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천특성인자

Search Result 47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alysis of Stream Depletion due to Groundwater Pumping in Variable Stream Stages Using an Analytical Model (해석적 모형을 이용한 지하수 양수 및 하천수위 변화에 따른 하천수 감소 특성 분석)

  • Lee, Jeongwoo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9 no.4
    • /
    • pp.439-449
    • /
    • 2019
  • To prevent the drying-out of streams and to make effective use of stream water and groundwater,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impact of groundwater pumping on nearby streams. To this end, stream depletion due to groundwater pumping should be investigated in terms of various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he aquifer and stream. This study used the Baalousha analytical solution, which accounts for stream-stage variation over time, to analyze stream depletion due to groundwater pumping for cases where the stream level decreases exponentially and recovers after the decrease. For conditions such as an aquifer transmissivity of 10~100 ㎡ d-1, storage coefficient 0.05~0.3, streambed hydraulic conductance 0.1~1.0 m d-1, stream-well distance 100~500 m, and stage recession coefficient 0.1~1.0 d-1, the contribution of stream water (the dimensionless ratio of stream water reduction rate to groundwater pumping rate) was analyzed in cases where stream level change was considered. Considering the effect of stream-stage recession, the contribution of stream water is greatly reduced and is less affected by the stream-depletion factor, which is a function of the stream-to-well distance and hydraulic diffusivity.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am depletion under constant- and variable-stage recovery after reces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ream level control can distribute the relative impacts on stream water and aquifer storage during groundwater pumping

Application of Sacrificial Piles for Scour Countermeasures around Bridge Pier (교각주위의 세굴방지를 위한 희생파일의 적용)

  • 김웅용;최기봉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0.06a
    • /
    • pp.229-234
    • /
    • 2000
  • 교량의 교각 및 교대에 대한 세굴의 영향은 많은 학자들의 관심이 되어왔다. 연구의 주된 관심은 세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의 역학적인 거동에 대한 것으로써 세굴인자들의 최대 영향 및 최대세굴심을 예측하는 적절한 방법들이 연구되었다. 특히, 교각에서 일어나는 세굴은 이동하는 유체의 역학적인 상호작용과 불균등하게 분포된 하상입자들을 포함하는 3차원적인 문제로서, 그 현상이 대단히 복잡하여 하천흐름과 하상재료의 특성 및 교각의 형상과 같은 여러 요소에 의해 지배를 받기 때문에 세굴에 대한 정확한 예측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복잡한 세굴인자들로 인해 세굴에 관한 연구는 주로 실험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water quality index combining water quality and flow (수질-유량을 연계한 통합수질지수 개발 연구)

  • Sang Ung Lee;Bu Geon Jo;Young D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38-238
    • /
    • 2023
  • 최근 이상기후현상으로 홍수와 가뭄의 발생 빈도 증가 및 하천유지유량 부족 등 하천에서 유량 변동이 크게 나타나고 하천 환경 변화에 따른 수질오염, 갈수기 수질악화 등 하천에서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수질은 매개변수별 기준 농도와 측정 농도를 비교하여 평가하지만 직독식 측정 항목과 실험실 분석 항목 및 미측정 항목을 포함하기 때문에 수질 상태를 정확하게 나타내기 어렵다.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의 매개변수를 분석하여 수질을 평가하지만, 복잡한 수질 데이터를 단순하고 논리적으로 수질을 요약하기 위해 단일 값으로 매개변수를 통합한 수질지수가 개발되었다. 다양한 국가 및 기관에서 개발된 수질지수는 방법론, 최종산출 방법의 차이로 동일한 지점 및 기간에서 측정되는 자료를 각각의 수질지수 방법론을 적용하였을 때 상이한 점수 및 등급이 발생하여 유역 특성에 적절한 수질지수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유량 변동이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수질지수 산정 매개변수를 유역 특성 및 관리기준을 고려하여 매개변수를 수정하고 매개변수별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재산정하고 유량 인자를 추가하여 복합적인 하천 수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물리모형과 데이터 모형을 활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수질 변동 평가를 통해 수문학적 변화가 하천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GIUH Model using River Branching Characteristic Factors (하천분기 특성인자를 고려한 지형학적 순간단위도 모형의 해석)

  • Ahn, Seung-Seop;Kim, Dae-Hyeung;Heo, Chang-Hwan;Park, Jong-Kw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5 no.4
    • /
    • pp.9-2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model that minimizes time and money for deriving topographical property factors and hydro-meteorological property factors, which are used in interpreting flood flow, and that makes it possible to forecast rainfall-runoff using a least number of factors. That is, the research aimed at suggesting a runoff interpretation method that considers the river branching characteristics but not the topographical and geological properties and the land cover conditions, which had been referred in general. The subject basin of the research was the basin of Yeongcheon Dam located in the upper reaches of the Kumho River. The parameters of the model wer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abstracting topological properties out of rainfall-runoff observation data about heavy rains and Digital Elevation Modeling(DEM).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ing calculated peak runoff, the Clark Model and the GIUH Model showed relative errors of 1.9~23.9% and 0.8~11.3%, respectively and as a whole, the peak values of hydrograph appeared high.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ing the time when peak runoff took place, the relative errors of the Clark Model and the GIUH Model were 0.5~1 and 0~1 hour respectively, and as a whole, peak flood time calculated by the GIUH Model appeared later than that calculated by the traditional Clark Model.

  • PDF

Model development for the estimation of specific degradation using classification and prediction of data mining (데이터 마이닝의 분류 및 예측 기법을 적용한 비유사량 추정 모델 개발)

  • Jang, Eun-kyung;Kang, Woochu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3
    • /
    • pp.215-223
    • /
    • 202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ediction model of specific degradation using data mining classification especially for the rivers in South Korea river. A number of critical predictors such as erosion and sediment transport were extracted for the prediction model considering watershed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rainfall, land cover, land use, and bed material. The suggested model includes the elevations at the mid relative area of the hypsometric curve of watershed morphomeric characteristics, the urbanization ratio, and the wetland and water ratio of land cover factors as the condition factors. The proposed model describes well the measured specific degradation of the rivers in South Korea. In addition, the development model w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models, since the existing models based on different conditions and purposes show low predictability, they have a limit about the application of Korean River.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ing on improving the applicability of the existing model

Complex Habitat Analysis for Fish in River Confluences - Case Species of Zacco platypus, Opsariichthys uncirostris - (하천 합류부에서의 어류에 대한 복합 서식처 분석 - 피라미, 끄리 대상으로 -)

  • Seogyeong Lee;Dongsu Kim;Kyungdong Kim;Young Do Kim;Siwan L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19-219
    • /
    • 2023
  • 4대강사업으로 인해 생태계가 파괴되는 하천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로 인해 어류의 서식환경이 변화하였다. 하지만, 어류 각각의 서식처 선호도가 변화한 것은 아니기에, 변화된 환경에서 어류의 서식처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어류들이 선호하는 환경 조건을 판단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는 지수는 서식처 적합도 지수(Habitat Suitability Index, HSI)이다. 서식처 적합도 지수는 유속 및 수심과 같은 수리적 서식처 특성과 대상 종의 선호도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가로축은 수심 및 유속 변수, 세로축은 적합도를 의미하며, 1의 값에 해당하는 수심 및 유속이 대상 어종이 가장 선호하는 수심 및 유속 값을 나타낸다. 국내에서는 실제로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활용해 수리 인자와 서식처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서식처 적합도 지수는 현재 수리 인자만을 고려해 서식처 적합도를 판단하고 있는데, 정밀한 분석을 위해서는 수리 인자뿐만 아니라 수질 인자를 포함해 분석해야 한다. 실제로 수리 인자와 수질 인자를 함께 고려해 어류의 서식처를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질적인 부분의 지수를 직접 개발하는 것이 아닌, 하천의 수질의 등급을 나타낸 Water Quality Index (NSFWQI)을 이용해 수질부분의 서식처 분석을 실시한다. NSFWQI는비교적 계산이 간단하여 수질 변화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지수이다. 수리자료는ADCP로 얻은 자료를 통해 기존 문헌과 대상 지역에서의 이미 존재한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이용하고, 수질 자료는 YSI로 얻은 자료를 통해 대상 지역의 NSFWQI 지수를 계산하였다. 서식처 적합도 지수와 NSFWQI 두 가지 지수를 공간분포로 나타내어 Arcgis의 적지분석 기능을 이용해 어류의 최적의 서식처 지역을 제시 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평가 대상 어종은 정수성 어종인 끄리(Opsariichthys uncirostris)와 유수성 어종인 피라미 (Zacco platypus)를 선정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Concentration Time and Storage Coefficient Considering Regional Trend in Urban Stream Watershed (지역적 성향을 고려한 도시하천 유역의 도달시간 및 저류상수 공식 개발)

  • Bae, Deg-Hyo;Kim, Yong-Ja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8 no.6
    • /
    • pp.479-489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quations for concentration time and storage coefficient considering regional trend in urban stream watershed for reliable hydrological analysis. The 13 basins located in Jungrang, Tan, Anyang, and Hongje stream are selected for the data collection and formula development in this study. The stepwise multiple-regression analysis is used for the development considering watershed, urban, and precipitation characteristic indices. The developed formulae are compared with the domestic and foreign empirical formulae and evaluated the accuracy in urban stream area. It shows the computed value from the equ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is more accurate than those from other empirical formulae. The error sum, average error and RMSE of computed values from the developed equations in this study are the lowest. The formulae considering the regional trend of urban stream watershed are worth in terms of showing better results than the domestic and foreign empirical formulae. It can be concluded the developed formulae can be useful in urban stream watershed.

Design Flood Estimation by Basin Characteristics (유역특성을 이용한 설계홍수량 추정)

  • Park, Ki-Bum;Kim, Gyo-Sik;Han, Ju-Heun;Bae, S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172-1175
    • /
    • 2006
  • Generally, the estimation of design flood uses basin rainfall data, water level data, and runoff data, and so forms rainfall-runoff model. Because owing to the lack of hydrological data, the decision of representative unit hydrograph about the basin is difficult, the estimation of design flood uses topography feature data, and so presumes variables, and then applies the presumed variables to the model. In estimating design flood by using the model, it is considerably difficult to analyze how the model input variables estimated by topography factors, or the design flood data estimated previously are related to basin feature factors as the basic data, and presume design flood in the unmeasured basins or the basins where river arrangement basic plan is not establis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design flood estimated previously by river arrangement basic plan is correlated with topography factors in presuming design flood, and so examine the presumption measures of design flood by using topography feature data and probability rainfall data.

  • PDF

Analysis of spatial mixing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t the confluen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을 활용한 합류부에서 수질의 공간혼합 특성 분석)

  • Lee, Seo Gyeong;Kim, Dongsu;Kim, Kyungdong;Kim, Young Do;Lyu, Si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82-482
    • /
    • 2022
  • 하천의 합류부에서는 수질이 다른 유체가 혼합하여 합류 전과 다른 특성을 보인다. 하천의 합류부에서 수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수질의 공간적인 혼합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합류부에서 수질의 공간적인 혼합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토폴로지 데이터 분석(topological data analysis, TDA), 자기 조직화 지도(Self-Organizing Map, SOM), k-평균 알고리즘(K-means clustering algorithm) 세 가지 기법을 이용하였다. 세 가지 기법을 비교하여 어떤 알고리즘이 합류부의 수질 변화 특성을 더 뚜렷하게 나타내는지 분석하였다. 수질 변화 비교 인자들은 pH, chlorophyll, DO, Turbidity 등이 있고, 수질 인자들은 YSI를 활용해 측정하였다. 자료의 측정 지역은 낙동강과 황강이 합류하는 지역이며, 보트에 YSI 장비를 부착하고 횡단하여 측정하였다. 측정한 데이터를 R 프로그램을 통해 세 가지 기법을 적용시켜 수질 변화 비교를 분석한다. 토폴로지 데이터 분석(topological data analysis, TDA)은 거대하고 복잡한 데이터로부터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는 데 사용하고, 자기조직화지도(Self-Organizing Map, SOM) 기법은 차원 축소와 군집화를 동시에 수행한다. k-평균 알고리즘(K-means clustering algorithm) 기법은 주어진 데이터를 k개의 클러스터로 묶는 머신러닝 비지도학습에 속하는 알고리즘이다. 세 가지 방법들의 주목적은 클러스터링이다. 클러스터 분석(Cluster analysis)이란 주어진 데이터들의 특성을 고려해 동일한 성격을 가진 여러 개의 그룹으로 대상을 분류하는 데이터 마이닝의 한 방법이다. 군집화 방법들인 TDA, SOM, K-means를 이용해 합류 지역의 수질 특성들을 클러스터링하여 수질 패턴들을 분석해 하천 수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폴로지 데이터 분석(topological data analysis, TDA), 자기조직화지도(Self-Organizing Map, SOM), k-평균 알고리즘(K-means clustering algorithm) 세 가지 기법을 이용하여 합류부에서의 수질 특성을 비교하며 어떤 기법이 합류의 특성을 더욱 뚜렷하게 나타내는지 규명했다. 합류의 특성을 군집화 방법을 이용해 알게 된다면, 합류부의 수질 변화 패턴을 다른 합류 지역에서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Estimating Watershed Characteristics Using Hydrologic Geography Information System (HyGIS를 이용한 유역특성인자 추출에 대한 검토)

  • Kim, Kyung Tak;Choi, Yun Seok;Park, Dong 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267-1270
    • /
    • 2004
  •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활용한 기술이 수자원분야에서 필수적인 GIS 활용기술인 이유는 DEM을 이용할 경우 유역의 수문학적 지형특성인자를 객관적인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하여 분포형 수문모형을 개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도 GIS를 이용하여 수문모형의 입력인자를 추출한 다든가 분포형 수문모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경우 DEM을 활용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것은 GIS S/W인 Arc/Info, ArcView, WMS 등에서 DEM을 활용하여 수문학적인 유역분석 기능을 제공해 주기 때문에 가능하다. 즉, DEM을 이용하여 하천망을 추출하고, 유역을 분한하고 이를 이용하여 유역 Boundary 내에서의 지형특성인자를 추출하는 기능을 말한다 본 연구는 수자원분야에서 GIS를 활용할 때 필요한 필수기능인 DEM의 활용기술을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하였다. DEM활용에 대한 최신 알고리즘을 검토하여 국내 기술로 개발된 GIS Engine인 GEOMaina v.3.0을 이용하여 수문학적인 DEM 활용 Module을 개발하였으며 HyGIS(Hydrologic Geography Information System)라 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HyGIS를 이용하여 수문학적 지형특성인자를 추출하고 기존에 사용되어오던 GIS S/W와 비교 검토하여 HyGIS의 환용 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