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교운영

Search Result 1,871,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Design &Implementation of a Class Management System of the School for the Mentally Disabled (정신지체장애학교의 학급운영시스템 설계 및 구현)

  • 한종호;이지근;이은숙;김희숙;정석태;정성태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665-668
    • /
    • 2002
  • 컴퓨터의 급속한 보급화와 기술의 발달에 따라 컴퓨터의 활용은 사회 전반에 걸쳐 깊숙이 보편화 되었고 정보를 처리하는 대표적인 수단이 되었다. 이런 현상에서 각급 학교에서도 학급 운영과 학생관리 등 거의 모든 업무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현재 보편적으로 운용되고 있는 학급 운영 시스템은 일반 학교의 학급을 위한 시스템이 대부분이고, 이들 학급 운영 시스템은 학급운영과 학생관리의 업무 특성상 정신지체장애 학교와 같은 특수학교에 적용하여 운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신지체 학교와 같은 특수학교의 특성과 실정에 맞는 학급 운영 시스템을 설계, 구현함으로써 특수학교 교사와 학생의 학급 업무에 대한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특수학교 학생들의 특성에 맞는 개별 교육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차별화된 학급 운영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Library Committee of the School Library that Employs Librarians (사서 배치 학교의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 운영 현황에 대한 연구)

  • Ha, Jiyun;Oh, Euikyung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9 no.2
    • /
    • pp.225-246
    • /
    • 2018
  •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about present management condition of the School Library Committee. It conducted a survey on school librarian about the general present condition of School Library Committee and the need for it, the management/role/role performing ability of the council members, and difficulties they face in terms of management. 59 respondents submitted their responses and main results demonstrated that first, 94.9% of the universities the respondents are working for are running School Library Committee and the rate of configuration of the chairperson, vice chairperson, parent/teacher members of the committee are over 80%; second, teacher members of the committee were less active in role playing but are seeking more expectations and collaborations; third, School Library Committee is necessary for school library services and its management but is facing difficulty due to the lack of teachers'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Based on the main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s the codification/elaboration of School Library operation policies at the Education Office level, regulation of education training which deals with the role and obligations of the Student Library Committee and construction of public library-school library collaborative system which can facilitate appointment of outside committee members.

지상(紙上) 블로그 - 학교도서관, 책 읽기에 교과교사와의 협동수업을 더하다

  • So, Byeong-Mun
    • KLA journal
    • /
    • v.53 no.3
    • /
    • pp.24-27
    • /
    • 2012
  • 채 10년도 안되는 기간동안 학교도서관은 천국과 지옥을 오가고 있다. 2002년부터 교육인적자원부(현 교육과학기술부) 주도로 시작된 '학교도서관활성화사업'을 통해 낡은 학교도서관 시설은 현대식으로 바뀌었으며, 교원으로서 사서교사는 1998년부터 지속적으로 현장에 배치되었고, 2007년 "학교도서관진흥법"이 제정되면서 나름 학교도서관에 대한 구체적인 법적 관심을 받았다. 먼지 쌓이는 교실 한 칸도 되지 않던 창고같던 학교도서관은 늘어난 장서와 PC를 포함한 다양한 IT 기기, 편안하게 책을 읽을 수 있는 교구 등을 갖추면서 나름 도서관답게 바뀌기 시작했던 시기이다. 학교도서관 운영의 주체성과 자율성을 가질 수 있는, 많지는 않더라도 교사라는 지위로 사서교사가 전국의 초 중등학교에 지속적으로 배치되던 시기이기도 하다. 도서관 관련 법에서 늘 구석에 있던 학교도서관은 "학교도서관진흥법" 및 시행령이라는 단독법안으로 제정되어 법리 상 관심을 받던 시기였다. 여기에 더해 책 읽기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학교도서관을 중심으로 다양한 책읽기 프로그램 등이 운영되고 나름 학교도서관이 활성화되는 것 같았다. 하지만 화려하게 바뀐 학교도서관은 자격이 있는 인적자원 배치와 지속적인 장서의 공급 등을 통해 유지되기보다는 운영시간 연장 등 시설 자체의 운영에 초점이 맞춰지는 시기로 바뀌었다. 98.6%에 이르는 학교도서관 설치 대비 46% 밖에 되지 않는 인적자원의 배치 현황, 그나마 학교도서관에 배치된 인적자원의 14.7%만이 정규직 사서교사, 사서(직원)이라는 현실은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인적자원 배치에 대한 기대를 더 이상 할 수 없는 어려운 시기로 바뀌었음을 보여준다. 단독법안으로 학교도서관의 진흥과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던 "학교도서관진흥법"은 학교도서관 관련 시설, 인적자원, 운영에 대한 분명하고 명확하지 않은 법조항 때문에 관점에 따라 다양한 해석을 할 수 있어 오히려 학교도서관의 발전을 저해한다는 일부의 비판도 받았다.

  • PDF

Comparison of the Oral Health Awareness of Students in Schools with and without Dental Clinic in the City of Gwacheon (과천시 학교구강보건실 운영 및 비운영학교 학생의 구강보건의식에 관한 비교)

  • Han, Ji-Hyoung;Hwang, Ji-Min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8 no.1
    • /
    • pp.29-3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awareness of students in schools equipped with and without a dental clinic in the city of Gwache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82 students in that area. Out of them, 398 students attended a school furnished with a dental clinic, and 384 attended another school that wasn't equipped with a dental clinic. It's ultimately meant in this study to contribute to boosting the managerial efficiency of a school dental clinic and stepping up the development of quality oral health program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When the students from the two schools were compared in terms of oral health knowledge, there wasn't any significant gap between the two groups in general. One difference was that the students from the school furnished with a dental clinic were more aware of presentive treatment provided by a dental clinic than the others from the other school. 2. As for attitude to oral heal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every regard except daily mean frequency of having a snack. 3. Regarding oral health belief, the students from the school equipped with a dental clinic had a better oral health belief in every aspect including health status, importance of oral health and interest than the other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was significant. 4. Concerning perception of school dental clinic, the students from the school furnished with a dental clinic were better cognizant of it. As to the necessity of it, both groups viewed it as necessary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ntal caries. In terms of preference for school dental clinic, the students from the school furnished with a dental clinic had a greater preference for that.

  • PDF

Tao Xingzhi's School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Practice and Educational Thought of School Education (도행지(陶行知)의 학교 설립 및 운영을 통해 본 학교교육관 탐색)

  • Jin, Xianglan
    • Kore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 /
    • v.39 no.1
    • /
    • pp.1-13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extract Tao Xingzhi's (陶行知, 1891-1946) ideas about formal education by investigating his school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practices. Tao Xingzhi established and operated various schools to provide educational opportunities. The objective of his school establishment was to expand the range of subjects. Tao provided whole-person education at his schools, and the subject matter was based on his life education theory. Tao combined teaching, learning, and activity to reform the pedagogical process, and his school operations were institutionalized and democratically managed. These aspects were comprised of Tao's ideas about formal education. Tao's ideas might offer valuabl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formal education.

  • PDF

Survey on Oral Health Recognition Level and Support of Benefited School Teachers by the Operating Period of Incremental School Oral Health Program (학교구강보건실 설치운영학교 담임교사의 구강보건인지도 및 지지도 조사)

  • Lee, Jung-Hwa;Jeon, Eun-Su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7
    • /
    • pp.244-25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further developments of the school dental clinic program through evaluating oral health knowledge, status and attitude of school dental program subjected on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the program. The subjects were total 186 teachers from 8 elementary school in Ulsan metropolitan city area that had been operating school dental clinic program from 1999 to 2005. For the teachers by school and period of operation, the level of knowledge and behavior of oral health were no difference, however the recognition and behavior level in shorter operation group were higher, the level of recommend other school was higher than previous research. The efforts for further development school dental clinic program associated with advanced countries should be emphasized including the higher interests, more active participation and strengthened education. The systematic supports would be also important.

과학영재학교 교육과정 운영실태와 학생 반응분석

  • 문경근;박일영;박수경;정권순;추봉욱;곽미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11a
    • /
    • pp.165-166
    • /
    • 2003
  • 2002년 3월부터 영재교육법 시행령이 적용됨에 따라 과학기술부에서는 교육인적자원부, 부산광역시 교육청과의 협약을 통하여 부산과학고등학교를 과학영재학교로 지정하였으며 2003년 3월 신입생 입학 이후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과학영재를 조기에 발굴하여 맞춤식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천함으로써 지식기반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인 과학영재를 육성하려는 과학영재학교의 설립목적에 부합되도록 계획, 운영, 평가되기 위해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운영 전반에 대하여 점검 및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과학영재학교 운영상의 주요 측면인 교육과정 운영 분야에 대하여 그 실태와 학생 반응을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 기본 방침은 과학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와 논리적,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과 태도를 통하여 지식을 창출하는 자기 주도적 탐구자의 양성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교육과정 편제는 교과, 자율연구, 위탁교육 및 특별활동으로 구성되어있다. 교과에는 국어, 사회, 외국어, 예체능을 포함하는 보통교과와 수학, 과학, 정보과학을 포함하는 전공교과가 있다(과학영재학교 교수요목안내서, 2003). 본 연구에서 교육과정 편제, R&E, 교수학습 및 평가의 하위 영역별로 그 실태와 각 영역별 학생 설문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심화 선택과목의 학점 비중을 더 높여야한다는 의견과 보통교과의 학점을 줄이고 전공교과의 학점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상 학생들이 과학영재학교 선발과정에서 수학, 과학 각 분야별 우수자로 선발된 경우가 많아 학생 개인적으로 자신감을 가지는 과목만 집중적으로 학습하고자 하는 의도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영재교육과정의 운영지침(이상천, 2002)에 의하면, 대학 수준의 내용을 그대로 도입하는 속진보다 창의성과 사고력 계발에 보다 충실할 수 있도록 내용의 폭을 넓히고 접근방법을 달리하는 심화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영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은 창의성 교육의 구현보다는 압축형 속진 교육과정의 특성이 강하여, 이와 같은 운영지침을 실현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므로 교육과정 편제의 개선이나 운영지침에 적합한 교육내용의 개발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R&E(Research & Education)는‘연구를 통한 교육’,‘교육을 통한 연구’를 의미하며 과학영재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자율연구와 위탁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 PDF

Analysis of Administrator's Difficulties in Software Education Operations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에서 학교 관리자의 어려움 분석)

  • Kim, S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235-23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소프트웨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학교 관리자를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 관리자는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 과정에서 컴퓨터 실습실이나 피지컬 컴퓨팅 같은 교구,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을 위한 예산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수업 전문성을 갖춘 교사가 부족한 것도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에 어려움으로 느끼고 있었다.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은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에 미치는 영향은 높지 않았으나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부정적인 인식이 증가하였다.

  • PDF

An Analysis on the Operation of Vacation Reading Guidance Program in School Libraries of Gyeonggi Province (경기 지역 학교도서관의 방학독서교실 프로그램 운영 실태 분석)

  • Lim, Seong-Gwa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5 no.4
    • /
    • pp.21-4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determine a systematic operating method for analyzing vacation reading guidance programs in school library systems and, thereby, suggesting ways of operating a reading guidance program both effectively and efficiently. Analyses of questionnaires going out to hundred of school libraries in Gyeonggi Province will be performed for this purpose. Specifically, the study will analyze the following 1) the current operation status of each program, 2) their initial purposes and focus, 3) targeted children groups, 4) program instructors, and 5) the actual content design of the programs. As a result, the vast majority of the school libraries operation of vacation reading guidance program and purpose of inspire of reading interest.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5 directions to support operation of vacation reading guidance program in School Libra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likely suggest the need to re-align or shift current vacation reading guidance programs to be more inclusive for all participants.

Analysis on the Operating Status of Special Schools' School Library (특수학교의 학교도서관 운영 실태 분석 연구)

  • Jang, Bo Seong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50 no.1
    • /
    • pp.313-331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peration status of Special Schools' School Library and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after comparing with the School Library. As a result of the study, compared with general schools by region and school establishment, special schools are lacking in collection, budget, reading seats and usage. The number of collections per student in special schools is 57.9, the number of loans is 10.8, while the number of general schools is 96.7 and 29.6. The budget is about 30% of general schools, more than 90% of general schools have more than 20 seats, while Special Schools are only 75 (42.9%). There is not one volume of use compared to the collection. There are 47 schools (26.8%) with specialized staff, and only 20 schools have librarian licenses. Therefore, in order to revitalize the school library of special schools, it is necessary to cooperate with related organizations with disabilities in the local community, to expand collections, to have professional librarians and to improve the facilities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