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천모형

검색결과 2,485건 처리시간 0.027초

신경망모형을 이용한 새만금호 수온 예측 (The Prediction of Water Temperature at Saemangeum Lake by Neural Network)

  • 오남선;정신택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56-62
    • /
    • 2015
  •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해수면과 기온이 상승하고, 이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수온이 증가하고 있다. 지구 온난화가 하천의 수질과 생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수온에 대해 이해하고 수온의 변화를 예측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수온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기온과 수온자료를 입력자료로 하여 수온의 예측을 실시하였다. 2012년에서 2014년까지 환경부의 수질환경관측소에서 관측한 새만금호내의 신시, 가력, 만경, 동진 4개 지점의 수온자료와 기상청에서 같은 기간에 관측한 부안의 자동관측 기온 자료를 활용하였다. 신경망이론을 이용하여 최고 및 최저 수온을 예측한 결과 4개 지점의 모든 결과에서 아주 높은 상관계수를 가지고 있다.

산지지형에서의 최적 수문인자 산정 (Estimation of Optimal Hydrological Parameter in Mountainous Terrain)

  • 최민하;서찬양;정용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169-169
    • /
    • 2011
  •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는 수문 및 침식 모형 등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는 동시에 사면에서의 증발과 강우형성, 강우로 내려온 물이 침투나 하천 유입 등으로 인해 다시 해수로 들어가는물 순환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수문과정의 중요한 요소이다. 최근 들어 토양수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이 되고 있지만, 토양수분을 직접 측정하는 과정이 매우 어렵기에 통계적인 방법을 통해 예측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에 이번 연구에서는 설마천과 청미천 유역의 토양수분 자료를 이용하여 통계적 방법 중에 하나인 시간안정도 분석을 실시하여 시공간적 변동성에 대해 해석하였다. 토양수분 자료의 유의성을 검토해 본 결과, 연구지역에서의 토양수분의 공간적 분포는 Gumbel 분포가 적합하다는 결과가 나왔고, 이로 인해 연구지역의 토양이 비 균질함을 알 수 있었으며, 시간 안정도 분석을 통해 유역을 대표하는 지점을 찾을 수 있었다. 각 유역의 대표성을 띄는 지점을 찾음으로써, 모든 측정 지점에서 측정해보지 않더라도, 유역의 전체적인 토양수분 값의 분포를 예측해 볼 수 있다. 이는 토양수분 자료를 이용하는 향후 연구에 많은 경제성과 효율성을 제시할 수 있다. 외부적인 환경요인이 토양수분의 변동성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을 분산 분석과 Tukey's 분석으로 실시하였고, 점토질의 토양과 경사도가 토양수분 변동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경사도가 토양수분의 변동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통해, 산지 지형이 많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지표 특성상 향후 연구에 기반이 될 것이다.

  • PDF

SWAT 모형을 이용한 최적관리기법 적용에 따른 충주댐 유역의 하천수질 개선연구 (Improvement of Stream Water Quality by Applying Best Management Practices to Chungjudam Watershed using SWAT Model)

  • 유영석;박종윤;신형진;김샛별;김성준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4권1호
    • /
    • pp.55-62
    • /
    • 2012
  • This study is to assess the reduc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by applying Best Management Practice (BMP) in Chungju-dam watershed (6,585.1 $km^2$) using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The model was calibrated using 3 years (1998-2000) daily streamflow at 3 locations and monthly water quality of sediment (SS),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us (T-P) data at 2 locations and validated for another 3 years (2001-2003) data. The 5 BMPs of streambank stabilization, porous gully plugs, recharge structures, terrace, and contour farming were applied to stream and area with the specific criteria of previous researches. Through the parameter sensitivity analysis, the farming practice P-factor and Manning's roughness of stream were sensitive. Overall, the NPS reduction effect was high for streambank stabilization, terrace, and contour farming. At the watershed outlet, the SS, T-P, and T-N were reduced by 64.4 %, 62.8 % and 17.6 % respectively.

탁수자료를 이용한 GIS 기반의 토사유실량 평가 (Evaluation of GIS-based Soil Erosion Amount with Turbid Water Data)

  • 이근상;조기성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75-81
    • /
    • 2004
  • 임하호 유역은 지질 및 토지피복 상태가 토사유실에 취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강우발생시 토사가 하천에 유입되어 호소내에 많은 탁수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하호 탁수 저감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생성하기 위해 GIS 기반RUSLE 모형을 이용하여 임하호 유역의 토사유실량을 분석하였다. 2003년도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토사유실량을 분석한 결과 5,782,829 ton/yr로 계산되었으며, 소유역별 분석에서는 동부천이 가장 높은 토사유실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태풍매미때의 탁수실측자료를 이용하여 RUSLE 모델로 산정한 토사유실량의 적정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 PDF

일체형 하천호안블럭의 개발 및 모형실험 적용 (Invention and Hydraulic Model Test of Combined Block System in River Bank Protection)

  • 장석환;이창해;박상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49-453
    • /
    • 2008
  • This research focused on analyzing and comparing between the results of hydraulic physical modeling and the results of numerical modeling of Grass Concrete which is newly developed in-situ block system. The physical model was built as a scale of 1:50 by Froude similitude measuring the water levels and the water velocities for before and after vegetation and the effects were analyzed after reviewing the results. In consequence, the water velocities were observed to decrease meanly 19.1%, and the water depth were determined to increase meanly 27.8% in case of the of design flood, $Q=200m^3/sec$. Moreover, the velocities were produced reduction effects of 27.2%, and the water levels were derived from addition effects of the highest 31.3% in case of the probability maximum flood(PMF), $Q=600m^3/sec$. To verifying the hydraulic physical modeling, the numerical modeling was conducted for a close examination of before and after vegetation. HEC-RAS model was for 1 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and RMA-2 was for 2 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numerical simulation, under the condition of roughness coefficient calibration, shows similar results of the physical modeling. These satisfactory results show that the accomplished results of hydraulic modeling and the predicted results of numerical modeling corresponded reasonably each others.

  • PDF

화천댐 방류 시나리오에 따른 유황변동 검토 (Variation of Flow Duration Curve according to Hwacheon Dam Operation Scenarios)

  • 김남원;이정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81-784
    • /
    • 2008
  • 현재 한강수계에서는 북한강 상류에 건설된 임남댐(저수용량 26억$m^3$)으로 인하여 화천댐 상류 유역계의 변화가 발생하였다. 화천댐의 경우, 기존의 발전용량을 포함한 안정적 방류계획에 변화가 발생하여 기존 저수지 용량의 효율적인 관리기술의 실증이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향후 기후변화 및 용수이용 증가에 대비한 안정적인 물공급을 위해 하천유출량의 시 공간적인 평가 및 가용수자원의 평가는 보다 합리적이고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준분포형 유역유출-저수지 운영 결합해석 모형이 필수적으로 도입되어야 할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WAT-K(과학기술부, 2007)를 이용하여 기존댐의 최적 운영룰을 도출한 후, 팔당호에서의 유황개선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수자원 확보량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화천댐의 경우, 방류시나리오로 기존 운영실적을 기준으로 홍수기 중 9월 방류량을 50% 감소, 비홍수기 중 $11{\sim}3$월 방류량을 50% 증가시켜 적용하였을 때 최적 운영룰이 도출되었으며, 이때 갈수량 이하의 10일간 유황개선을 통하여 분석기간에 대하여 0.12억$m^3$의 수자원 확보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 PDF

2차원 수치해석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중류구간의 하천흐름 해석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the Middle Reaches of Nak-Dong River using 2-Dimensional Numerical Analyis Model)

  • 한성대;최현;안창환;이제윤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32-1736
    • /
    • 2008
  • The characteristics of a river flow analysis are significant for river maintenance plan. At the present time, HEC-RAS, 1-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Model, is mainly applied to analyze the character of a river flow. The shape of a river is somewhat in longitudinal linear form. It was suspected that the usage of 1-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model is more economical. Development of numerical analysis models and computers are possible to calculate large volume. Hence, it is possible to adapt the analysis of the key stations by 2-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model. The limitation of 1-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Model is that it is hard to evaluate structure affection of numerical simulation by energy loss coefficient at river structure analyzing. When adaptation of the 2-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model in river structure ensues, it takes more objective analyzing than 1-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model for flow affection by river structure. 2-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model consults with the different structure position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different water depth of shape and scope in vertical flow. 1-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model is possible to simulate with only energy loss coefficient for sudden river section changing, sudden waterway changing by curved. 2-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model use original geographical features. So the model removes technical subjectivity of faulty judgment. It is an objective analysis.

  • PDF

낙동강수계 기존 유량측정망 평가 (Evaluation for Current Discharge Measurement Network for Nakdong River Basin)

  • 김용석;박배경;박재범;강두기;신현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804-1808
    • /
    • 2008
  • 최적유역관리 및 수질개선을 목표로 시행되고 있는 오염총량관리제도의 실질적인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해당 유역의 현황, 오염물질 배출특성 규명, 기준유량 및 기준수질의 산정이 요구되며, 하천 수리 수문 수질 모형화를 위한 장기간의 수질.유량 변동의 조사 및 분석이 선차적인 과제이다. 환경부는 오염총량관리제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2004년 8월부터 현재까지 8일 간격(30회 이상/년)으로 오염총량관리 단위유역 41개 지점과 시도요구 6개 지점 등 총 47개의 지점에 대해 직 간접적으로 유량자료를 생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관측한 수질 및 유량 자료는 단위유역별 오염부하량 산정, 삭감부하량 할당 및 이행평가에 활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건설교통부, 수자원공사 등의 수문관측 기관에서는 도산, 낙동, 금호 등의 단위유역 지점에 대한 유량측정을 실시하여 주요 수자원계획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낙동강 유역의 기존 건설교통부, 수자원공사 관측망 측점지점에 대한 자료의 결측수 및 결측율, 수위-유량 관계곡선식 등의 정확도를 표준오차 및 불확실도를 정량적으로 산정하여 유량측정결과의 오염 총량과리를 위한 이용 가능성을 평가 및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수치고도모형을 이용한 본류하천길이에 관한 프랙탈 차원의 해석 (The Analysis of Fractal Dimension on the Main-Stream Length using Digital Elevation Model)

  • 차상화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9호
    • /
    • pp.915-923
    • /
    • 2002
  • Recently,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s used to extract various hydrological factors from DEM(Digital Elevation Model) in river basin.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the determination of river fractal dimension using DEM. In this paper, the main-stream length in river basin was grid-analyzed for each scale(1/5,000, 1/25,000, 1/50,000) and each cell size(5m$\times$5m, l0m$\times$l0m, 20m$\times$20m, 30m$\times$30m, 40m$\times$40m, 50m$\times$50m, 60m$\times$60m, 70m$\times$70m, 80m$\times$80m, 90m$\times$90m, 100m$\times$l00m, 120m$\times$120m, 150m$\times$150m) using GIS. Also, fractal dimension was derived by analyzing correlation among main-stream lengths, scale, and cell size which were calculated here. The result of calculating fractal dimension for each cell size shows that the fractal dimension on the main-stream length is 1.028.

지구기후모형 기온변화에 따른 미래 하천생태환경에서의 수온 예측 (Prediction of Climate-induced Water Temperature using Nonlinear Air-water Temperature Relationship for Aquatic Environments)

  • 이길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877-888
    • /
    • 2016
  • To project the effects of climate-induced change on aquatic environments,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thermal constraints affecting different fish species and to acquire time series of the current and projected water temperature (WT). Assuming that a nonlinear regression between the WT at individual stations and the ambient air temperature (AT) at nearby weather stations could represent the best relationship of air-water temperature, This study estimates future WT using a general circulation model (GCM). In addition, assuming that the grid-averaged observations of AT correspond to the AT output from GCM simulation, this study constructed a regression curve between the observations of the local WT and the concurrent GCM-simulated surface AT. Because of its low spatial resolution, downscaling is unavoidable. The projected WT under global warming scenario A2 (B2) shows an increase of about $1.6^{\circ}C$ ($0.9^{\circ}C$) for the period 2080-2100. The maximum/minimum WT shows an amount of change similar to that of the mean values. This study will provide guidelines for decision-makers and engineers in climate-induced river environment and ecosystem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