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교 행복감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5초

성격유형별 맞춤형 도서 제공이 초등학생의 독서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학교행복감과 독서성향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Providing Book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 on Their Reading Attitud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Happiness And Reading Tendency)

  • 조현양;조미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3-46
    • /
    • 2018
  • 이 연구는 성격유형별 맞춤형 도서 제공이 초등학생의 독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의 초등학교 4학년~6학년 226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행복감과 독서성향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을 검사하고 성격유형에 맞는 맞춤형 도서를 제공하여 그 효과를 파악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의 성격에 맞는 책을 처방해준다는 사실이 학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독서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었다. 둘째, 자신의 성격 유형과 비슷하게 나온 친구들의 책을 함께 바꿔 읽기도 하면서 다양한 책에 접하는 노출되는 기회가 제공될 수 있었다. 셋째, 자신과 다른 성격유형의 책들이 무엇이 있는지에 대한 관심이 생겼고 그 책들을 모두 읽고 싶다는 의지가 나타났다.

대학생의 감사노트 작성이 감사성향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Grateful Note-taking in University Students upon Grateful Disposition and Happiness)

  • 김경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244-255
    • /
    • 2020
  • 이 연구는 감사노트 작성이 대학생의 감사성향과 행복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고 감사노트 작성 경험에 대한 의미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G시에 소재한 K대학교 재학생 131명(감사노트를 작성한 실험집단 68명, 감사노트를 작성하지 않은 비교집단 63명)을 대상으로 감사성향 및 행복감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질적 연구를 위해 마음수업 수강자의 감사노트, 감사노트 소감문, 심층설문, 연구자의 관찰일지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감사성향 및 행복감은 감사노트 작성 여부에 따라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감사노트 작성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감사성향 및 행복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사노트 작성의 경험의 의미로는 긍정적인 생각, 감사하는 습관, 성찰의 시간, 행복발견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감사성향 및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대학생의 감사노트 작성 프로그램 확대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에 대한 돌봄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 만족도의 매개 효과 (The Effect of Caregiver' Social Support on Happiness of Children with Community Child Center: Mediating Effect of Service Satisfaction)

  • 조영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518-529
    • /
    • 2022
  • 이 연구는 돌봄서비스에서 사회적 지지와 서비스 만족도가 아동의 행복감에 단선적 영향을 넘어 아동권리실현의 연속적 과정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에 대한 돌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서비스 만족도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185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4, 5, 6학년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1,241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Win 23 Version과 Amos 23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행복감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행복감 간 서비스 만족도의 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한 청소년의 생활 변화와 주관적 행복감 연구 (A Study on Adolescents' Life Changes and Subjective Happiness resulted from COVID-19 Pandemic)

  • 김봉화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75-8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팬데믹의 사회적 거리두기 일환으로 가정에서의 생활시간 급증, 학교생활의 온라인수업 등 급격한 환경변화에 따른 청소년의 정신적, 신체적, 정서적, 건강상태와 일상 생활의 변화 등이 어느 정도 나타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러한 변화가 청소년들이 느끼는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코로나 상황이 장기화됨으로서 이와 같은 상황에 대비한 청소년들의 건강과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전략을 제시하고 과제를 제안하고자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지역 9~23세까지의 270명이다. 통계방법으로는 기술통계, 빈도분석, t-검정, 교차분석, 다중회귀분석 검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 19 펜데믹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에 놓여있는 청소년들의 주관적 행복감은 전체평균 3.94로 대체로 행복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둘째, 코로나 19로 인한 개인의 일상 변화는 대외적 활동은 감소하는 대신 디지털기기 사용 시간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수면시간이 줄어들었다. 셋째, 청소년들이 코로나 19 상황에서 가장 힘들어하는 부분은 감염 위험에 대한 걱정이 가장 많았고,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인한 주변과의 단절에 대해 우려하는 경우가 많았다. 넷째, 일상생활 변화에 대한 연령별 차이를 보면 연령대가 낮을수록 평일 등교하지 않는 날에도 식사를 잘 한다고 응답하였고 반면 연령이 높을수록 식사를 제때 하지 않는 불규칙적인 생활을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코로나 19 펜데믹 상황에서 청소년들의 행복감 영향요인 검증을 통하여 재난 상황에서의 청소년들의 행복감을 위한 이론적 및 실천적 논의와 함의를 제시하였다.

한국 초등학교 아동의 행복감 실태조사 (Survey of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Happiness)

  • 조성연;신혜영;최미숙;최혜영
    • 아동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9-144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happiness by gender and grade and by attendance in after-school programs during weekdays and weekends. Participants were 3,608 children in Korean provincial areas except Jeju-do; they responded to the Happiness Scal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 and t-test. Results were (1) children's happiness level was high; girls' happiness level was higher than boys'. As they moved up in school grade, happiness level decreased. (2) Their attendance in after-school programs during weekdays and weekends decreased their happiness level in leisure and extra academic activity, but it increased happiness in school/community life and sibling relations. Conclusions were that reduction in the amount of children's after-school programming would increase children's happiness.

  • PDF

초등학교 저학년 방과후 교실 아동의 행복감과 스트레스 및 놀이성간의 관계 연구 (Relationships between Lower Grade Elementary Students' After-School Happiness by Stress and Playfulness)

  • 김정원;이정아;이인경
    • 아동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7-53
    • /
    • 2009
  • This study researched aspects of gender and grade related to the after-school happiness of lower grade elementary student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happiness and their stress and playfulness. Results of surveys and interviews of 124 lower grade elementary students who attended 4 after-school programs in Seoul showed that : (1)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in happiness but first graders were the happiest, then 2nd graders and the 3rd graders who were the least happy. (2) Children's happiness correlated negatively with stress. (3)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overall happiness and playfulness, bu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happiness and playfulness under the sub-category of cognitive spontaneity. Resul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Korean socio-cultural environment.

  • PDF

그림책을 활용한 방과 후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행복감 및 사회.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n After-School Program Using Picture-Books on First Graders' Levels of Happiness and Socio-emotional Ability)

  • 김정원;이정아
    • 아동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99-217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 after-school picture-book program on the happiness and socio-emotional ability levels of first graders. The subjects consisted of 44 elementary school first graders; of these, 22 formed the experimental and 22 formed the control group. A detailed analysis of both happiness and socio-emotional ability levels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A broad variety of activities using 12 picture-books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twelve-week peri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after-school program using picture books was effective in strengthening children's levels of both happiness and socio-emotional ability.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사고, 주관적 행복감이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ositive Thinking and Subjective Happiness on School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 김수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95-404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itive thinking and subjective happiness on school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282 nursing students in the month of November 201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for school adaptation with positive thinking and subjective happiness. Positive thinking, subjective happiness, and major satisfaction were all significant predictors of school adaptation. The model explained 30.2% of the valuabl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ositive thinking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strategies to increase school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직장인의 회복탄력성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 대학 교직원을 대상으로 - (Effects of Forest Healing Programs on Resilience and Happiness of Employees - For University Employees -)

  • 박창은;김동준;신창섭;김윤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67-675
    • /
    • 2018
  • 본 연구는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대학 교직원의 회복탄력성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에 동의한 실험자 1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2015년 10월 27일부터 11월 17일까지 주 1회기 60분씩 총 4회기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충청북도 청주시 소재의 C대학 학교 숲에서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프로그램 참가 전과 후의 회복탄력성와 행복감 차이를 살펴보았다. 학교 숲을 이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대학 교직원의 회복탄력성 증진과 행복감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통제집단은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으나,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회복탄력성와 행복감는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향후 대학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효과를 밝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고교시절 청소년활동이 대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및 행복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 of Youth Activities during High School Years on the Leadership Life Skills of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Happiness)

  • 이시연;강현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54-466
    • /
    • 2018
  • 본 연구는 고교시절 청소년활동 경험이 대학생의 리더십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청소년활동의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수도권지역 전문대학교 청소년 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고등학교 시기(17-19 세)에 참여한 청소년활동 실태와 자아존중감, 행복감 및 리더십생활기술을 측정하였다. 설문조사는 2차에 걸쳐 총 260부를 배포하였고, 234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교시절 청소년활동경험이 증가할수록 대학생의 리더십생활기술이 증가하였고,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이 높을수록 리더십생활기술이 증가하였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은 고교시절 청소년활동 경험과 대학생 리더십생활기술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활동 경험을 통해 성인기에 필요한 역량 개발을 도울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인 방안들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