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교환경체계

Search Result 308,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Actual Sanitary Management Conditions and Education Plan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학교 급식 조리 종사원의 위생 관리 실태와 위생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 Um, Young-Ho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16 no.3
    • /
    • pp.237-24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actual sanitary management conditions and an education plan for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For assumption verification of this study, basis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using SPSS V14.0KO were used. Also,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it. The sanitary management actual conditions were shown that a foodservice practice level of middle and high school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s. In a scale way, sanitary management conditions of small group schools(500 students below) were lower than large group schools(500~1,000 students). Therefore, it was demanded especially for their employees to manage elementary schools and small group schools. It showed that sanitary consignment education was held irregularly at outside was more effective than the education was held regularly at inside. All the related workers at school foodservice should supply safe foods to schools through more effective sanitary education plan based on the results of effective actual sanitary management conditions.

  • PDF

An Evaluative Study on the Integrated Support Program for Children with ADHD Tendencies and Their Social Support System (ADHD성향 아동과 지지체계를 대상으로 한 통합적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연구)

  • Choi, Goeun;Kwon, Jisu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5 no.3
    • /
    • pp.207-23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tegrated support program for children with ADHD tendencies and their social support system. The program, including individual art therapy, group life skills programs, culture experiences, individual counseling programs and regular network meeting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were carried out to children with ADHD tendencies in order to build environmental support systems. As results,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behaviors of children with ADHD tendencies have changed. This study, also, was able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positive changes for the children with ADHD.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actical guidelines for building the support systems of children with ADHD tendencies were suggested.

  • PDF

An Analysis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Kazakhstan Intellectual School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IBDP) (카자흐스탄 영재학교(NIS)의 국제표준 고교교육과정(IBDP)에 대한 교육효과 분석 연구)

  • Aigerim, Belyalova;Park, Sun-Hyung
    •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 /
    • v.28 no.3
    • /
    • pp.103-133
    • /
    • 2018
  • The modern world stands on the cusp of massive change in connection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llowing developed countries, developing countries also try to grow and keep up with the flow. Among them, trough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government of Kazakhstan decided to include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IBDP) into the Nazarbayev Intellectual School(NIS) in April 2013.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IBDP in the NIS and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this program in regular schools.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was applied the CIPP evaluation model(context - input - process - product) to assess IBDP program systematically. The analysis of empirical data collected due to the results of the international school system implementation, also in this study were used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and teachers who took part in the IBDP education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average satisfac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IBDP was 3.64 points, however they pointed out the problems with management and organizations of the program, the establishment of a variety of subjects, recruitment of IBDP teachers etc. These measures would help to raise the status of school to the internationalization.

Developing Inclusive Nutrition Education Direction for Sustainable Dietary Competency in Elementary Schools (초등학교 식생활교육에서 지속가능 식생활 역량 함양을 위한 포용적 식생활교육의 방향)

  • Kim, Hyun Joo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35 no.1
    • /
    • pp.73-88
    • /
    • 2023
  • Since the enactment of the School Meal Support Act in 2009, South Korean dietary education has been evolving, placing health, environment, and consideration as its core values. The 3rd Basic Plan for Dietary Education (2020-2024) aims to achieve a sustainable dietary lifestyle that civic agriculture for collective consumption, healthy citizens, and an inclusive society. However, the digital civiliz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significantly impacting dietary education in school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sustainable dietary education content in South Korean school meals, diagnoses the phenomena of dietary education facing digital transformation in education du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xplores directions for inclusive dietary education through concrete structures and content systems for inclusive dietary education that foster sustainable dietary capabilities. To achieve inclusive dietary education, a structure and system that allow cognitive, normative, and practical learning to be combined in an inclusive way is required. Furthermore, to practice sustainable dietary education, alternative approaches that emphasize the development of learners' core competencies are necessary in the direction of inclusive dietary education that fosters inclusivity.

A Study on Analysis of America School Library Standards Sets that the National School Library Standards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 관련 문서 「국가수준 학교도서관 기준」 분석 연구)

  • Park, Juhy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2 no.2
    • /
    • pp.49-7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US national school library standards presented in the document National School Library Standards for Learner, Librarian and School Libraries made by AASL,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refer to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Korean school library standards. AASL's National School Library Standards provide Learner Standards, School Librarian Standards, School Library Standards and Standards Integrated Frameworks that incorporate three previous standards, and emphasize the growth of learners and school librarians' competency by focusing on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learners and school librarians.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school library being somewhat establish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tandards for the educational content and competency of learners and teachers. And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materials including the contents of education.

A Study on Effects and Impact analysis as innovation plan of learing space by providing green environment - Focused on children and adolescents - (배움 공간 혁신 방안으로서의 녹색환경제공에 관한 효과와 영향 분석 연구 -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 Lim, Chae-Young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20 no.2
    • /
    • pp.22-30
    • /
    • 2021
  • According to the OECD's interim report on Korean education analysis held in 2020, the presenter, Andreas Schleicher, director of education for the OECD, said, "Korean students show a lot of fear, anxiety and nervousness about failure", referring to how Korean students feel anxious even if their test scores are good. It is a simple example, but as mentioned in a recent education announcement, it is a common sight among Korean students, and it is easily experienced while receiving education. As Korea has a high level of interest and enthusiasm for nurturing human resources, various methods must be considered and studied, and solutions to current problems, improvements, and directions for development is encouraged to be presented. This paper considered the methods for innovation of a learning space to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and systematically analyzed and organized the effects and impacts of providing a green environment among the methods and mean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serve as a small solution and play its role in solving the social problems of complex aspects of students presented previously.

A Study on the Emission of Criteria Pollutants Emission Factors from Stacks (환경기준물질 배출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

  • 홍지형;이덕길;김대곤;석광설;이대균;이석조;김정태;장세경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63-164
    • /
    • 2003
  •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는 국가기관, 연구기관, 학교, 배출사업장, 환경영향평가사업 등 수많은 분야에서 실질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배출원에 대한 배출특성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본부과금의 산정, 대기오염방지설비의 설계, 오염저감계획의 수립 등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 선진외국에서는 많은 비용과 인력을 동원하여 대기배출자료를 국가적으로 목록화하는 작업을 추진하여 왔으며, 전 세계적으로 강화된 국제적 환경협약과 환경보호를 위한 무역규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국가 대기배출량을 일정한 형식과 산정방법에 의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중략)

  • PD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Kim, Kwi-Gon
    • Hwankyungkyoyuk
    • /
    • v.10 no.2
    • /
    • pp.369-376
    • /
    • 1997
  • 환경교육의 목적은 환경문제점에 대하여 자각하고 관심을 가지며 현존하는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과 새로운 문제점의 예방을 위하여 개인적으로나 집단적으로 일할 지식, 기술, 태도, 동기 그리고 책임에 대하여 교육시켜 가는데 있으며 이와 같은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환경교육의 대상이 되는 개념으로서 경제사회발전과 환경보전의 조화라는 관점에서 관심을 모으는 ESSD개념은 유엔이 국제환경보전운동의 지침으로 삼고있는 환경적으로 건전한 지속적 개발(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개념으로서 개발은 환경용량의 범위 내에서 추구되어야 하며 지속성의 관점에서 정부와 모든 국민들은 그들 자신의 복리는 물론, 그들의 후손을 위해 환경을 보전하는데 공동의 노력을 쏟아야 할 윤리적 가치를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가가 현재 직면하고 있는 환경문제를 ESSD개년의 도입과 실천을 통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어야 할 것이며, ESSD개념에 입각하여 인관과 환경간의 관련성의 새로운 개념에 대한 인식을 국민모두가 갖도록 하는 환경교육을 통하여 환경에 관한 가치가 개개인의 생활양식은 물론 기업 환경의식이나 정부의 의사결정 과정에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 ESSD개념은 환경교육에서 환경보전과 경제사회발전이 어떻게 양립될 수 있는가를 강조하는 것이 되어야 할 것이며 학교환경교육이나 일반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환경교육에서는 물론 정치적 관심이나 각 부처간의 이익을 초월하여 개발과 환경보전을 역동적으로 통합시킬 수 있도록 입법부나 행정부처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는 환경교육에도 포함되어야 할 것이며 환경문제에 관련된 전문가를 교육하는 현행제도를 재평가하여 단지 단기적인 현실만이 아니라 ESSD개념에 바탕을 둔 장래 개발문제에 대처해 나갈 수 있는 환경전문가를 위한 교육과정의 설계와 교육방법론의 체계적인 연구조사가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환경교육의 중요성에 대하서는 의제 21, 지방의제 21 그리고 인간정주 의제서에 계속적으로 강조되어왔으며 국내에서도 이에 대한 체계적인 차원에서의 대응이 준비되고 있으며 이에대한 많은 각별한 관심과 참여가 요구되어진다.

  • PDF

Management Policy and Safety Problem of School Food Services (학교급식 안전 문제와 대책)

  • Ha, Sang-Do
    • Safe Food
    • /
    • v.3 no.1
    • /
    • pp.13-21
    • /
    • 2008
  • 우리나라 학교급식의 현재 성적표를 "양적 성공, 질적 실패"로 평가할 수 있다. 2003년 학교급식이 국가적 교육사업이 되어서 초 중 고 특수학교에서 전면급식이 이루어지고 10,343개교에서 704만명의 학생에게 급식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는 양질의 학교급식을 안전하고 저렴하게 공급하고, 국가식량정책과 연계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여야 할 시기이다. 그러나 학교급식 소요경비 연 2조3천억원, 영양사 7,196명 등 63,145명이 종사하는 거대한 산업군이라는 규모에도 불구하고 전체 학교의 70%만이 식당시설을 갖추고 있고 급식 만족도가 학생이나 학부모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식중독 발생의 원흉이 되어 국민적 질책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문제는 1) 영양사 업무과중에 따른 시간부족, 영양사 지식정보 부족 등에 따른 식재료 및 위생관리 소홀, 2) 냉장, 냉동, 오염/비 오염 구획 등에 필요한 시설과 설비 부족, 3) 교육인적자원부의 급식위생관리의 전문성 부족과 담당 인력 및 정책적, 재정적 지원 부족을 원인으로 볼 수 있다. 학교급식 안전대책은 아래 20대 과제를 추진하여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전략 1은 "우수한 식재료 위생관리"로서 "급식비 인상 및 현실화, 철저한 수입 농수축산물관리, 식재료 공급 및 전처리업 자유업에서 신고제, 허가제로 전환, GAP(우수농산물관리) 제도 도입, 생산이력제도(traceability) 도입, 급식원료 "품질인증 제도" 도입, 식품원료 전처리 시 세척, 소독프로그램 보급, 학교급식 식자재기준, 규격 설정, 과학적이고 쉬운 검수지침 개발 및 보급, 신속검사키트를 활용한 주기적인 미생물 검사 의무화, 위생 전문가에 의한 검수, 식재료별로 분산된 법령과 관리제도 정비(식품안전기본법), 급식식자재 공급 유통 과정의 감시 감독 강화" 등 13개 과제를 제안한다. 전략 2는 "급식위생 확보 인프라구측"으로서 "급식종사자 전문성 확보(조리/영양/위생), 급식전담기구(학교급식진흥원 /학교급식센터 등) 설치, 급식형태 다양화(위탁/직영 균형 발전), 학교급식법 재개정, 학교급식 HACCF제도 확대" 등 4개 과제를 제안한다. 전략 3은 "급식소 시설 설비 현대화 및 환경개선"으로서 "급식시설 설비 현대화 (전처리실, 냉장고, 온장고 구비 등), 급식소 환경 개선 (상수 사용 확대 및 안전강화, 지하수 소독 강화, 정화된 공기 공급 등)" 등 2개 과제를 제안한다. 전략4는 "급식위생제도 및 관리체계 개선"으로서 "전문적 단일기관 안전관리 (식품안전처)" 과제를 제안한다.

  • PDF

수학(數學)의 고찰(考察)과 수학교육(數學敎育)의 개선방향(改善方向)

  • Yeo, Un-Ba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0 no.1
    • /
    • pp.133-173
    • /
    • 1988
  • 최근 과학기술(科學技術)의 영향을 받아 급변하는 국내외의 환경을 감안할 때, 과학교육(科學敎育)의 중요성은 심각히 인식되고 있으며 특히 수학교육(數學敎育)은 그 비중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수학교과과정(數學敎科課程)의 편성(編成)은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현재 문교부(文敎部)에서도 중(中) 고등학교(高等學校)의 수학교과서(數學敎科書)를 새로이 개편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국가적으로 중요한 작업이 체계적(體系的)인 연구(硏究)와 제도적(制度的)인 개선(改善)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생각 아래에서, 각급학교(各級學校)의 교과과정(敎科課程), 행정(行政) 및 제도(制度), 교과서(敎科書) 집필(執筆) 및 지도평가방법(指導評價方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問題點)을 파악하고 개선방향(改善方向)을 모색하는 데에 본고(本稿)의 목적이 있다. 수학교육(數學敎育)의 목적을 이해하는 데에는 수학(數學)의 특성(特性)을 파악함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 특성(特性)의 근원을 산수(算數)와 기하(幾何)의 발단(發端)에서 찾아보았으며 각급학교(各級學校)의 학과내용(學科內容)을 수학(數學)의 역사적(的) 발전단계(發展段階)와 현대수학(現代數學)의 특징(特徵)에 비추어 분석하여 보았다. 그 결과 각급학교(各級學校) 교과과정(敎科課程)이 일관성있게 배열되지 않은 면이 있고 하위(下位)의 능력평가(能力評價)에 치우친 감이 많아, 다음 단계의 교육에 지장을 초래하면서도 오히려 학생들이 수학(數學)을 어렵게 생각하게끔 만드는 원인들을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장기적(長期的) 연구(硏究)를 할 수 있는 전문연구집단(專問硏究集團)과 활성화된 교사(敎師)의 재훈련제도(再訓練制度)의 필요성과 아울러 인시제도(人試制度), 지도방법(指導方法), 평가방법(評價方法)의 개선(改善)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