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생주거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6초

Particle Swarm Optimization을 이용한 소아고노출 생활자계 추정식 개발 (Development of the Estimating Equation for Children's High-Exposure to Habitat's Magnetic Field using Particle Swarm Optimization)

  • 황기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085-109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최적화 알고리즘인 PSO를 이용하여 한국인의 생활자계 노출실태 조사 시 확보한 16세 이하의 미취학 아동, 초등학생, 중학생 실측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자계노출의 정도를 실측에 의하지 않고 추정할 수 있는 '24시간 소아고노출 생활자계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24시간 개인자계 노출량 추정식의 입력 데이터는 성, 연령, 주거형태, 주거지 크기, 선로이격거리 및 송전전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16세 이하에 대해서 24시간 고노출 개인자계 노출분포, 자계노출의 특성, 특정 조건별 자계노출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한국 고등학생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 (Factor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 최문지;김경진;한승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87-499
    • /
    • 2021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인구학적특성, 건강행동, 주관적 인식이 자살생각에 관련 있는 요인인지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 고등학생 2만5987명을 대상으로 한 2020년 청소년 온라인 건강 행태 조사를 이용하여 자살생각과 관련있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카이 제곱 검정과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살 생각에 영향을 준 인구학적특성 요인에는 성적, 성별, 주거 형태가 포함되었다. 건강 행동에서는 음주, 흡연, 성별, 약물 오남용 경험이었다. 마지막으로 주관적인 인식 특성에서는 건강 상태, 행복 상태, 외로움, 스트레스 수준, 우울이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국내 고등학생들의 자살 예방 전략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송전선로 주변 거주 초등학생들의 전자장노출량 평가 모델 개발

  • 김윤신;현연주;최성호;조용성;홍승철
    • 한국환경보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보건학회 2005년도 가을학술대회
    • /
    • pp.118-120
    • /
    • 2005
  • 본 연구는 송전선 주변 거주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간 활동 행태에 따른 여러 미세환경, 즉 주거환경, 학교환경, 학원, PC방, 교통에서의 자기장 노출수준을 다양한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비교 ${\cdot}$ 분석함으로써 연구대상자들의 활동한 미세환경 인자를 평가하여 시간별행동양식에 따른 24 시간 개인노출수준을 시간가중 평균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하고 비교 ${\cdot}$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154kV 고압 송전선로가 초등학교 옥상을 통과하는 B 초등학교 125명을 최종 선정하여 2003년 7월부터 2004년 2월 말까지 실시하였으며, 시간가중평균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자기장 노출량 평가 모델을 개발하였다. 전체 연구대상자들의 미세환경 내 평균 자기장값으로 계산한 시간가중 평균모델 (TWA model II)을 이용하여 예측된 자기장 개인노출수준을 보면 실측된 개인노출수준과 약간의 상관성을 보였다(Pearson r = 0.34 ${\sim}$ 0.35). Spot 측정한 값과 24 시간 stationary 측정값을 이용한 TWA Model II-2로 예측한 결과 실측값간의 상관성이 0.65 ${\sim}$ 0.85 로 산출되어 TWA 모델 중 가장 실측값을 잘 설명하였다.

  • PDF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한 가정과 주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실행 -'주거와 거주환경' 단원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eaching-Learning Plan for 'Residence and Living Environment' of Home Economics applied with Portfolio Assessment)

  • 이민정;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25-239
    • /
    • 2012
  • 이 연구는 학생 개개인의 수업과정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평가를 가정 교과에 활용하고자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기술 가정 교과의 8학년 '주거와 거주환경' 단원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 학습 과정안과 포트폴리오 평가 자료를 개발하여 실제로 교실 수업에 실행하여 평가가 통합된 수업을 실현하고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ADDIE 교수설계모형에 따라 분석, 설계, 개발, 적용, 평가 단계로 연구를 진행하면서, 조한무의 포트폴리오 개발 단계가 포함되도록 하였다. 분석단계에서 교수 학습목표와 교수 학습내용을 선정하고. 설계단계에서는 교수 학습 과정안과, 포트폴리오 평가 자료 개발, 수업 실행 및 수업 평가에 대한 계획을 세웠다. 개발단계에서는 매 차시 작성한 활동자료를 모아 포트폴리오 결과물이 완성될 수 있도록 8차시 교수 학습 과정안과 포트폴리오 평가자료(읽기자료, 5개, 개인활동지 5개, 모둠활동지 2개, 주제활동지 3개, 자기평가지 8개)와 수업에 활용될 교수 학습자료(동영상 19개, 사진 8세트), 수업 평가용 설문지, 결과물 평가기준을 개발하였다. 이를 경기도 부천시 소재 K중학교 3학년 2학급 학생 74명을 대상으로 2011년 5월 16일~6월 17일에 실행하고 설문지 평가와 수업의 결과물인 포트폴리오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질문지를 통해 알아본 수업에 대한 평가는 전반적인 소감, 평가를 겸한 수업과정, 학습목표달성도가 모두 높았으며, 세 가지 소단원 주제활동지를 포함한 포트폴리오 결과물도 평균 92점 정도로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하여 개발한 교수 학습 과정안은 평가가 통합된 수업으로서 적정하고 효과적이었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이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통제집단과의 수업효과 비교, 포트폴리오 적용수업의 전후비교, 소수 어려움을 표시한 학생 지도방안, 개별학생의 지속적인 변화와 발달과정을 분석하는 후속연구를 제안한다.

  • PDF

초등학생들의 세계에 대한 인지 특성과 세계지리 교육과정 구성의 전제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World and a Rationale for a World Geography Curriculum)

  • 송언근;김재일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64-379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세계지리 교육과정 구성의 전제 조건을 살피는 것이다. 초등 학생들은 주로 TV 프로그램을 통해 세계 각 나라에 대한 정보를 얻고 있다. 이로 인해 다른 나라에 대해 막연한 문화적 동경을 갖거나, 때로 의견이나 편견에 의해 다른 나라들을 이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른 나라의 삶을 그들의 맥락에서 이해하는, 균형잡힌 인식의 틀을 육성시킬 필요성이 있다. 한편, 나라별 호오(好惡)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판단 근거는 장소의 상징성과 생활과 관련된 일차적 조건, 즉 기후, 음식, 주거지 등이며, 우리나라와 세계 다른 나라와의 관계에 대한 판단은 정시적 요인이 주 근거로 작용하고 있다. 반면 자신들의 삶의 터전(지방)과 세계와의 관계에 대한 인지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동심원적 구성에 따른 교육과정상의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3, 4 학년 향토 학습에서부터 지방과 세계를 연계하는 교육과정이 구성되어야한다.

  • PDF

고등학생의 주거가치관과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ousing Values and Life Style of High School Students)

  • 김정희;곽경숙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29-14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ile tendency of differences in housing values and life style of high school students in Chonbuk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1015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Chonbuk province, and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using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Data were verified by t-test, One-way Anova,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s well.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ousing values and life style by demographic variables than housing characteristic variables. And correlation between housing values and life style differed significantly Most of students showed higher value in location of housing, while as life style showed higher value in type of life style along with PC. On the basis of this result,. it can be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the right understanding about housing values and life style of high school students for correct guidance of housing education.

  • PDF

교육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학부모 학교 만족도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diction of Parent School Satisfaction Using Educational Data Mining)

  • 양영보;유헌창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44-246
    • /
    • 2018
  • 학습관리시스템의 도입으로 학습자들은 다양한 형태로 학습하게 되고 데이터를 남기게 된다. 교육데이터마이닝은 다양한 형태로 기록되는 교육 데이터를 분석해서 유의미한 정보를 찾아 내는 방법이다. 교육데이터마이님을 활용하면 학생 개인의 학습성과 향상에 도움을 주거나 학습성과 예측 결과를 참고하여 부족한 부분을 지원해 줄 수도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행동 영역 특징이 학습성과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검증하기 위하여 나이브 베이즈, 의사결정트리, 신경망 기계학습알고리즘으로 데이터를 분석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를 확장하여 학습자의 행동 영역 특징이 학부모 학교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했으며 kNN, 의사결정트리, SVM 기계학습 알고리즘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습자의 행동 영역 특정이 학부모 학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고등학생의 생활양식과 주거만족도와의 관련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to Life Style and Housing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 곽경숙;김정희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25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yle and housing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his is the investigation of which 1015 high school students live in Chonbuk province. In this statistical analysis, SPSS program was utilized to calculate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lso. these materials were verified by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ife style and hous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nd housing characteristic variables. The entire life style has been appeared high type of a along with PC. Most of students has been appeared high in health and security of housing. Also, correlation of life style and housing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ly. On the basic of thes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 It is necessary to have the righteous understanding about life style and housing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for advisable guidance of housing education. It needed to continue diversified researches considering spread of life style 'with PC' and enough awareness of health and security in housing satisfaction.

  • PDF

일본 토치오 거주환경 보전을 위해 학생과 거주자의 협업을 통한 지속가능 프로젝트 (Sustainable Project for Preserving a Living Environment in Tochio through Collaboration with Students and Inhabitants in Japan)

  • 니시무라, 신야;보다, 사토시;테라다, 신지;사쿠라이, 노리코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17-25
    • /
    • 2015
  • Since 1997, Dr. Shin-ya Nishimura has been developing an actual town planning project named the "Gangi Project". Students, inhabitants and local professionals walk around Omotemachi,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 and the inhabitants' way of life, discuss plans and designs for traditional wooden arcades called locally "gangi". Students and inhabitants build the gangi together every y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how an experimental project aiming to preserve a living environment obtains sustainability as an actual town planning exercise. The research hypothesizes that sustainable town planning should include strategies for financial autonomy, active participation of inhabitants, supports from local professionals, an acceptance of changing environments, and responsible construction. The project has been carried out as a part of actual town planning, and continues to create a daily living environment based on the recent economical and industrial situation of the town. By focusing on the influences of the project on the town and inhabitants, the study has revealed the possibility of an actual town planning with small budget, and importance of a collaborative relationship with various participants in order to foster a sense of responsibility regarding the construction. The project also highlights the implication that sustainable town planning creates not only a participatory system but also a collaborative one in which participants take responsibility for the issues involved in the construction process.

대학기숙사 물리적 주거공간환경이 기숙사 거주학생들간 인지된 공동체의식 및 사회적 교류에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s of Physical Living Environment on the Social Interaction and Perceived Sense of Community among Students in University Dormitory)

  • 김원필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3-10
    • /
    • 2015
  • College students living in university dormitory continuously experience unique physical and social living conditions, being away from their hometown and loving families. Most college students has engaged in a very limited social activities in dormitory area. Studies have shown that sense of community(SOC) is closely related to students' social activities. However, few research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nvironment and sense of community.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hysical environment of dormitory on students' perceived sense of community and their social interactio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found that developing social interaction and building a sense of student community improve students' overall residential satisfaction with dormitory and personal academic growth. Survey on A university dormitory and Chi square analysis (${\chi}^2$) indicated that each group's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grade, living period, and personal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level of SOC at the level of p=.01. Individual analysis of SOC showed that sense of belonging was higher than shared emotional connection, which means certain level of intervention is neede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validated that there exist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nvironment and SOC. Further it also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in facilitating social interaction were comfortable, quiet, and enough social space around the dormi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