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교 건물

Search Result 25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Reinforced Concrete Moment Framed Low-story School buildings (철근콘크리트 모멘트 골조 저층형 학교건축물의 내진성능 평가)

  • Hwang, Ji-Hyun;Park, Tae-Won;Han, Ju-Ye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9
    • /
    • pp.4580-4586
    • /
    • 2013
  • Many school buildings are not applied seismic code because of small size structures. But it must be designed to show enough structural performance when subject to earthquake due to the fact that most of school buildings are generally used as public shelters when the natural disasters. In this study, the seismic risk of the reinforced concrete school building structure which is the most common types of school structures was evaluated by using the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As a result, model structures don't have enough seismic performance.

Design of Smart Emergency Alarm Broadcasting and Evacuation Guidance System for Real-Time Disaster Response of Old School Buildings (노후학교 건축물 실시간 재난대응을 위한 스마트 재난경보방송 및 대피안내시스템 설계)

  • Ahn, Byung-Dug;Lee, Seung-Hyung;Oh, Jung-Taek;Choi, Se-H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06a
    • /
    • pp.199-201
    • /
    • 2019
  • 최근 경주 포항 지역에 지진피해 등 대구 경북권의 잦은 재난 발생으로 인해 증대되고 있는 노후학교 건축물의 안전성 위험 문제에 대한 선제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 요구되고 있다. 학교 건축물에 건물의 위험도를 파악할 수 있는 센서들을 부착하고,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건물의 구조적 위험성을 판단한다. 건물의 위험도가 심각한 단계에 이르면 스마트폰(Smart Phone) 앱(Application)과 음성안내방송을 통해 건물의 재실자와 관리자에게 즉시 경보를 발령하며, 대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시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재난경보방송을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재난 상황을 전파하고 대응할 수 있게 건물의 위험성 발생 위치정보를 제공하며 대피 안내 정보를 제공한다. 동시에 건물의 구내방송 시스템과 연계를 통해 음성 안내방송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두 가지 방식으로 재난 메시지를 전파하여 중복성을 가지고 경보 전파를 수행한다.

  • PDF

Feasibility Study for the Reconstruction of Jangan Primary School Building (서울 장안초등학교 재건축 계획 설계 연구 요약)

  • Kim, Seung-J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 /
    • v.3 no.3
    • /
    • pp.59-70
    • /
    • 1996
  • 장안초등학교는 한국전쟁 이후인 1955년에 개교된 초등학교이다. 처음에는 8학급의 가교사시설에 18학급으로 편성되어 초기부터 시설이 양적으로 부족하였다. 또한 이 지역의 학생수 증가로 거의 매년에 걸쳐 학급수의 증가와 교실증축이 함께 이루어 졌다. 현재 건물의 건립년도를 살펴보면 1965년 6월에 처음 신관 1층 부분이 건설되어 70년대와 80년대에 걸쳐 꾸준히 증축되어 왔으며, 대지 동측의 별관은 1993년 12월에 건설된 새건물로, 학교교사 건물이 30년된 건물과 최근의 건물이 함께 공존하고 있다. 철근콘크리트 건물이 구조적으로는 100년도 견딘다 하지만 실제로는 약 30년이면 콘크리트의 산성화가 가속화되면서 구조적으로 안전하지 못하다는 학설이 인정되어, 최근 30년이 경과된 학교 건축의 재건축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실제로는 25년이상 경과된 건물에서도 구조적인 하자가 발생하는 예 가 많아 교육부에서는 대체로 25년이상 경과된 건물에 대하여 재건축을 실시하고 있다. 장안초등학교는 20년에서 30년 경과된 건물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관계로 재건축이 실시되는 예이다. 아직까지 사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건물은 본관의 남측부분의 교사(1983년 증축)과 신관의 우측부분(1985년 9월 23일 증축)과 별관(1993년 12월 14일 신축)교사동을 들수 있다.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하여 철거할 것인가 혹은 그대로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의견이 있어, 최종적으로 별관은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본관 남측부분은 가장 마지막 건설시기에 철거하고 신관 우측부분은 규모가 작아 철거하기로 하였다. 학교건축은 다른 일반건물과는 달리 교육이라는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수 있는 공간구성이 필수적이라 할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교육이란 예전의 주입식 교육이 아니라 21세기를 바라보는 정보화 세계화를 지향하는 교육으로 학생 개개인의 창의성과 자주성을 발휘시킬수 있는 교육이라는 점에 대하여 의견은 없을 것이다. 이러한 교육이란 다양한 교육방법을 전제로 하며 하나의 학년을 하나의 학습그룹으로 생각하는 것은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다. 한 학년의 그룹을 교대상의 기본으로하여 이러한 그룹에 대하여 일제학습, 그룹학습, 팀티칭, 개별학습이 이루어 질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점을 본 장안초등학교 기본계획에서 출발점으로 하였다. 물론 학교전체 학생을 콘트롤할 수 있는 교육방법도 존재한다. 선진 외국의 예를 살펴보면 아동의 능력별 교육을 위하여 무학년제(Non-Grade)를 도입하는 경우도 있지만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학급단위가 중요시되고 있다. 이 학급단위는 교육단위이면서 생활지도 단위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을 인식하여 학교건축의 간장 기본 단위가 되는 보통교실 계획을 보통교실과 오픈스페이스를 연속시킨 유니트로 계획하여 일제학습, 그룹학습, 팀티칭, 개별학습 등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하였다. 실제로는 36학급을 계획할 경우, 한학년의 6개 학급이 하나의 공통된 공간내에 그룹핑 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제3안의 배치에서 제안하여 보았지만 북측교실, 오픈스페이스의 통로화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 규모가 너무 커서 3개학급을 하나의 유니트로 하였다. 물론 한학년이 동일한 층에 배치시켜 서로의 관련성을 높게 하였다. 특별교실 계획은 보통교실과의 관련성과 장래 지역개방의 역할을 고려하여 계획하여야 할 것이다. 장안 초등학교의 경우는 별관을 그대로 사용 한다는 조건이 있기 때문에 기존의 편복도 형식의 교실에서는 보통교실 계획의 어려움이 있어 특별 교실동으로 고려하였다. 때문에 지역개방에 대해서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체육관은 기준령에는 권장시설로 되어 있지만 학교시설에 필수적인 시설이라 생각한다. 체육은 국민건강에 직결되기 때문이다. 또한 체육관 건설은 실외체육 실내체육에 대응할 뿐 아니라 학교 행사등에 유용히 사용되기 때문에 더욱 필요시설이라 할수 있겠다. 또한 지역개방을 위하여 정문 혹은 후문 가까이에 배치시키는 것은 필수적이다. 별관, 체육관, 운동장, 후문측에 12학급용의 단독건물 등의 기본적인 제약조건을 고려하여 배치하자면 자연히 교실동들이 분산되는 결과를 낳게된다. 이러한 각각의 교사동을 A동을 중심으로 구름다리로 연결하여 동선의 불편함을 해소시켰다. 주차장은 후문 가까이에 약 10정도의 주차공간이 확보가능하다. 이외에는 운동장을 사용하는 방법과 체육관의 1층부분을 필로티로 하여 그곳에 20대 정도 주차시키는 방안이 있다. 주차는 많을수록 편리는 하겠지만 제한된 대지에 모두 만족 시켜주기는 불가능하다. 공공용의 주차와 소방에 필요한 동선이 요구된다. 특히 도심주차난을 생각할 때는 차라리 적극적으로 지하주차장을 계획하는 방안이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재 67학급은 초대형 규모로 초등학교 규모로는 적합하지 못하다. 장래를 고려하여 48학급에서 최종적으로 36학급으로 계획하였으나 한동안은 67학급이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신설 초등학교가 가까운 시기에 개교될 것을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Status of Energy Usage and Maintenance of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in School Facilities (학교시설의 에너지사용 및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유지관리 현황에 관한 연구)

  • Kim, Sung-Joong;Lee, Seung-Min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21 no.2
    • /
    • pp.25-35
    • /
    • 2022
  • With the enactment of the "Framework Act on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to Cope with Climate Crisis," various sector-specific plans are being implemented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School facilities are mandatory buildings for the "Zero Energy Building Certification" and are the buildings that account for the highest proportion among public institution buildings. Therefore, they play a major role in achieving carbon neutrality in the construction sector. This study analyzed the recent energy use trends and zero energy levels in varied ways to promote the spread of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operation management and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and user opinions of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 applied to school facilities.

학교건물용 천장형 인버터 냉난방시스템

  • 황윤제;박효순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0 no.2
    • /
    • pp.43-48
    • /
    • 2001
  • 학교건물 특성에 적합하도록 개발하여 시범 운영한바 있는 새로운 냉난방시스템을 소개하고 한다.

  • PDF

Development of a Interior Design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가상현실을 이용한 실내 인테리어 시스템 개발)

  • Shin, Woo Cheol;Jang, Su Gyeong;Song, Bum Kyoo;Kwon, Ryung Mi;Song, Eun J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551-552
    • /
    • 2014
  • 건물 및 주택의 가구배치나, 인테리어 디자인 등을 신규로 구성하거나 재배치하는 것은 고비용의 작업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다. 가상현실 시스템을 적용하면 공간적, 물리적 제약에 의해 현실 세계에서는 직접 경험하지 못하는 상황을 간접 체험할 수 있어 재배치에 대한 비용 및 시행착오의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EON Studio를 이용하여 건물 내부의 인테리어를 바꿔가며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실내 인테리어 시스템 프로토타입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실 건물 내부와 가구를 EON Studio를 통해 구축한 후 회전 및 이동을 통해 재배치 도록 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을 통해 제안된 인터페이스가 공간 배치 응용 분야에서 유용성 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arking Spaces Information Application (주차 공간 정보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 Sim, Hui-Jun;Im, Hyeon-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147-150
    • /
    • 2020
  • 요즘 인파가 많은 건물 주차장의 혼잡함으로 불편함을 겪는 사람들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스마트폰으로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주차장의 자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과 함께 건물 주변의 교통체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A Study on Librarians' Perception of School Library Location (학교도서관 위치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조사 연구)

  • Lee, Young-Mo;Noh, 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6 no.1
    • /
    • pp.51-76
    • /
    • 2015
  • By providing a variety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space, the school library provides students with the opportunities for creativity improvement through reading and humanity education, teachers with the opportunities for providing the high quality training by developing teaching methods fit for the students' aptitude and ability. The school library is now playing a greater role as a curriculum-oriented space instead of just a repository for books.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rvey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in these libraries to find the most optimal location for the school library to ease use for teachers and students.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targeted school librarians around South Korea, and previous studies about school library faciliti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factors such as 'buildings, floors, position in building, and size' of school libraries appeared to make a large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of school librari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