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악골 과두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2초

하악 이부확장 시 하악골 이동 양상과 응력 분포에 관한 삼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A 3-D finite element analysis on the mandibular movement pattern and stress distribution during symphyseal widening)

  • 이도훈;홍현실;채종문;조진형;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3-30
    • /
    • 2008
  • 하악 이부확장에서 골 절단선의 위치 및 종류와 견인 장치의 종류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삼차원 유한요소법으로 하악골의 이동 양상 및 응력 분포를 조사하였다. 골 견인장치의 종류로는 치아 의존형과 골 의존형, 혼합형, $30^{\circ}$ 기울여 위치한 치아 의존형의 4가지를, 골절단 위치와 방법으로 하악 중절치 간 수직절단과 하악 정중이부를 관통하는 계단식 골절단 등의 2가지를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골절단의 위치 및 방법과 견인장치의 종류에 관계없이 과두를 포함한 하악골의 모든 부위에서 외측방 변위를 보였으며 상하적이나 전후방적 변위는 적은 양이었으나 방향에 있어 군간에 차이를 보였다. 치아 의존형 장치에 의한 골절단면 이개 양태는 V형이었으나 골 의존형 장치는 역V형이고 혼합형 장치는 평행하게 확장되었다. 골 의존형 장치에 의한 하악각의 외측 변위량이 다른 장치에 비해 컸다. $30^{\circ}$ 기울여 위치한 치아 의존형에서의 변위는 측방적, 전후방적 면에서 좌우 차이가 인정되었다.

의정부지역의 악안면 골절에 대한 임상 통계적 연구 (A CLINICAL AND STATISTICAL STUDY OF MAXILLOFACIAL FRACTURE IN THE UIJUNGBU AREA)

  • 김현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1호
    • /
    • pp.63-68
    • /
    • 1991
  • 경기도 북부 지역의 중심인 의정부소재 종합병원인 의정부성모병원과 신천병원에 1988년 3월에서 1990년 8월까지 내원한 총 282명의 악안면 골절 환자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견해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악안면 골절 환자의 성별 발생빈도는 남자에서 4.6:1로 호발하였고 연령별로는 20대(40.4%)가 가장 많고 10대, 30대의 순이었다. 2. 부위별 발생빈도는 하악골이 40.2%로 가장 많았고 관골, 비골, 상악골의 순이었다. 3. 부위에 따른 성별 발생빈도를 살펴보면 하악골에서 남녀비율이 6.2:1이며 관골, 상악골, 비골의 순으로 남자에 호발함을 알 수 있다. 4. 골절의 원인은 교통사고가 42.8%로 가장 많았고 폭력사고, 산재, 낙상 등의 순이었다. 5. 타부위 손상과의 관련성은 두경부(79.0%), 복${\cdot}$흉부, 상하지 순이었다. 6. 하악골 골절에서는 정중부가 33.9%로 가장 많았고 우각부, 과두, 골체부 순이었다. 7. 상악골 골절은 LeFortII type의 골절이 41.2%를 차지했다. 8. 관골부위의 골절은 관골궁을 포함한 골절이 72.5%를 차지했다.

  • PDF

아동의 하악골에 발생한 복합 치아종의 외과적 처치에 관한 증례보고 (DIFFERENT WAYS OF SURGICAL MANAGEMENT FOR CHILDREN WITH CONFOUND ODONTOMA IN THE MANDIBLE)

  • 정우성;최영철;이긍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99-506
    • /
    • 1999
  • 악골에서 비교적 흔한 빈도로 발생하는 치아종은 치배조직의 과성장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치아종을 복잡 치아종과 복합 치아종으로 구분하고 있다. 치아종은 악골내 모든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치아와 유사한 복합 치아종은 비교적 상악 전치부에 호발하고, 불규칙한 형태를 나타내는 복잡 치아종은 하악 구치부에 호발한다. 치아종의 원인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며 치배에 대한 국소적인 외상이나 감염이 주된 요인으로 추측되고 있고, 최근에는 유전적인 원인에 대해서도 연구되고 있으나 아직 확실히 입증되지는 않고 있다. 일반적인 증상이 없기 때문에 일상적인 방사선 검사에서 주로 발견되고 영구치의 맹출지연이나 유치의 만기잔존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다. 치아종은 구강내의 어떤 부위에서도 발생이 가능하고 드물기는 하지만 상악동, 하악의 하연, 하악지 및 하악과두 하방에서 발견되기도 하며, 이공 부위에서 발생되는 경우도 있다. 치아종은 발육중인 치열과 악궁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발견되는 즉시 낭포 및 주위 연조직을 함께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자의 연령과 치과치료에 대한 협조도, 영구치열의 발육상태, 치아종의 악골내 위치 및 동시적인 치과치료가 요구되는 가를 고려하여 외래 진료실에서 하는 경우도 있고 전신마취를 통하여 하는 경우도 있다. 본 증례는 치아종의 악골내 위치가 깊지 않고 치과치료에 대한 협조도가 양호하다고 판단되는 환아에서는 외래 진료실에서 국소마취하에 수술하여 치료하였고, 연령이 어리고 치아종의 악골내 위치가 깊어 장시간의 시술 시간이 요구되고 동시에 보존적인 치과치료가 필요한 환아에서는 전신마취하에 치료한 것을 보고한 것이다. 두 증례에서 수술 4개월 후 외과적 결손 부위에 골이 형성되었고, 매복된 영구치의 맹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백서 하악골의 후방 이동이 과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POSTERIOR DISPLACEMENT OF THE MANDIBLE O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N RATS)

  • 박경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9-36
    • /
    • 1980
  • Inclined plane, one of frequently used orthodontic appliances, may cause posterior displacement of mandible and injure the normal growth of temporomandibular joint. So author carried out the mandibular posterior displacement experimentally induced by inserting inclined plane in the rat inciso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histological reactions occuring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of experimental animals.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posterior displacement of condyle resulted in the widening of anterior synovial space with anterior condylar hyperplasia and posterior condylar atrophy. In addition, tissue changes were more severe in young rats than in adult rats. 2. The tissue reactions were localized only to condylar head ana there were no evidence of traumatic features in young rats. In adult rats, hemorrhage was an additional finding 1 week after experiment. 3. The remodelling processes were accompanied by the increasing or reduction of fibrous layer and subsequent replacement by cartilage layer occured massively and abruptly in young rats, it occured slightly and slowly in adult rats. 4. The remodelling process of injured condyle occured from 1 week to 4 weeks after experiment and completed between 8 weeks after experiment.

  • PDF

안면 비대칭을 보이는 아이의 장기 추적 관찰 : 증례보고 (Long Term Follow-up of Children with Facial Asymmetry: A Case Report)

  • 오윤정;오소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78-385
    • /
    • 2018
  • 하악의 골절은 아이들의 악안면 영역 골절 중 높은 빈도로 발생하며, 성장기의 환자에서 악골의 골절은 성인의 골절과 구별된 처치가 필요하다. 골편의 변위가 심하지 않다면 비관혈적 정복술과 추가적인 악간 고정을 시행할 수 있으며 악관절 강직을 예방하기 위한 기능적 운동이 필요하다. 하악의 골절 이후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과두 골절의 경우, 골절 이환 측에서 성장장애를 일으켜 부정교합과 안면비대칭을 야기할 수 있다. 하악의 골절 이후 성장 장애가 발생한 경우, 환자에 따라 catch-up growth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성장장애가 지속되는 경우엔 안면 비대칭이 심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능성 장치의 사용을 고려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하악의 골절 이후 안면비대칭을 보이는 2명의 환자를 장기적으로 관찰하고 의미 있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하악골 과두하 골절의 이하선 경유 접근법을 통한 관혈적 정복술 증례보고 (Case Report of Transparotid Approach of Mandibular Subcondylar Fracture)

  • 문민철;오석준;고성훈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3-36
    • /
    • 2009
  • Purpose: Fractures of the mandibular condylar area are common injuries that account for 29% to 40% of fractures of the facial bones and represent 20% to 62% of all mandibular fractures. Currently 3 main methods are being used in the treatment of mandibular subcondylar fractures: closed reductio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Endoscopic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Each method has its proponents and opponent as well a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indications for each vary among surgeons. There are six approaches of open reduction: submandibular, retromandibular, preaurilcular, postauricular, intraoral, transparotid approach. Among them, transparotid approach has been described for subcondylar exposure with dissection in the direction of facial nerve fibers to expose the bone through the parotid gland. This approach carries the risk of a parotid glandular fistula as well as facial nerve injury but has the advantage of being directly over the fracture site. We report safety and efficacy of surgical treatment using a transparotid approach for direct plating. Methods: A 43-year-old man sustained multiple facial bone fractures by driver traffic accident. Mandibular subcondyle was fractured and dislocated internally. We performed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by transparotid approach. Fractured site was fixed by titanium mini plate & screw. We applicated arch bar for approximately 3 weeks. Results: Follow-up length was about 5months. Scar of surgical incision was indistinct, there was no symptoms and signs of facial nerve and parotid gland injury, and maximal mouth opening was measured 49.5 mm. Conclusion: Transparotid approach has high risks of facial nerve and parotid gland injury, but paradoxically it is the most effective technique in saving facial nerve.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mandibular subcondylar fracture by transparotid approach with precise and versed procedure, best outcome can be expected.

하악골 과두하 골절 시 후하악접근법 통해 ORIF 시행한 환자들의 술 후 추적조사 (POST OPERATIVE EVALUATION FOR RETROMANDIBULAR APPROACH OF SUBCONDYLAR FRACTURES)

  • 이슬기;송경호;김좌영;송상훈;양병은;최원철;김성곤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3권6호
    • /
    • pp.631-635
    • /
    • 2007
  • Purpose: The classic technique for open reduction of subcondylar fractures is the submandibular approach.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linical result of retromandibular approach to displaced subcondylar fractures. Material and methods: During a period of 24months we perfomed a prospective study with a retromandibular approach in 23 patients with displaced subcondylar fractures. In this article we describe clinical result in 23 patients with follow ups for 3 months after surgery. Preoperatively all patients had malocclusion and radiology demonstrated displacement. Result: The retromandibularl approach for ORIF was good in all case. Mouth opening(M/O) was 49mm. Occlusion was good too. Permanent facial nerve palsy was not detected. Conclusion: Our findings indicate that the retromandibular approach is a safe technique for subcondylar fractures.

이모장치 착용 후 하악 이부의 헝태변화 (Changes of symphysis morphology after chincup treatment)

  • 강선;박동철;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3-41
    • /
    • 2000
  • 성장기 아동에서의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이모장치는 하악골의 후하방 회전 또는 하악골 길이 성장의 억제에 의하여 하악 전돌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에 관한 연구는 하악골 성장의 주요 부분을 담당하는 하악 과두부위와 관련된 것이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장기간 이모장치를 착용하였을 때 구외력이 직접 적용되는 부위인 하악 이부의 형태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전북대학교병원 치과교정과에서 교정치료를 받은 혼합치열기 아동 62명 (이모장치군 32명, 대조군 30명)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규격 방사선사진을 채득하여(치료 또는 관찰기간 평균 2.1년) 계측치 (각도 4개 거리 5개, 비율 2개)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료 후 symphysis height는 이모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군과 이모장치 착용군에서 모두 치료 전보다 증가하였다. symphysis depth는 이모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군에서 치료 후 증가하였으나 이모장치 착용군에서는 치료 전과 차이가 없었다. 특히, posterior symphysis depth가 이모장치 착용군과 대조군에서 모두 감소한 반면, anterior symphysis depth는 대조군에서는 증가하였고 이모장치 착용군에서는 치료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 chin depth와 chin curvature는 이모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군에서는 증가하였으나 이모장치 착용군에서는 치료 후에도 변화를 보이지 않았거나 감소하였다. 대조군에서 chin angle, menton angle, symphysis angle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이모장치 치료군에서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이것은 하악골의 성장에 따라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pogonion 부위의 골침착이 이모장치 착용군에서 chincup의 직접 접촉에 의해서 억제된 결과로 생각된다. 3. 성장기 아동에서 이모장치를 착용하였을 때 하악 이부의 전방 성장 억제에 의하여 치료 전과 유사한 하악 이부 형태가 유지되었으며 이것은 주로 하악 이부의 전방부의 골침착 억제에 의한 결과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60}Co$ 조사가 백서의 하악과두와 하악골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F $^{60}Co$ IRRADIATION EFFECTS ON THE MANDIBULAR CONDYLE AND MANDIBULAR GROWTH IN WHITE RAT)

  • 강태욱;유동수
    • 치과방사선
    • /
    • 제21권2호
    • /
    • pp.165-179
    • /
    • 199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irradiation effects on the mandibular condyle and mandibular growth in developing white rats. Forty eight white male rats of the Sprague-Dawley strain aged 4 weeks, were de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A single target dose of l0Gy of radiation was given to the mandibular condylar area and the observations of the photo analysis, radiologic, histopath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revealed as follows; 1. Animals killed one week after irradiation showed lesser increase in body weights, no difference in photo analysis and decreased thickness of cartilagenous layers of the condyle than the control group. 2. Two weeks after irradiation the weight increases were almost same in both irradiated and control groups and in photo analysis, the distance from Mental Foramen to Incisal tip (Mf-It) was longer than the controls. Repair processes were taken place in irradiated group, but the cartilagenous layers were thinner than the controls. 3. By the third week after exposure further repair was seen in the trabeculae and the distance from Condylion to Mandibular plane (Cd-Cd') was longer than the controls and the weight increases were almost same as the controls. 4. At 4 weeks after irradiation the cells of proliferating zone repaired to almost normal findings, but the cartilagenous cell layers were still thinner than the control animals. In photo analysis, the distances from Menton to Anterior Notch (Me-An), from First Molar to Mandibular plane (Fm-Fm') were shorter and the weight increases were lesser than the controls. 5. In the S-100 antibody, the positive cells were increased in number, but decreased reactivities were seen at the proliferating zone of the irradiated groups. In the Monoclonal Anti-Proteoglycan antibody and Type Ⅰ collagen antibody, the irradiated groups showed little decreased number of positive cells and in the Type Ⅱ collagen antibody, the differences between irradiated and control groups were undetectable in immunohistochemical study.

  • PDF

하악골 과두 골절의 관혈적 정복술과 비관혈적 정복술의 예후에 관한 후향적 연구 (RETROSPECTIVE STUDY FOR PROGNOSIS AFTER OPEN AND CLOSED REDUCTION OF THE MANDIBULAR CONDYLE FRACTURES)

  • 김병수;이재훈;김철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7권4호
    • /
    • pp.372-380
    • /
    • 2005
  • Condylar process of mandible, has the specialized anatomic structure compared with any other body structure, acts directly in connection with mastication and speech and so on. In general, mandibular condyle fractures have been managed by two methods as open and closed reduction. But, there are no reasonable consensus about the proper management of this injury. This study was designed for analysis of the prognosis of two methods of treatment, open and closed reduction, with positional change of fractured condyle and complications within 6 months post-intermaxillary fixation period.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154 patients whose unilateral mandibular condyle fractures were treated by open or closed reduction in our department. The horizontal, sagittal, and coronal change of the condyle was examined using modified Towne's and panoramic radiographs before intermaxillary fixation(IMF), immediately after IMF, and at 6 months after IMF. Patients, whose mandibular condyle fractures were treated by closed reduction, had significantly shorter ramus height on the side of injury(P<0.05). But, fractured condylar fragments were displaced insignificantly with aspect to sagittal and coronal plane(P>0.05). The level of the fracture influenced the ramus length and the degree of coronal change in the closed reduction group(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level of the fracture, treatment methods and complications(P>0.05). From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fractured mandibular condyles, were treated by closed reduction, had a tendency that continuous condylar displacement was occurred with aspect to horozontal and coronal plane in treatment period including intermaxillary fixation. And then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the fracture and the position change in close reduction group statistically. These result suggested that care must be taken in basing treatment decisions on the degree of displacement of the condyle and in treating the mandibular condyle fractures for a long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