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천친수지수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Effect of The Special Law on the Waterfront-Space Use on Space and Landscape Change of Four Major Rivers - Focused on the EcoDeltaCity Project of Nakdong River - (4대강 친수구역 활용에 관한 제도가 하천 유역의 공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낙동강 유역 에코델타시티 지역을 대상으로 -)

  • Kim, Jong Gu;Kim, Yu Jun;Kang, Youn Won;Hong, Ji Su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2
    • /
    • pp.699-710
    • /
    • 2014
  • Government enacted "The special Law on the waterfront-space" to conduct four-river refurbishment project and to construct systematically regions around national rivers from 2009. This law allows public apartments and recreational facilities etc. to be located around four-river, then the law may give rise to serious space change and landscape damage. So we draw some problems of the established development project about the riverside area, and expected a space and landscape change of waterfront-space with a 3D simulation. The result, it is important to adjust the development density of site and apply various contents with tak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to consider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 Study on the Field Application of Nays2D Model for Evaluation of Riverfront Facility Flood Risk (친수시설 홍수위험도 평가를 위한 Nays2D 모형의 현장 적용에 관한 연구)

  • Ku, Young Hun;Song, Chang Geun;Park, Yong-Sung;Kim, Young D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5 no.3
    • /
    • pp.579-588
    • /
    • 2015
  • Recent climage changes have resulted in increases in rainfall intensity and flood frequency as well as the risk of flood damage due to typhoons during the summer season. Water-friendly facilities such as ecological parks and sports facilities have been established on floodplains of rivers since the river improvement project was implemented and increases in the flood levels of rivers due to typhoons can lead to direct flood damage to such facilities. To analyze the hydraulic influence of these water-friendly facilities on floodplains or to evaluate their stability, numerical analysis should be performed in advance. In addition, it is crucial to address the drying and wetting processes generated by water level fluctuations. This study uses a Nays2D model, which analyzes drying and wetting, to examine its applicability to simple terrain in which such fluctuations occur and to natural rivers in which drying occurs. The results of applying this model to sites of actual typhoon events are compared with values measured at water level observatories. Through this comparison, it is determined that values of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mean absolute error (MAE), and root-mean-square error (RMSE) are 0.988, 0.208, and 0.239, respectively, thus showing a statistically high correl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are used to calculate flood risk indices for evaluation of such risk for water-friendly facilities constructed on floodplains.

Application of Two-Dimensional Flow Analysis Model for Flood Risk Assessment in Flood Plain (둔치에서의 홍수위험도 평가를 위한 2차원 흐름해석모형의 적용)

  • Ku, Young Hun;Song, Chang Geun;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0-40
    • /
    • 2015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홍수의 발생빈도와 홍수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여름철 집중호우 및 태풍에 의해 하천의 둔치가 침수됨으로써 다양한 침수피해를 야기한다. 대하천 사업 이후 하천의 둔치를 활용한 체육시설, 자전거도로 및 생태공원과 같은 친수시설들이 조성되었으며 태풍으로 인한 하천의 홍수위 상승은 이러한 친수시설에 대한 직접적인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침수피해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둔치를 포함한 복단면에서의 흐름해석을 통한 수리학적 영향을 분석해야하며, 둔치에서의 흐름양상은 주수로에 비해 수심이 얕고 흐름에 대한 저항이 크기 때문에 2차원 수리해석이 바람직한 것으로 제안되고 있다. 2차원 수리해석에 있어 하천의 홍수위 상승과 하강으로 인해 발생하는 둔치구간에서의 마름과 젖음 현상은 수치해의 발산을 야기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마름/젖음 해석 기법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일반적으로 마름/젖음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마름/젖음에 상관없이 모든 부분에서 방정식을 푸는 박막기법과 해석영역으로부터 마름 부분을 제거하는 이동경계법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기간에 수위가 급변하는 태풍사상에 대한 둔치에서의 홍수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마름/젖음 해석이 가능한 2차원 유한차분모형인 Nays2D 모형을 이용하여 마름/젖음에 대한 과거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적용된 모형의 결과를 비교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였고, 검증된 모형을 강정-고령보에서부터 달성보 사이 구간에 적용하여 수리학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모형의 결과를 이용하여 홍수위험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둔치구간에서의 홍수위험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 PDF

Analysis of Drying Streams Characteristics in Mankyung Watershed (만경강유역 하천의 건천화 특성분석 연구)

  • Kim, Se Min;Kim, kyung Oh;Lee, Yun Jun;Park, Young 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16-316
    • /
    • 2020
  • 197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과 함께 도시화와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간 활동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수환경은 크게 훼손되어 왔다. 특히 인간 활동으로 인한 대량 생산과 소비는 하천의 자정작용을 초과하는 오염물질을 배출하고 오염된 하천은 본래 기능을 상실하였으며 각종 생활 오·폐수의 배수구로서의 역할이 부여되어 대부분 복개되기에 이르렀다. 이처럼 현재 우리나라의 하천은 고유의 기능인 용수원으로의 기능과 도시민의 휴식 및 친수공간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였으며 중소하천의 건천화에 따른 하천 유지유량의 부족은 하천을 중심으로한 각종 용수의 부족, 수질 오염의 증가, 수변환경 친수기능 상실 등의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중소하천의 건천화현상은 2000년대 이후 계속 증가, 진행되어 소하천뿐만 아니라 지방하천도 이미 메마르고 있는 상태이며 이로 인한 2차적 비용증가 등 경제적인 측면의 손실도 매년 심해지고 있어 건천화에 대한 원인 규명과 방지책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새만금유역은 농업용수 사용이 많은 유역의 특성상 하천의 건천화 문제가 지적되었으나, 대부분 새만금유역의 용수이용체계 등에 연구가 추진되어 주로 농업용수 이용실태와 수질측정을 위주로 하고 있으며, 건천화의 실태와 원인, 그리고 건천화로 인한 물환경의 영향 등에 대해 조사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만경강유역 하천에 대하여 대조하천, 도시하천, 준도시하천, 농업하천으로 대표지점을 선정하여 현장조사와 유역모델링을 통해 건천화의 원인별 기여율을 파악하였고, 만경강유역의 건천화 규모를 추정하였다. 건천화 원인을 평가하기 위해 유역 내 인위적인 물이용이 없는 상태인 기준유량(자연유량)을 산정하였고, 댐 및 방류량의 영향, 하수처리수 유입에 의한 영향, 수자원이용에 의한 영향, 수리구조물(수자원이용)에 의한 영향의 조건을 고려하였으며 건천화 평가지수를 활용하여 대상하천 소유역의 건천화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만경강유역의 토지이용도를 고려하여 만경강유역의 건천화 규모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수리구조물(수자원이용)에 의한 영향이 25.5%, 수자원이용에 의한 영향이 13.9%, 방류량에 의한 영향이 12.3%, 하수처리수 유입에 의한 영향이 6.54%로 나타났으며, 수리구조물(수자원 이용)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크게 평가되었고, 하수처리수 유입에 의한 영향이 가장 작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하천의 건천화현상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고 방지하기 위한 대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olute Transport Analysis in a Natural River using Convolutional Storage Model (합성곱 저장대모형을 이용한 하천에서의 용존물질 거동 해석)

  • Kim, Byunguk;Seo, Il Won;Gwon, Si-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00-200
    • /
    • 2021
  • 하천은 용수공급, 관개, 친수활동, 산업활동 등 인간의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수질관리는 필수적이며 유기물, 중금속, 화학물질 등의 용존물질들은 수질문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하천에서의 용존물질의 혼합 거동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지난 수십년간 이루어지고 있다. 하천 흐름에 따른 오염물질의 이동 및 확산 거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1차원 추적모형이 활용되는데, 그 중 하천저장대 모형(Transient Storage Model, TSM)은 자연하천의 복잡하고 불규칙한 수리·지형적인 특성을 단순하게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TSM은 매개변수에 대한 의존성과 불확도가 크며, TSM의 저장대에서의 농도분포에 대한 지수함수형태의 모델링이 하상간극수역(Hyporheic zone)에서의 저장대 특성을 반영하기에 구조적으로 부정확하다는 단점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TSM의 단점을 보완하고 하천에서의 저장대 메커니즘을 보다 정확하게 구현하고자 체류시간분포(residence time distribution)를 이용한 확률론적 저장대 모델링 프레임워크가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본류대와 저장대에서의 오염물질의 체류시간분포를 분리하여 해석하고 이를 전달함수(transfer function)를 이용한 합성곱으로 결합한 형태의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모델링하였다. 상기의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2019년 감천의 4.85km 구간에서 추적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당시 유량은 12.9 m3/s로 풍수기에 해당되며 평균 유속은 약 0.6 m/s로 측정되었다. 모형의 매개변수는 추적자 실험으로부터 최적화 기법을 통해 역모델링기법으로 결정하였다. 제안된 모형에 의한 모의 결과를 추적자 실험에서의 농도측정자료와 비교한 결과, 평균 0.988의 결정계수를 보여 매우 높은 정확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저장대특성을 나타내는 농도곡선의 꼬리부에 대하여 같은 조건에서 1차원 이송-분산(ADE) 모형, TSM의 모의결과와도 비교한 결과 본 모형은 추적자 실험 농도측정 결과와 평균 0.195의 오차율을 보이며, 이는 ADE 모형과 TSM의 오차율인 14.03과 1.866에 비해 매우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Zoning and Management of Conservation Area and Ecological Management Plan on Urban Stream Using Marxan - A Case of Jungrangcheon(Stream) in Seoul - (Marxan을 이용한 도시하천의 보전지역 설정 및 생태적 관리방안 연구 - 서울시 중랑천을 대상으로 -)

  • Yun, Ho-Geun;Han, Bong-Ho;Kwak, Jeong-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8 no.5
    • /
    • pp.16-27
    • /
    • 2020
  • This study presented a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areas and the ecological management of those areas in the stream based on the Marxan with Zones Program for a Jungrangcheon Stream in downtown Seoul. The application of the Marxan with Zones Program included the stage of planning unit setting, application of mapping indices, numerical correction for repetitive analysis, creation of scenario-specific optimizations through analysis, analysis of sensitivity by scenario, review, and the selection of optimal plans among the scenarios considered. As a result of the establishment of a conservation area near Jungrangcheon Stream, which has several watershed areas, including an upper-middle-class wildlife protection zone, which was previously designated and managed as a conservation area, and the migratory protection zone downstream of Jungrangcheon Stream were designated as key conservation areas. A number of wild birds were observed in the upper reaches of Jungrangcheon Stream, adjacent to the forests of Suraksan Mountain and Dobongsan Mountain. The downstream area is a habitat for migratory birds that travel along the stream and the adjacent river ecosystem, including the Hangang River confluence and Cheonggyecheon Stream confluence. Therefore, the upper and lower reaches of Jungrangcheon Stream are connected to forest ecosystems such as Dobongsan Mountain, Suraksan Mountain, and Eungbongsan Mountain, as well as urban green area and river ecosystems in the basin area, which influence the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areas. This study verified the establishment and evaluation of existing conservation areas through the Marxan with Zones Program during the verification of the conservation areas and was presented as in-stream management and basin management method to manage the basin areas derived from core conservation areas determined through the program.

A review on the previously performed hydraulic experiments of bank protection materials (기 수행된 호안재료 수리 검토 실험에 관한 고찰)

  • Chanjoo Lee;Myeonghwan Kim;Sungjung Kim;Muyoung N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97-297
    • /
    • 2023
  • 최근 친수성, 경관, 생태계 보전 등을 위해 다양한 호안블록의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어 호안블록의 수리적 안정성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안동하천실험센터(이하 센터)에서는 2019년부터 실규모 수로를 이용하여 여러 건의 호안블록 실규모 수리검토 실험을 실시한 바 있다. 본 연구는 그간의 실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수리 검토 실험의 현황과 한계점, 그리고 개선 방향을 제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1 수로(급경사수로, 하상경사 1/70)에서는 7건(21회), B1 수로(고유속수로, 하상경사 1/7)에서는 2건(6회)의 실험이 수행되었다. A1 수로 실험의 유량-소류력 관계는 1.0 m3/s에서 약 20 N/m2이며, 1.0 m3/s 증가당 약 11 N/m2이 증가하는 관계를 나타낸다. 7건의 실험 결과 30분 이상 지속된 최대 실험 유량은 6~7 m3/s 정도이며, 이는 A1 최대 공급 유량의 75 % 정도로서 안정적인 수준이라고 판단된다. 이 때의 최대 소류력은 75 N/m2 정도로 나타났다. B1 수로는 5 m/s 이상의 고유속 흐름을 발생시킬 수있으며, 2건의 실험 결과 0.5 m3/s에서 약 100 N/m2, 최대 4.5 m3/s에서 330 N/m2까지 소류력을 제공하여 실험을 수행한 바 있다. 따라서 A1, B1 수로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소류력 범위는 10~330 N/m2이지만, 75~100 N/m2는 실험에서 제공된 바 없었다. 한편, 토양유실의 경우 수준측량에 의해 측정되는데, 대부분의 실험에서 Clopper의 토양손실 지수(1.27 cm) 미만의 결과가 발생하였다. 이는 시험체에 따라 여건이 다르기는 하지만, 수리 검토 실험시 3회 실험을 기본으로 하고 있고 호안재료의 침식이 기준 이하로 유지되면서 최대한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소류력 조건을 얻으려는 실험 목적에 부합하도록 조절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토대로 고려해볼 수 있는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강성 재료가 아닌 연성 또는 친환경적 호안재료의 허용 소류력 범위를 보다 넓게 평가하기 위해 A1 수로가 제공하는 최대 소류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기본 3회의 실험 외에 추가로 호안블록이 파괴되거나 토양유실 임계치를 초과할 수 있는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각 제품의 한계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Development of Assessment Index for Water Resources Sustainability and Weights Evaluation of It's Components (수자원의 지속가능성 평가 지수 개발과 구성 요소의 중요도 평가)

  • Kang, Min-Goo;Lee, Gwang-M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9 no.1 s.162
    • /
    • pp.59-68
    • /
    • 2006
  • To assess the water resources sustainability, many indicators and methodologies have been suggest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developed in other countries. However, in the previous studies, some of indicators were unsuitable for assessing the sustainability of water use and management in Korea. Thus, in this study nSl(Water Resources Sustainability Index), a multi-variable index, was created by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al criteria. Relative weights for components, indicators and sub-indexes, were determined by employ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 order to extract the indicators related with water resources sustainability, the data related with water resources and indicators suggested in various field were compared and thoroughly reviewed. These indicator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Economic Efficiency Index, Social Equity Index, Environmental Conservation Index, and Maintenance Capability Index. The weight of each component were decided by the survey of 127 specialists in water resources and sustainability. The result of survey represented that efficiency and equity of water use and water quality for river restoration are major issues in enhancing the water resources sustainabilit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nvestment and public participa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sustainable water use.

Analysis of Landscape Structure Change for Riparian Buffer Zone KyangAn Watershed (경안천 유역 수변구역 경관구조 변화 분석)

  • Kim, Kyung-Tak;Kim, Joo-H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8 no.3
    • /
    • pp.74-83
    • /
    • 2005
  • The Riparian Buffer Zone has many potential values including the preservation of water quality as well as being ecologically friendly. This study aim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landscape structure index of the Riparian Buffer Zone in the Kyoung-an stream and to produce base information necessary for proper management. The study used aerial images that were applied to geometric corrections for a time series from 1966 to 2000 for land data and also used FRAGSTATS, which is a type of ARCVIEW extension module, as an analysis tool. An analysis of land use change and the Landscape Index revealed that the area of farm land has decreased and that the area of residential property has increased. In addition, there was a slight change for land used for purposes other than farming or for residenc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Landscape Structure Index, revealed that the NP has increased from 437 in 1966 to 695 in 2000. This data reveals that the change of land use is influenced by various artificial factors. The NPS, which represents the declining degree of patch, decreased from 9.441 to 5.934, revealing that the change of land use has been progressing considerably. In regard to forest areas, land use reduced somewhat but did not indicate a significant change. Therefore, an analysis of the total index reveals that the edge of patch has become more complicated and that the variation index of patch has in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this study reveals that barriers to block pollution have weakened as a result and that there is a need to concentrate on the implementation and the management of the Riparian Buffer Zone. Consequently, this study reveals that substantial research is necessary in order to carry out the proper management of the Riparian Buffer Zone, especially in light of the distribution type of each patch and the change in conditions regarding th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