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교공간 유휴화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학습도시 조성을 위한 학교 유휴시설 활성화 방안 및 공간적 전략 - 부산광역시 동래구를 대상으로 - (The Practical Use of Unused Facilities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Spatial Strategy to Build Learning City - Focused on Dongnae-Gu in Busan -)

  • 강윤원;김종구;손지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1호
    • /
    • pp.151-156
    • /
    • 2016
  •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원하는 것을 배우고 즐길 수 있는 학습 도시의 구현은 개인의 자아실현을 도모하고 삶의 질을 높여 도시 전체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학습 도시 구현을 위해서는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한데, 현실에서는 그 공간의 부족과 불균형화가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생학습시설의 공간 데이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공간 서비스 취약지역에 초등학교의 유휴시설을 활용하여 공간적 불균형화를 해소하고자 하였다. 현재는 학교의 소극적인 참여로 그 효과가 미비하긴 하지만, 추후 학교의 적극적인 지원이 뒷받침해준다면 충분히 공간적 불균형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학교 유휴시설 활용 생활형SOC사업 정책 방향 연구 - 일본 유휴교실 및 폐교 활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olicy Direction of the Life-style SOC Project Using School Idle Facilities - Focusing on the Use of Idle Classes and Closed Schools in Japan -)

  • 이재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9권4호
    • /
    • pp.1-14
    • /
    • 2020
  •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의 유휴시설 활용에 적합한 지역사회 생활 SOC 사업의 종류와 운영 제안을 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일본 유휴교실 및 폐교 활용 사례 분석을 통해 지역적 특성에 따른 바람직한 활용 시설의 종류와 운영 방안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구도심 및 읍면등 주민의 접근성이 우수한 지역의 경우 주민의 생활편의시설의 일환인 도서관, 창업상담 및 전시공간 및 평생교육 등이 바람직하고 인구 감소가 높은 면 지역 등 농·산촌 지역의 경우 지역사회 전통 체험 교육장 등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설들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