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위문화 스타일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8초

20세기에 나타난 흑인 스트리트 스타일의 특성

  • 김서연;박길순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4-75
    • /
    • 2003
  • 미국내 흑인 집단인 Zooties로부터 시작된 20세기의 하위문화는 현대 사회를 특징짓는 중요한 요인이 되어 왔다. 그리고 스트리트 스타일은 이들 하위문화의 독특한 가치관과 생활양식을 표현하는 상징적인 수단이었다. 특히 흑인들의 하위문화는 그들이 갖는 특수한 사회적 상황의 영향으로 인해 매우 다양하고 독특한 성격을 지니게 되었고 이들의 스트리트 스타일은 자신의 하위문화를 구체화시킴은 물론 현대 패션현상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중략)

  • PDF

하위문화 스타일에 나타난 헤어스타일 분석 (A Study on Hairstyle in Style of Subculture)

  • 손향미;조현주
    • 복식문화연구
    • /
    • 제18권4호
    • /
    • pp.755-773
    • /
    • 2010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concept of subculture and style of subculture by each age and to analyze internal meaning of hairstyle in subculture. The study carried out literary review on the basis of books related to subculture and hairstyle focused on the cradle of subculture and preceding researches of subculture style, and strived to find internal meaning of hairstyle by describing in-depth descriptive methods of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study limited its range in the hairstyle in style of subculture from 1930s to early 1990s commonly described in subculture related books. As a result, there were natural pattern, cutting pattern, exaggerated pattern, set pattern, braid pattern, color pattern and addition pattern in types of hairstyle in subculture. The hairstyle in subculture symbolizes their internal value and ideology and hairstyle is a kind of language to express identity of subculture.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Features of Unisex Young Casual Wear)

  • 김현순
    • 복식
    • /
    • 제51권6호
    • /
    • pp.85-99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의 국내브랜드를 중심으로 고찰한 후 그 디자인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한 시대의 패션현상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국내 패션시장의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에 대한 디자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신세대의 하위문화와 국내브랜드 시장조사를 통한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의 동향에 대한 일반적 고찰을 한 후 영 캐주얼웨어의 브랜드를 디자인의 차이에 따라 분류하고, 그 디자인 특성을 컬러, 소재, 스타일, 아이템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00 S/S, '00 F/W의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 브랜드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패션 정보잡지와 인터넷의 패션사이트를 검색하였다.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의 브랜드별 시장조사를 통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영상매체, 대중음악. 스포츠, 스타문화로 나타난 신세대의 하위문화는 탈중심성, 탈국경화, 의미의 해체 등의 포스트모던적 문화현상이며.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는 자유와 개성을 추구하는 신세대의 라이프 스타일을 잘 반영한 하위문화의 복식양식으로서 현대 패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기성복업체는 신세대가 가지고 있는 새로운 욕구와 감성을 겨냥한 브랜드를 개발하고 판매촉진을 위해 전력을 다하는 과정에서 신세대의 하위문화를 반영한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의 일반적인 복식양식을 형성하였다. 3. 국내시장의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는 디자인 특성에 따라 컴포터블 캐주얼웨어, 스포츠 캐주얼웨어, 힙합 캐주얼웨어로 구분된다.

  • PDF

하위문화 패션스타일 유형(1) (A Study on the Patterns of Subcultural Fashion Style)

  • 양미경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6-54
    • /
    • 2004
  • In this paper, It is examined the patterns of fashion style in the history of subcultural clothing from 1930s to 1960s, focusing on the way each generation resisted the main stream through its styles. The subcultural styles examined and classified in this study are mainly British and American, with a few European and Western Indian styles included. This study understands subcultural style as a way of deviate or resistant expression within a society. The patterns of subcultural style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based on their form of resistance, and they are classified as follows: The pattern is revision, which tries to revise and change the given form by adding new elements. There are two kinds of revision, one is dressing up, which dresses for success, and the other is minimal dressing. Zoot, caribbean, western, teddy boy, rockabilly style are included here. As minimal dressing, there are hipster, beatnik, modernist, mod, rude boy style.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subcultural style puts the foremost importance on individual freedom. The new and significant development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subcultural style emerges as a dominating force in our culture. This implies that the energy of a subculture is essential as a formative force of a fashion world.

  • PDF

패션에 표현된 Goth 스타일 연구

  • 박은경;정현숙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8-28
    • /
    • 2003
  • 새 천년의 디지털 문화에서 가상의 시나리오와 판타지를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패션에서도 나타나고 있는데, 그 주된 흐름이 하위문화의 하나인 Goth 스타일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Goth 스타일의 실체와 기원을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패션에 표현된 Goth적 요소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 PDF

스트리트 스타일에 나타난 재즈(jazz)의 영향 - 소재와 색상을 중심으로 -

  • 정미진;정흥숙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2-52
    • /
    • 2003
  • 하위문화에 있어서 대중음악은 젊은이들의 결속력을 강화해주고 그들만의 개성을 표출해주는 언어라 할 수 있다. 특히 1920년대 이후 급격한 대중매체 보급으로 인기를 얻기 시작한 재즈는 1940년대까지 생활 문화 전반에 걸쳐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는데 그 중 두드러진 특징으로 자리매김 한 부분은 하위문화 패션이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스트리트 스타일들의 고유의 아이덴터티를 보장해주는 것은 의상의 실루엣도 있지만 더욱 확연히 해주는 부분은 장식적인 부분, 즉 소재와 색상은 디테일하게 그 고유 장르를 설명해주게 되는 것이다.

  • PDF

하위문화에 나타난 대중음악과 패션의 기호적 해석 (A semiolog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r music and fashion style exposed in Subculture)

  • 김신우;전종찬;김영인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233-244
    • /
    • 2005
  • 현시대의 사회 문화적 기호로 대표되는 것 가운데 하나가 패션이다. 이는 패션이 전달하는 스타일이 단순한 양식이나 유행의 개념에 그치지 않고 일종의 소통의 코드이며 그 자체로서 하나의 미디어로서 기능하기 때문이다. 음악은 항상 패션에 자신의 힘을 과시해 왔고 패션 역시 음악에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패션은 시각을 음악은 소리를 통해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패션과 음악은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패션과 음악은 모두 사회상을 투영하는 동시에 사회군화 전반에 걸쳐 영향을 주고있는데 음악이 새로이 변화할 때마다 항상 새로운 청년문화가 창출되어 왔으며 이 문화들은 뚜렷한 패션 경향을 이루며 확산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하위문화 집단에서 그들만의 정체성과 의식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패션 스타일과 음악 유형들 간의 관련성을 기호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청년문화 저변에 자리잡고 있는 대중 음악과 패션 스타일의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이와 같이 하위문화는 자신의 삶의 조건이 강제하는 모순으로부터 도피하거나 이를 해결하는 가장 중요한 기제로써 표상행위가 되고 그들 스스로 독특한 음악 스타일이나 의복 스타일을 개발하여 상징적 저항의 기의를 표출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하위문화에 있어서 대중음악과 패션스타일과의 관계는 내면의 가치를 기호화한 상동성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하위문화 패션스타일 유형(2) (A Study on the Patterns of Subcultural Fashion Style(2))

  • 양미경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9-170
    • /
    • 2005
  •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patterns of the subcultural fashion styles in the 20th century in terms of various subcultures in the period. First, we define the concept of the subcultural fashion styles and in turn, examine the subcultural fashion styles from 1950s to 1990s while focusing on the way each generation resisted against the mainstream through its styles. The subcultural fashion styles examin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are mainly British and American styles. some of European and Western Indian styles are also included. In this paper, a subcultural fashion style is understood as a way of deviate or resistant expression within a society. It differentiates itself from the main style by deliberately and publicly asserting its own identity. And as a result, it is realized in a form of a fashion with its repressed subconsciousness, with resistance to the alienation from the society, and with deviation from the normative ethics and the morality of a society. In conclusion, we classify the subcultural fashion styles into two patterns based on their form of resistance which tries to distance itself from the ritual code of the day: the dressing of the escape from time and the dressing of the escape from space. The first pattern is characterized by nostalgia or futurism, and includes psychedelic, rastafarian, raver, techno style. The second Pattern includes surfer, folky, hippy, new age traveller, cyberpunk style. Especially, an emphasis is given on ethnicity, naturalism, or a closed space within a city in dressing of the escape from space.

  • PDF

1990년대와 2000년 이후 하이 패션에 나타난 그런지 스타일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Grunge style in high fashion of the 1990s and beyond)

  • 권상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22권6호
    • /
    • pp.873-889
    • /
    • 2014
  • The goal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how fashion professionals' attitudes toward Grunge style have changed since the 1990s and to compare aesthetic features of 1990s Grunge style and the style since 2000. By searching Vogue and Women's Wear Daily articles from 1992 to 2014 according to the keyword "Grunge", three collections from the 1990s and 59 collections since 2000 were selected for analysis. Although Grunge collections of the 1990s were harshly criticized by critics and retailers as ugly, the more recent collections have been highly praised for both design and profitability. The common aesthetic features of Grunge style in the 1990s and beyond include loose silhouettes, mix-and-match layerings, plaid patterns, floral prints, and striped patterns. However, Grunge style since 2000 has new features such as ornate fabrics, handcrafted details, a formal and dressy look, and faux plaid flannel shirts in chiffon or organza. These features give the style a more luxurious, feminine, and refined appear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Grunge style of the 1990s changed high fashion beauty standards and today's designers and consumers prefer to mix various styles to create new ones. They typically do not consider the original spirit or identities of the varied styles.

하위문화 맥락에서 본 패션스타일 연구 (Study on the Styles of Subcultural Clothing: from 1930s to 1990s)

  • 양미경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3-45
    • /
    • 2003
  • This is a study that examines the fashion changes in the 20th century in terms of various subcultures in the period. Starting from defining the concept and the developing process of subculture, this study traces the history of subcultural styles from 1930s to 1990s, focusing on the way each generation resisted the main stream through its styles.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a theoretical frame on the understanding of subcultural styles, with a close examination of its formative and developing process and characteristics. This study understands subcultural style as a way of deviate or resistant expression within a society. It differentiates itself from the main style by deliberately and publicly asserting its own identity, and, as a result, realizes in the form of fashion its repressed subconsciousness, resistance to the alienation from the society, and deviation from the normative ethics and morality of a society. The four types of subcultural styles presented in chapter 4 are based on their form of resistance, and they are classified and analyzed as follows: The first type is revision, which tries to revise and change the given form by adding new elements. There are two kinds of revision, one is dressing up, which dresses for success, and the other is minimal dressing. Hyperbole is the second type, which resists by emphasizing or hyperbolizing the main stream with its erotic, nihilistic, or dynamic forms. Two kinds of hyperbole are examined, one is hyperbole of masculinity, and the other is ostentatious hyperbole. The third type is reversal and rejection, which reverses the forms from the established sign system into its own secret code, or rejects the traditional taboos. This type include no dressing, and the reversal of sex identity. Isolation and redrawal is the fourth type, which tries to distance itself from the ritual code of the day. This type is divided into dressing of the escape from time, and dressing of the escape from space. The first group of this type is characterized by nostalgia or futurism. An emphasis is given on ethnicity, naturalism, or a closed space within a city in dressing of the escape from space.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subcultural style puts the foremost importance on individual freedom. Since 1990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ubcultural styles and high fashion gets somewhat blurred, while the liberal, sexual, life stylistic tension between the two groups are heighten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