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교 생활적응

검색결과 427건 처리시간 0.026초

어머니의 취업여부, 아동의 인터넷 몰입정도, 탄력성, 부모-자녀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ternal Employment, Child's Internet Immersion, Resilience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on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 오유정;문혁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59-569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maternal employment, child's internet immersion, resilience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on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306 5th and 6th grad students from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t-test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chool life adjustment was higher in non-employed mother than amongst employed mother.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showed that a lower internet immersion, the higher resilience, the parent-child's intimacy-support and allowance-provision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a school life adjustment. Third, the strongest predictors of child's school life adjustment were the intimacy-support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spontaneity of resilience.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구조분석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Influencing Adjustment to School Life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Daegu Gyeongbuk Area-)

  • 박계란;이지민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81-991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attitude,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levels of adjustment to school lif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articipants were 177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1st to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the Daegu-Gyeongbuk area of South Korea.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Parenting attitude,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had direct effects on levels of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life. 2) Parental attitudes and social support had direct effects on children's levels of self-esteem. 3) Parental attitudes and social support also had indirect effects on levels of adjustment to school life of these children. This study suggested that various concern and supports from multi level of society are required to improve adjustment to school life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아버지 관련 변인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Father related Variables Influencing Children'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 도금혜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861-87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ther related variables on children'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Father related variables wer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fathers parenting behavior and father-child communication style. The subjects were 236 - 5th and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in Daegu. The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self-esteem was affected by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fathers parenting behavior and father-child communication style. Second, father's parenting behavior has great effect on children's self-esteem than any other variables. Thir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was affected by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fathers parenting behavior and father-child communication style. Fourth, father-child communication style has great effect on teacher adjustment than any other variables. father's parenting behavior has great effect on pee. adjustment than any other variables. father-child communication style has great effect on school education adjustment than any other variables.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has great effect on school rule adjustment than any other variables.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 - 동적 학교생활화(KSD)에 의한 분석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Improving School Life Adaptation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 Focusing on Analysis by Kinetic School Drawing(KSD) -)

  • 박수정;최연실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6호
    • /
    • pp.1-1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help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dapt to school life by using Kinetic School Drawing(KS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of the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may have a positive effect in aiding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The results showed considerable and statistical outcome in the fore and after drawing inspection of the dynamic KSD. Also, the size of the self-image became bigger and their expressions has been increased. The qualitative analysis also showed a huge change in dynamistic personal relationships due to the relationship with their peers with the same aged and the tutor.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be applied before children are admitted to school because of growing recognition of concern about the maladjustment of rapidly growing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It is also suggests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of growing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should be viewed with an ecological point of view.

부적응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발달을 위한 미술상담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ART Counseling on Maladjusted Children's Self-Respect and Social Ability Development)

  • 홍미영;조붕환
    • 초등상담연구
    • /
    • 제8권1호
    • /
    • pp.109-12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부적응 아동에게 미술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발달을 도와줌으로써 부적응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을 돕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담임을 맡고 있는 대전광역시 Y초등학교 6학년 중 학교생활적응 검사를 실시하여 총점이 100점 이하인 아동 중 최하점수인 아동 4명을 부적응 아동으로 선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미술상담 프로그램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연구자가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고, 2008년 9월 2일부터 10월 16일까지 주 2회(회기당 60분)씩 총 12회기로 실시하였으며, Y초등학교 6학년 1반 교실에서 방과후 시간을 이용하여 본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첫째, 부적응 아동의 부적응 행동을 변화를 양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학교생활 적응 검사'를 사전 ·사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둘째,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발달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셋째, 부적응 아동의 심리 상태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투사검사(KSD) 를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실시하여 그림 내각을 비교.분석하였다. 넷째, 매 회기마다 각 아동의 행동특성을 기술하는 질적 분석을 통하여 부적응 아동이 미술상담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어떠한 변화를 보였는지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미술상담 프로그램은 부적응 아동의 적응 행동을 감소시켰으며, 미술상담 프로그램은 부적응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발달에 효과가 있으며, 부적응 아동으로 하여 금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한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종합해 볼 때 미술상담 프로그램은 부적응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발달을 도와주어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으므로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부적응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 PDF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인터넷 게임중독 영향요인: 남여비교 (Factors Affecting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net Game Addiction: Focus on Gender Differences)

  • 지영주;김경남;김영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023-503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2개의 도시에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게임 중독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남여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300명의 4, 5, 6학년 초등학생이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2013년 4월 1일부터 6월 1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정도는 남학생 28.82점, 여학생 24.61점으로 나타났고, 학교생활 적응도는 남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을 14% 설명하였고, 학교생활 만족과 학교생활 적응도는 여학생의 경우 인터넷 게임 중독을 15%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 고학년 남여 학생들의 인터넷 게임 중독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효과가 높은 중재 기법을 프로그램 개발에 적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감성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대학 생활 적응 (Ego-resili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Stress Coping Strategies &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 고미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280-291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감성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소재한 3개의 4년제 간호대학 1, 2학년 학생이며, 자료수집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4년 10월 27일부터 11월 7일까지 시행하였다.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은 자아탄력성, 감성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성지능(${\beta}=.431$, p<.001), 자아탄력성(${\beta}=.225$, p<.001), 전공만족도(${\beta}=-.178$, p=.002), 학교성적(${\beta}=.170$ p=.002), 대인관계(${\beta}=.167$, p=.003), 성별(${\beta}=-.167$ p=.003)로 53.9%의 설명력을 보였고, 감성지능이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돕기 위해 감성지능과 자아탄력성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커리큘럼과 함께 전공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과외 활동을 통합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체계적으로 운영할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학사경고생이 지각하는 대학교육서비스 질과 대학생활적응, 학습역량 간 구조적 관계 분석 (A Study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Service,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Learning Competency Perceived by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 강대식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51-356
    • /
    • 2023
  • 본 연구는 학사경고생이 지각하는 대학교육서비스 질과 대학생활적응, 학습역량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학사경고생 대상 설문개발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행정서비스는 대학생활적응과 학습역량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p<.05, β=.-468)을 미치는 나타났다. 둘째, 교육과정은 대학생활적응을 매개로 학습역량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p<.001, β=.782)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활적응은 학습역량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p<.001, β=.897)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사경고생 맞춤 대학행정서비스 및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대학생활적응 및 학습역량 향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입학사정관 전형 신입생의 학교생활에 관한 연구 (School Life of the Freshmen Selected by Admissions Officers Screening)

  • 전경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508-517
    • /
    • 2012
  • 입학사정관제는 점수위주의 경쟁을 지양하고 개별학생들이 지닌 잠재력과 역량을 바탕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제도이다. 우리나라에서 2008학년도 입시부터 처음 도입된 전형인 입학사정관제는 2012학년도에는 전체 대학 모집인원의 11.8%를 뽑는 수준으로까지 확대되어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이 실제 학교생활을 분석함으로서 입학사정관제의 성과를 분석하고, 나아가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선발된 신입생이 잠재력과 역량을 발휘하며 대학생활을 성공적으로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측정변인으로 선정한 학교적응도, 학교만족도, 진로성숙도, 학습태도에 있어서 입학사정관 전형 신입생은 모든 변인에서 타 전형학생들보다 긍정적인 응답을 보여주었고, 학교적응도와 학교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변인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습태도에 있어서 행동적 측면의 수업태도는 부족함을 나타내었다. 이에 입학사정관전형 신입생들이 지닌 긍정적인 학교적응도와 학교만족도를 보다 고취시키며, 학습태도를 개선하기위한 위한 체계적인 지원과 관리 프로그램이 계획되고 제공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남녀 초등학생의 정서조절 능력과 학교적응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School Adjustment as a Function of Child Sex)

  • 임연진;이은경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85-294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their emotion regulation. The subjects were 122 1st grade students selected from one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Teachers rated each child using the Emotion Regulation Scale (Lee, 1997) and School Adjustment Scale (Chi & Jung, 2006).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s. The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school adjustment were differed by sex of the child. The girls were assessed to be better adapted in emotion regulation and school adjustment than the boys. The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the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predicted how well they would adjust to school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