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교 생활적응

검색결과 427건 처리시간 0.024초

조리 실습 시설의 만족 수준과 사전 교육 경험에 따른 조리전공 대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도 - 충청도에 위치한 대학을 중심으로 - (Culinary Art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ccording to Their Satisfaction with a Culinary Laboratory and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 Focus on the Universities in Chungcheong Province -)

  • 나태균;이동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5-198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조리전공자의 조리 실습 시설에 대한 만족도와 입학 전 교육 경험에 따른 대학 생활 적응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충청권에 위치한 대학교 3곳의 조리전공자를 대상으로 총 200명을 표본으로 수집하였으며, 이 중 191부를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남학생과 고학년 전공자,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대학 생활 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입학 전 교육 경험이 없는 집단이 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에 비해 대학 생활 적응도가 부분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리 실습 시설의 만족 수준이 높은 집단이 만족 수준이 낮은 집단보다 대학 생활 적응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호작용 효과의 분석결과는 조리 실습 시설 만족도가 높은 집단의 경우 사전 교육 경험이 없는 집단의 대학 애착 정도와 신체적 적응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전 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의 경우 정서적 적응 및 사회적 적응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리 실습 시설 만족도가 낮은 집단의 경우, 사전 교육 경험이 없는 집단의 대학 애착 정도만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전 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의 사회적 적응, 정서적 적응, 신체적 적응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미래 지향적 교수-학습이 원만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전공자의 만족도가 높고 그 기능을 충분히 다할 수 있는 새로운 조리 교육 환경이 계획되어야할 것이다.

  • PDF

조기전급 및 조기졸업 이후 학생적응에 대한 부모지각 (Parents' Perceptions toward Students' Adjustments after Grade Skipping and Early Graduation)

  • 이미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19권3호
    • /
    • pp.411-432
    • /
    • 2009
  • 본 연구는 K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57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의 조기진급 및 조기졸업의 필요성과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부모지각을 다변량 분산분석(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과 다변량 공분산분석(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조기진급 및 조기졸업을 한 자녀를 룬 부모는 고등학교 3년 과정을 마치고 대학에 입학한 자녀를 둔 부모보다 '조기진급에 대한 정보'를 더 만이 알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조기진급에 대한 정보'를 공변량으로 통제한 후, 자녀의 적응에 대한 부모지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조기 진급에 대한 정보'를 많이 가지고 있었던 부모는 자녀가 대학에 보다 잘 적응한다고 지각하였다. 그러나 '조기진급에 대한 정보'가 자녀의 적응에 대한 부모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하였을 때, 조기진급 및 조기졸업 유무에 따른 부모지각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조기진급 및 조기졸업에 대한 정보를 많이 가지고 있는 부모 일수록 이에 대한 필요성을 보다 신중하게 고려하며 의사결정에 임할 뿐 아니라, 대학에 입학한 자녀의 진로 및 학습 적응 그리고 대학 생활에서 자녀가 경험하는 사회정서적 적응에 대해서도 비교적 덜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탈북아동의 배드민턴 스포츠클럽 활동과 적응 (A narrative on Badminton Sports club Activity and Adaption of a North Korean refugee child)

  • 이제행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333-343
    • /
    • 2017
  • 이 연구는 한 탈북아동의 초등학교에서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이다. 탈북 이후 남한의 한 초등학교에 편입한 아이가 배드민턴 스포츠클럽 활동을 통해 적응해 가는 모습을 서술적으로 풀어내고자 하였다. 2017년 초 겨울동안 수집된 자료는 Spradley의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텍스트를 분석하고 내러티브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동식이의 처음 남한에서의 생활은 불행했다. 그러나 우연한 기회에 배드민턴 활동을 하면서 생활은 많은 변화가 생겼고 자신의 미래에 대한 꿈을 갖게 되었다. 최교사는 동식이와의 첫 만남을 기억했다. 말을 하지 않는 아이였다. 이후 오랫동안 동식이의 입은 열리지 않았다. 그런 동식이가 배드민턴에 몰두하게 되면서 자신의 꿈을 말하는 아이로 변했다. 동식이와 같은 탈북아동에 대한 교육은 근본적인 측면에서 방향이 중요하다. 탈북아동만을 위한 지원책이 아닌 탈북아동과 일반아동이 서로 다르게 보지 않고 함께 생활할 수 있는 통합적인 측면에서의 교육 정책이 우선해야 한다. 더불어 탈북아동에 대한 기대와 믿음을 버리지 않는 것이다. 이 연구는 향후 탈북아동을 넘어 폭넓은 탈북민의 삶을 연구하는 의미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초등학생을 위한 학교부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of Techer's Rating Scal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Maladjustment)

  • 정수정;오익수
    • 초등상담연구
    • /
    • 제9권2호
    • /
    • pp.163-173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교부적응에 대한 교사보고형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초등학교교사의 응답을 통해 50개의 학교부적응 행동을 설정하였다. 하위척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60명의 교사가 240명의 학생의 행동을 평정한 자료에 대해 요인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공격적 자기중심적 행동, 수업 및 학급규범 일탈행동, 소극적 비사회적 행동, 학교생활 적극적 기피 행동을 확인하였다.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120명의 학생자료에 대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와 초등학생 문제행동체크리스트(김혜숙, 황매향, 2009)간의 상관을 구하였고,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120명의 학생자료에 대해 본 척도의 내적합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생의 학교 부적응에 대한 교사보고형 척도는 타당하고 신뢰로왔다.

  • PDF

간호대학생의 그릿이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it in Nursing Student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 원효진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89-95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이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C 지역의 간호학과 대학생 1-2학년 총 26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기술 통계 방법,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 하였다. 그 결과, 그릿의 하위 영역 중 흥미 유지 3.27점(±0.71), 노력 지속 3.35점(±0.69)이었다.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하위 영역 중 학습계획 3.43점(±0.56), 학습 실행 3.52점(±0.67), 학습 평가 3.47점(0.71)이었다. 대학생활적응의 하위 영역 중 학문적 적응 3.43점(±0.66), 사회적 적응 3.36점(±0.78), 정서적 적응 3.38점(±0.72), 신체적 적응 3.35점(±0.80), 대학에 대한 애착 3.40점(±0.64)이었다. 간호대학생의 그릿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그릿의 하부 영역은 흥미 유지 (t=2.423, p<.05), 노력 지속 (t=3.761, p<.001) 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0.2%이었다(F=23.609, p<.001). 간호대학생의 그릿이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그릿의 하부 영역은 흥미 유지(t=3.112, p<.001), 노력 지속(t=3.930, p<.001)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3.2%이었다(F=30.608, p<.001).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그릿으로 자기주도 학습능력, 대학생활적응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더 나아가 이를 위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어머니-자녀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Mother-Child Relationship-as Perceived by the child on School Adjustment)

  • 김혜금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5-75
    • /
    • 2012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mother-child relationship, as perceived by the child,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how the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mother-child relationship, as perceived by the child, influence school life adjustment. The participants were 300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173 boys and 127 girls), in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by SPSS 1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hild who perceived the mother's rearing attitude to be more rational and democratic, was more adaptive in school life. 2)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that the child perceived,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school life adjustment of the child. The child who perceived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more positively, was more adaptive in school life. 3) In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and school class, the mother's democratic rearing attitude, as perceived by the child, was found to be the most affecting factor. In relationship with the classmates and school rules,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as perceived by the child, was found to be the most affecting factor.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 또래 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Adolescents' Level of School Adjustment by Their Perceived Relationships with Parents, Peer and Teachers)

  • 최지은;신용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99-21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ceived relationships of the adolescents with their parents, peer and the teachers on their school adjustm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85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hrough the questionnaire method. The major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bout sixty percents of the respondents came from middle-class families who were being brought up by their parents. 2. Analysis of data revealed that degrees of relationship of the respondents with their parents and peer were higher than moderate, while the degrees of relationship with teacher was found to be moderate. 3. The adolescent' overall level of school adjustment was found to be at a moderate level. 4. The adolescents' levels of school adjustment were differed by birth order, father's occupations, family structures, 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grade point average and religion. 5.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yielded the results that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relationship with the peer, father's caring, birth order and economic status of family were significant factors in explaining the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On the base of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in order to enhance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1. Teacher education focused on guidance and counseling should be included in the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2. Parents education focused on fatherhood should be more emphasized.

자아존중감, 가족의 건강성,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농촌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Esteem, Healthiness of Family,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on the School Life Adjustment in Rural Adolescents)

  • 양순미;유영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9호
    • /
    • pp.121-134
    • /
    • 2003
  • This study examined the degree of school life adjustment in rural adolescents as well as related variables. For this purpose, the data of 192 persons from 40 villages in 8 provinces were analyzed using a SAS 8.1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 1) The overall degree of school life adjustment was quantified as about 67 points out of a 100 possible points. 2) The variables that affected the level of adjustment were self-esteem, healthiness of family, age. 3) The explanatory power of such variables as sex, religion, personality, school grades, father satisfaction, and mother satisfaction partially affected significantly in four sub-areas (teather relation, friend relation, attitude of classwork and rule of school areas) of adjustment. The groundwork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material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o improve the adjustment of school life for rural adolescent.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효과 (Effects from the Interaction of Ego-Resilience, Social Supports in the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송영경;김영희;황성실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s of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s in the school adjustment in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9 children drawn from the fourth and sixth grades of three elementary schools in Cheongju city. The pilot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survey instruments.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s t-test, ANOVA with Tukey post-hoc test, correlation, and hierarchial analysis using the SPSSWI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s of the interaction of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s on school adjustment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ildren's gender and age. Second, teacher supports had influence on school life satisfaction, interest in the subject, attitude in class, and observance of school rules according to the children's gender and age. Finally, overall, the influence of school life satisfaction, interest in subjects, attitude in class, and observance of school rules was greater for girls than boys.

장애부모 아동과 일반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따른 부모관련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및 학교적응 (Children's Parent-related Stress,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Self-esteem of Children with Handicap & Nonhandicap Parents)

  • 김기예;이소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5-46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parent-related stress,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self-esteem of children with disabled and non-disabled par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76 students between 4th and 6th grade in Chungbuk area. For a data analysis, mean, frequency, percent, thre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used. The results show that children's perceived parent-related stress,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are varied according to their self-esteem. Those with higher self-esteem were found to have tusker perception level in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On the contrary, they were found to have lower level in parent-related stress. The findings indicate further that girls have a closer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s than boys and that children with disabled parents have a closer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s than those with non-disabled parents. However, as opposed to prediction, parental disability itself caused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parent-related str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