과 문제기반학습(PBL)를 다루었다.

CSCA 환경에서 성찰루브릭이 비판적 사고와 협력적 논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flection Rubric on Critical Thinking and Collaboration Argumentation in CSCA environment)

  • 김수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559-5569
    • /
    • 2013
  • 본 연구는 CSCA 환경에서 성찰 루브릭을 통해 자신의 의견을 평가하고 타인의 의견을 평가하는 것이 비판적 사고의 빈도와 내용, 협력적 논증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K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수강생 60명을 대상으로 4주동안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성찰 루브릭 제공이 비판적 사고의 빈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내용 및 협력적 논증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찰 루브릭이 협력적 논증 학습 환경에서는 한 쪽으로 치우친 추론을 방지하고 양쪽 입장을 모두 고려하는 합리적인 주장과 근거를 제시하는 데 있어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협력적 논증의 궁극적인 목적인 '협력적 지식구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CSCA 환경에서 효과적인 논증협력학습활동을 위한 전략 제시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GPT를 활용한 성찰적 글쓰기 수업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Reflective Writing Class Guidelines Using GPT)

  • 강정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581-588
    • /
    • 2023
  • 이 논문에서는 GPT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성찰적 글쓰기 교육의 방법과 단계를 수업 가이드라인화해서 실제 수업이 가능하도록했다. 이 논문에서는 GPT라는 인공지능 글쓰기 기계의 사용을 물리적·실제적으로 막기 어려운 현실에서 자기를 성찰하는 글쓰기 교육론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수업 가이드라인을 모색한 것이다. 첫째, 준비 단계에서는 GPT의 작동원리를 학습자에게 이해시키고 활용지침을 교육하면서 GPT를 활용한 글감 아이디어 모델링과 자기화로 수업의 방법을 제안했다. 그 뒤 과제의 실례를 들었다. 둘째, GPT 활용 단계에서는 성찰적 글쓰기의 개요짜기, 단락쓰기, 퇴고하기의 과정에 따라서 GPT를 활용한 글감 아이디어 모델링과 자기화를 하는 방법을 실례를 들어서 보여줬다. 셋째, 정리 단계에서는 교수자가 학습자의 글을 첨삭하고 최종 수정하도록 돕고 정리·반성하는 과정을 제시했다.

2022 개정 중등 가정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과 전략, 미완의 과제: 교육과정 개발 경험을 통한 성찰적 관찰을 중심으로 (Development Direction & Strategy for the 2022 Revised National Level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Unfinished Tasks: Focusing on Reflective Observa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Experience)

  • 왕석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1-79
    • /
    • 2023
  • 이 연구는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 참여라는 경험을 스스로 질문하고 검토하고 숙고하면서 재평가하는 성찰적 관찰의 방법으로 접근하여 가정과 교육과정에 대한 실제적 지식의 구축을 연구자 개인의 배움으로 이끌어내며, 동시에 가정과 교육과정에 대한 실제적 지식과 이론을 구축해 나가기 위한 목적으로 전개되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모든 학습자들은 예측 불가능한 미래사회에서도 여전히 자신과 주변, 그리고 세상이 더 나은 삶을 살도록 하기 위해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의 행동을 선택하면서 살 것이다." 둘째, 전체 교육과정 구조에서 가정과교육의 가치는 "가정과교육은 미래세대가 더 나은 삶, 즉 더 좋은 삶을 영위하게 하는데 필요한 힘(역량)을 함양하도록 하는 생활교과"이다. 셋째, "예측 불가능한 미래사회에서도 모든 인간과 세상을 지속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미래 교육에서 의도적인 학습의 영역으로 청소년들에게 'Good Life Literacy'를 길러주기 위한 교육이 핵심이 되어야 하며, 가정과교육은 이를 위한 핵심적 교과이다"로 도출했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실무행위에 대한 성찰적 실천을 통해 구축한 가정과 교육과정에 대한 실제적 이론이 더 많은 경험적 연구로 검증되기를 기대한다.

공교육 내 영성교육의 의무화와 딜레마 (Reflecting on the Dilemma of Compulsory Spiritual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 고병철
    • 대순사상논총
    • /
    • 제45집
    • /
    • pp.69-102
    • /
    • 2023
  • 최근에 학교에서 영성교육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강해지고 있다. 2022년 종교 교육과정에도 영성 개념이 삽입되어 있다. 그렇지만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근거해 영성교육을 하는 것은 개인이나 사립단체가 영성교육을 하는 것과 차원이 다르다. 후자가 자발적 선택에 의한 것이라면, 전자는 의무적 또는 강제적으로 부과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상황을 성찰하기 위해, 이 글은 영성교육을 공교육에서 의무화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 검토할 부분은 영성담론의 유통과 영성의 범위 문제, 영성교육론의 내용과 사례, 그리고 영성교육의 의무화 문제이다. 필자의 관점은 종교 교육과정이 국가 교육과정인 이상 모든 학교와 학습자에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영성담론은 영성 또는 종교성 척도 연구, 영성관광 등을 통해 확장되고 있고, 그 안에서 배타적 영성과 포괄적 영성이 공존하고 있다. 영성교육론자들은 이미 종교 교육과정에 구현된 성찰적 교육을 간과한 채 지식교육을 낭만적으로 비판한다. 게다가 신앙교육 형태에서 보이는 문제들의 재발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영성 개념에 내재된 규범성을 간과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종교적이거나 규범적 지식은 주입과 전달 대상이 아니라 성찰 대상이다'라는 것을 종교 교육과정의 최소 원칙으로 제시하였다. 학습자에게 중요한 것은 주체적 삶이고, 이를 위해 종교적·영적 체험이나 삶을 조망하여 성찰할 기회를 주는 것이다. 이 원칙을 적용하면, 영성은 학습자의 성찰 대상이자 선택 대상이 된다. 무엇보다 성찰적 사유 능력을 갖춘 학습자라면 어떤 환경이라도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게 된다. 이 글이 공교육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종교교육 형태를 지속적으로 성찰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문헌정보학에서 문제중심학습 (Problem-Based Learning) 적용 연구 I - 설계 모형 적용과 성찰일지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BL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 Course Developing and Analysis of Self-Reflective Journal)

  • 강지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21-340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모형을 활용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으며, 실제 강의실 현장에서 적용한 뒤 학생들이 느끼는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 분석을 통하여 문제해결 방안 초안을 작성하였다.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시나리오 수정하는 단계를 거쳤다. 문제는 분석단계활동(요구분석, PBL 수업적합성 판단, 내용분석, 학습자분석, 환경분석, PBL 운영환경 결정, PBL 수업형태 결정)과 설계단계활동(문제상황설계, 학습자원설계, 문제해결과정촉진설계, 운영전략설계, 평가설계, PBL 운영환경설계)을 통해 도출되었다. 초기 설정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1차 문제상황 수업을 진행한 뒤 학습자들의 성찰일지를 통해 문제중심학습의 결과를 일차적으로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의 성찰일지를 통해 연구자는 첫번째 PBL 문제상황에서 비판적 사고력과 창의력이 증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력의 방법이 고안/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첫 번째 문제 상황 수업 후 교육 효과를 분석하고 수정사항을 수렴한 연구 결과는 교과설계의 2차 수정 및 보완에 활용할 예정이다. 본 연구는 PBL 모델 개발 사례를 소개하여 향후 후속 수업적용과 연구를 기대하게 한다.

간호역량 군집 유형에 따른 성찰 수준, 팀학습 분위기 및 학습조직 구축정도 비교 (Comparison of Reflection Hierarchy, Team Learning Climate, and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on Nursing Competency in Clinical Nurses)

  • 김희영;장금성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82-291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lusters of nursing competency, and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reflective thinking, team learning climate, and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according to nursing competency clusters. Methods: Participants were 244 clinical nurses who worked in 4 general hospital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s during June and July, 2011. Nursing competency, levels of reflection hierarchy, team learning climate, and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wer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mean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K-means cluster analysis with SPSS/WIN 20.0 version. Results: Nursing competency correlated positively with intensive reflection, reflection, team learning climate, and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p<.001). There were three clusters of nursing competency in a clinical ladder, which were derived from cluster analysis, grouped as high, middle, and low competency. Intensive reflection, reflection, team learning climate, and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rouping of nursing competency.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developing intensive reflection, reflection, team learning climate, and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would be useful strategies for enhancement of nursing compet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