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이데거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5초

포스트휴먼시대의 인간다움 : 심미적 진정성 (Humanity in the Posthuman Era : Aesthetic authenticity)

  • 류도향
    • 철학연구
    • /
    • 제145권
    • /
    • pp.45-69
    • /
    • 2018
  • 이 글은 포스트휴먼이 단순히 과학기술의 효과가 아니라 인문학의 이념에 의해 제약될 수밖에 없다는 관점에서 포스트휴먼시대의 인간다움을 성찰하는 한 가지 시도이다. 필자는 휴머니즘 또는 인간중심주의(anthropocentricism)의 시각에 갇힌 근대성을 넘어선 새로운 인간에 대한 물음이 두 가지 의미에서 비판적으로 제기되어야 한다고 본다. 첫째, 포스트휴먼은 근대의 계몽적 주체에 의해 억압된 타자인 신체, 감성, 자연, 여성의 목소리를 회복할 수 있는가? 둘째, 포스트휴먼은 인간의 본질이나 불변의 토대를 상정하지 않고 지금 이곳에서 비인간적인 것과 싸우면서 인간성을 보존할 수 있는가? 위 물음을 제기하는 과정에서 필자는 근대의 계몽적 휴머니즘의 파국을 각기 다른 경로를 따라 동시에 겪었던 하이데거(M. Heidegger, 1889-1976), 벤야민(W. Benjamin, 1892-1940), 아도르노(Th. W. Adorno, 1903-1969)와 대화를 시도한다. 세 철학자는 근대 휴머니즘과 기술문명이 초래한 비인간적 세계상황을 목도하면서 계몽적 주체의 타자인 예술과 예술작품으로부터 인간 이후의 인간의 가능성을 발견했다. 필자는 세 철학자가 주장한 새로운 인간상을 '끊임없이 탈존하는 인간'(하이데거/ 2장), '신경감응을 통해 타자와의 유사성을 회복한 인간'(벤야민/ 3장), '비인간적인 사회를 규정적으로 부정하는 인간'(아도르노, 4장)으로 특징짓고, 각각의 현재성을 검토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4차산업혁명 시대가 인간의 감각, 충동, 무의식에 이르기까지 세계 전체를 더욱더 촘촘히 관리하고 통제하는 디지털 자본주의의 시스템으로 전개되는 한, 포스트휴먼시대 인간다움의 필요조건이 '심미적 진정성'(${\ddot{a}}sthetische$ $Authentizit{\ddot{a}t$)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해원상생'에서 '상생'의 존재론적 근거 - '사방-세계'와 '초연한 내맡김', 그리고 '거주하기' - (The Ontological Basis of 'Sangsaeng' in 'HaewonSangsaeng': 'Geviert-Welt,' 'Gelassenheit,' and 'Wohnen')

  • 문동규
    • 대순사상논총
    • /
    • 제37집
    • /
    • pp.107-140
    • /
    • 2021
  • 이 논문은 대순사상 내지는 대순진리회에서 말하는 '해원상생'에 주목하면서 '상생'의 존재론적 근거 내지는 토대를 하이데거(M. Heidegger)의 사상을 통해 드러내고 있는 글이다. '상생'은 '서로 (잘) 산다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산다'는 것은 인간과 인간 사이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존재하는 모든 것이 서로 잘 사는 것을 말한다. 이때 우리는 하이데거의 '사방-세계(Geviert-Welt)'와 '초연한 내맡김(Gelassenheit)', 그리고 '거주하기(Wohnen, 거주함)'에서 대순사상 내지는 대순진리회에서 말하는 '상생'의 근거를 발견할 수 있다. 말하자면 우리는 '땅, 하늘, 신적인 것들, 죽을 자들'인 '넷'의 하나로 포개짐이 상생적으로 펼쳐지는 '사방-세계', '사방-세계'에 진입하는 '초연한 내맡김'이라는 인간의 태도를 통해 상생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물론 인간에 한정해서 말하자면 이 상생은 '사방-세계'에 진입해서 존재하는 모든 것을 소중히 보살피면서 살아가는 인간의 존재 방식인 '거주하기'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거주하기는 '사방-세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이 글에서는 대순사상 내지는 대순진리회에서 말하는 윤리적인 이념 내지는 지침인 '상생'이 이미 존재론적인 지평인 '사방-세계', '초연한 내맡김', '거주하기' 등을 이루어질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에서는 해원 또한 이미 해소되고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삶의 중심으로서의 집과 그 철학적 의미에 대한 연구 (Eine Untersuchung ueber das Haus als das Mitte des Lebens und seine philosophische Bedeutung)

  • 변순용
    • 윤리연구
    • /
    • 제77호
    • /
    • pp.191-215
    • /
    • 2010
  • 이 논문은 집의 본래적인 의미를 하이데거, 바쉴라르, 볼노프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하이데거는 거주함을 인간의 본질로 보면서 사물들 곁에서 사물들의 본래적인 의미를 보호하고 배려하는 의미로서의 집을, 바쉴라르는 인간이 집으로 부터 받는 보호의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행복한 공간으로서의 집을, 볼노프는 인간 자신과 세계의 중심점으로서의 집의 의미를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이데거는 현대인들은 거주에 있어서 본래적인 곤경에 처해있으며, 본래적인 거주 공간으로서의 상실, 즉 고향의 상실을 주장한다. 이러한 공간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우리는 거주함에 대해 배워야 하고 집의 경제적 의미보다는 본래적인 거주 공간으로서의 집의 의미를 숙고하고, 자신의 거주 공간에 대한 책임을 져야한다. 바쉴라르는 행복한 공간으로서의 집이 세계에 대한 근본적인 신뢰를 전제로 하고 있으며, 집과 세계의 변증법적 관계를 통해 집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볼노프는 인간은 오직 '거주함'을 통해서만 비로소 진정한 인간일 수 있음을 강조하면서, 공간의 인간화를 주장하고, 여기서 더 나아가 인간이 자신의 공간을 자신만의 고유한 방법으로 형성해야 할 공간적 책임을 주장한다. 현대사회에서 우리에게 집은 경제적인 가치의 척도로만 이해되고 고려되어 왔다. 거주함의 본래적 의미보다는 자본화되어버린 집의 의미가 중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진단은 현대 한국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대부분 인정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집에 대한 경제적인 효율성의 측면에 대한 부분보다는 본래적인 의미를 파악해야 한다. 즉 집을 읽어야 하고, 집의 본래적 의미를 되새겨 보아야 한다.

노베르그-슐츠(C. Norberg-Schulz)의 '장소성' 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의 "개방성(Openness)"과 "틈새내기(Rift-design)" 사유를 근거로 - (A Critical Review on C. Norberg Schulz's Theory of the 'Placeness' - Centering around Heidegger's Thought of "Openness" -)

  • 이승헌;이동언
    • 건축역사연구
    • /
    • 제12권3호
    • /
    • pp.149-162
    • /
    • 2003
  • Schulz accepted the existentialist view based on Heidegger's thought and at the same time the objectivist view making fixed this living world, evoking controversies for discussion. He could not see various presentations of the meaning of place because he perceived elements of this world individually. Thus Schulz's mixed system of understanding is sternly different from Heidegger's thought. First, Heidegger suggests that place as existential space represents the occasion revelation of incidents in Dasein. While Schulz recognizes that place is a systematic space predetermined for Dasein. Second, Heidegger interprets the placeness as creative openness in which elements comprising this world face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into one. In contrast, Schulz defines each of the elements through signification and regards it as invariable and static. Third, Heidegger perceives that the placeness is expressed with sustainable, complex images through "rift-design" which seeks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the ground and the world. While Schulz attempts to take "Genius Loci" or "habituated scene" through "gathering" as a concept he regards static and then visualize such structural two factors, producing certain internal images of place. However, limits of Schulz's theory prevent us from exerting complete imagination and discovering the inner creative world of the object. Thus the ultimate goal of paying attention to the placeness, that is, the recovery of individual identity, fails due to the prevalence and abstraction of objectified thinking. In contrast, Heidegger's thought about "openness" is a useful means of realizing the placeness. Openness may be referred to a dynamic coordination in which the earth and the world sustain each other under incessant mutual tensions, but not sticking o each other. "Rift-design" is an openness strategy to cause tense relations by preventing structuralization intentively. This is a creative design that allows seeing original seams of the object.

  • PDF

<샤이닝>, 영화음악의 형식적 미학과 공포 (, the Formal Aesthetics of Film Music and the Horror)

  • 박병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76-88
    • /
    • 2020
  • <샤이닝>에 쓰인 기존음악 자체는 영화와 어떠한 직접적인 관계도 없기에 영화음악으로서 적합하게 활용됐는지에 대한 물음을 낳는다. 본 논문은 <샤이닝>의 20세기 현대음악들이 영상과의 도상성을 통해 영화음악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있음을 드러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공포영화에서 20세기 현대음악 사용을 논하기 위해 공포의 성격과 음악의 형식 간 유사성을 한슬리크의 형식미학을 통해 접근하였다. 음악이 갖는 형식적 특성은 음들의 움직임으로 관찰되는데, 이 움직임은 하이데거가 언급하고 있는 공포의 심경 양태와 유사성을 이루고 있다. <샤이닝> 분석에 있어 음들의 정체된 움직임과 연속성, 악기의 특수주법, 군집한 음들의 불특정한 떨림, 고음역대 여린 세기의 선율, 타악기의 강타, 그리고 중심에서 이탈하는 음들의 진행은 공포영화에 대한 20세기 현대음악의 적소성을 확인시켜 준다. 본 연구가 단순히 20세기 현대음악에서 대변되는 감정들에 기대지 않고, 철저히 음들의 움직임을 포착해낸 것은 영화 <샤이닝> 연구에 큰 의의를 갖는다.

노르베르크-슐츠의 건축 현상학이 갖는 의의와 한계 (A Study on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Architectural Phenomenology of Norberg-Schulz)

  • 정태용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89-97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Norberg-Schulz's architectural phenomenology to find out its meaning and limitation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His phenomenological trilogy, 'Existence, Space and Architecture', 'Genius Loci' and 'The Concept of Dwelling' are main texts to examine background, characteristics, meaning and limitations of his theory in relation to Structuralism and Heidegger's thoughts. Heidegger's phenomenology, especially his dwelling concept, had great impacts on forming Norberg-Schulz's architectural phenomenology. However, since his architectural phenomenology was strongly influenced by Structuralism, his theories present unstable combination of phenomenology and semiotics. And this results in instrumentalization, and overlooking body movement and socio-economical elements in his theory. In spite of these limitations, his theory also shows possibility to go beyond the theory of Modern architecture and plays important role in suggesting direction for better environment through applicability from single building to city in Postmodern architecture. Another meaning of his theory lies in presenting theoretical background for new way to interpret regionalism and specific policy tool to make town planning in Finland.

生態的 環景復元設計에 關한 現象學的 考察 - 마틴 하이데거의 現象學을 中心으로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cological Restoration Design of Human Environment)

  • 변찬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55-176
    • /
    • 1997
  • Today most landscape architects and scientists have approached ecological restoration, only in a scientific way or on aesthetic way so as to deal with the complex phenomena of a site easily. However, 'the real world' as well as 'ecological nature' as it is can not be totally dealt by the scientific approach which is quantitative and reductioinal. ince a site to be restored has the character of 'place' where man 'dwells', it must be designed and built as total phenomenon. In terms of Martin Heidegger's interpretation of "revealing", we might find out how to overcome the dilemma of the 'modern technology'. To the point of the phenomenological integrity between 'modern technology' and 'art', we can reveal 'sense of place' on a site.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which i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e, implies something more than scientific since it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site-specific data without wasting extra data for ecological restoration. Bodily experiencing a site with the perception, man discloses the site's nature and he also analyzes it in a scientific way. Therefore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might be a clue of constructing ecological restoration as well as construing the identity of landscape architecture.

  • PDF

심층적 맥락의 가능성과 페터 춤토르의 건축 (Deep Contextualism's Potentiality and Peter Zumthor's Architecture)

  • 정찬효;이동언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1호
    • /
    • pp.61-68
    • /
    • 2020
  • The aim of the paper is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Deep Contextualism can be applied to architecture,' developed through Stephan Pepper's Contextualism. This hypothesis is verified by Peter Zumthor's architectures. 'Deep Contextualism' has 'the third context' between human and natural context. The third so-called "ready-to-hand" is reactivated according to contingency and creativity in Being, 'Being' is continuously revitalized. It means that quality in 'the third context, or a sense of ready-to-hand is creatively and unceasingly transformed into a new texture by creativity and contingency in Being. Also Zumthor and Heidegger agrees to a sense of ready-to-hand. Through creativity and contingency in Being his architecture widens and deepens. Zumthor's atmosphere is world 4, and his architecture is world 3 which is an embodiment of world 4 or his air.

르 꼬르뷔제 후기 건축의 '탈은폐적 이미지 표출' (Image Expression of Disclosure in Le Corbusier's late Architecture)

  • 이승헌
    •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1-8
    • /
    • 2007
  • Heidegger's speculation on "Disclosure" makes it possible to know on image expression fundamentally. "Disclosure" means that the 'earth' and the 'world' are not fixed into one, but harmonize dynamically with each other under continuous mutual tension and mutual support. When they are well-weaved with each other, the two ways are collectively defined as "disclosure Image". In regard to the technique, the study analyzed 'allegory' and 'reactivation'. The former refers to showing image potentially, while the latter means embodying and revealing image apparently. Le Corbusier's late Architecture provides a simultaneous reactivation of various images through continuous cross-weaving rather than being inclined to either the earth or the world.

동아시아 도론(道論)의 이중구조 탐색 - '도'와 '길'의 변증법적 길항(拮抗) 관계 - (Dual Structure of the Theory of 'Tao' in East Asia)

  • 장윤수
    • 철학연구
    • /
    • 제146권
    • /
    • pp.245-270
    • /
    • 2018
  • 이 글은 동아시아 사상사에 있어서 유가사상을 중심으로 한 '도(道)' 개념의 이론적 특징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道)'는 동아시아 철학사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어 온 원리 개념으로서, 시대적 변천과 학파의 분화에 따라 그 의미가 더욱 풍부해져 왔다. 우리는 여기에서 먼저 '도'와 '길'의 이중주적 특성에 대해 주목하였다. 어딘가 도달해야 할 목적지를 '도'라고 한다면, 목적지에 도달하게 하는 경로를 '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도가 존재라면 길은 존재의 양식이고, 도가 목표라면 길은 과정이다. '도'가 근원성, 항상성[지속성], 진실성[성실성]을 속성으로 한다면, '길'은 인륜성, 실천성, 일상성을 속성으로 하고 있다. 그렇지만 넓은 의미에서 볼 때 '도'는 존재[도]와 존재의 속성[길]이라는 이중적 구조의 균형관계를 이룬다. 현대 서양철학의 몇몇 학자들이 이러한 동아시아적 사유구조에 주목했는데, 특히 하이데거의 사유는 '도'와 '길'의 이중주적 의미에 가장 가깝게 다가가 있다. 우리는 이 글을 통해 인간이 그 자체로 '길 위'의 존재임을 해명하고자 했다. 존재[도]와 존재양식[길]이 서로 분리될 수 없듯이, 양식을 떠난 존재가 있을 수 없고 존재하지 않는 것의 양식이란 무의미하다. 이런 점에서 '도'는 곧 존재이며, 존재양식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