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수방류수

Search Result 27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velopment of a reuse system for agricultural purpose with wastewater in Youljung, Jeju Island (제주 월정 농업용수재이용시스템 개발)

  • Lee, Kwang-Ya;Kim, Hae-Do;Joo, Jin-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70-470
    • /
    • 2011
  • 환경부 하수재이용사업은 2007년도 하수도법 개정을 통해 공공하수처리시설 처리수의 재이용 의무화를 시작으로 2010년도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의 시행으로 전국적으로 사업이 확대되고 있다. 제주도 월정하수처리장은 2009년도 하수재이용사업지구로 선정이 되어 2010년도부터 농업용목적의 재이용으로 구체적인 설계와 시공이 추진되고 있는 사업지구이다. 제주도에서는 지하수보존을 위해 대체수자원 개발 방안을 시급히 마련중에 있다. 특히, 제주도 농업용수 종합계획수립(제주도, 2004)에는 하수처리수를 농업용수로 이용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할 정도로 지하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진행중에 있으며, 그 일환으로 하수재이용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은 사용된 물을 재이용함으로써 물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유역 또는 해양으로 배출되는 오염원을 억제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농산물 생육에 직접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주변의 수질 생태 토양 환경 및 영농인의 보건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찰과 검증작업이 필요하다. 이 에 서울대와 한국농어촌공사는 안전한 농업용수 재이용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장기간 현장시험을 통해 재이용 재배기술과 함께 보건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고 그 개발기술을 월정사업지구에 적용하게 되었다. 월정하수처리장이 위치한 제주 동부의 월정지역은 농지면적이 밭(374ha)과 과수(12ha)등 제주도의 전형적인 농촌마을으로 주요 재배작물은 마늘과 당근, 쪽파, 콩 등으로서 농업기반시설의 미비로 영농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으며, 2006년도에 발생한 가뭄으로 그 해 평균 수학량의 30%가 감소된 바 있는 지역이다. 제주도 농업용수 종합계획수립(2004, 제주도)에서는 10년에 한발을 기준 으로 $43,000m^3$/일의 용수가 부족할 것으로 분석하였으며 최근 $35,000m^3$/day 규모의 상수도 확보사업 계획 수립하였으나 여전히 농업용수가 부족하다. 방류수의 수질은 방류수수질기준을 만족하지만 염분함량이 높아 직접 농업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당하기 않고, 농업용재이용방류수 수질기준에 맞도록 재이용시스템을 통해 재처리하여 농업용수로 사용해야 한다. 제주도에서는 이미 제주 서부하수처리장 농업용수 재이용사업(이하 판포재이용사업)'이 완료되어 재이용수를 농업용수로 공급하고 있으며 향후 지속적으로 하수재이용사업이 확대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airflow control technology for Korean-type bioreactor based on influent water quality (유입수질 기반 한국형 생물반응조 송풍량 제어 기술 개발)

  • Yeo, Wooseok;Woo, Jea Suk;Song, Dong Hoon;Shin, Sung Bok;Kim, Jong 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88-388
    • /
    • 2022
  • 하수처리 공정 중 생물반응조에서는 미생물의 산화 반응을 통해 하수 내 각종 유기물들을 처리하고 있다. 블로워는 호기조를 유리산소상태로 만들어 미생물들의 유기물 제어, 질산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하수처리장에서는 유기물을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과도하게 블로워를 가동하고 있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문제를 겪고 있다. 블로워를 통해 수중에 산소를 부족하게 공급할 경우 활성슬러지의 침전성이 저해되어 방류수 수질이 저해되는 반면, 용존산소가 과도하게 공급되어도 유기물질의 처리 효율은 증대되지 않으며 잉여용존산소는 대기 중으로 방류된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 하수처리장에서는 강화된 방류수 수질 기준을 만족하기 하고자 유입수질에 관계없이 과도하게 송풍기를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하수처리장의 운영 및 경제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수질을 처리하는 데 실제로 미생물이 필요한 산소요구량 및 공기공급량을 산정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하수처리장에서 필요한 산소요구량, 공기공급량을 산출하여 효율적인 하수처리장 운영이 가능하다. 실제 하수처리장에서의 프로그램을 통한 송풍량 절감 효율을 분석하고자 한 달간의 A 하수처리장 수질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수처리에 필요한 산소요구량 및 공기공급량을 산정하였다. 실험 결과 프로그램 적용시 약 평균적으로 10%의 송풍량을 절감이 가능하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송풍기 운영조건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Effect of antibiotic resistant factors in effluent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on stream (하수처리장 방류수에 존재하는 항생제 내성인자가 하천에 미치는 영향)

  • Jang, Yejin;Yoo, Yong-Jae;Sul, Woo Jun;Cha, Chang-Jun;Rhee, Ok-Jae;Chae, Jong-Chan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53 no.4
    • /
    • pp.316-319
    • /
    • 2017
  • The antibiotic resistant genes (ARG) and mobile genetic elements (MGE) were investigated with the effluent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WWTP), and river waters of upstream and downstream in order to elucidate the effect of effluent on antibiotic resistance in a natural river. Total numbers of 134~183 of ARG and MGE were detected and the abundance of ARG and MGE was 0.063~0.422 copies per one of 16S rRNA gene in three water samples. Effluent sample contained the highest amount of the total number and abundance of ARG and MGE whereas total viable cells were observed in the lowest amount among the three samples. This indicated that the genes were originated from cells died during th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In addition, the co-relationship of abundance between ARG and MGE suggested that acquired resistance was a prevalent mechanism among the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existing in WWTP.

Optimal Condition of TOC Removal Parameter for Sewage Effluent using Electrolysis Process (하수방류수 내 TOC 제거를 위한 전기분해공정의 최적 조건)

  • An, Sang-Woo;Jung, Hyuk-Sang;Lee, Hui-Kyung;Ko, Jun-Geol;Myoung, Dae-Wo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8 no.4
    • /
    • pp.23-29
    • /
    • 2017
  • As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Environmental Policy Act was revised in 2013, Total Organic Carbon (TOC) was added as an indicative parameter for organic matter in Water and Aquatic Ecosystem Environmental Criteria. Under these imminent circumstances, a regulatory standard is needed to achieve the proposed TOC limitation control water quality from the STP (Sewage Treatment Plant). In this study, a electrolysis utilizing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was investigated in lab-scale experiments for the treatment of TOC in sewage effluent. TOC reduction by a electrolysis was investigate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using the Box-Begnken methods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results. A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electrode space ($x_1$), current density ($x_2$) and electrolyte concentration ($x_3$) on the dependent variables removal efficiency of TOC (y). The optimal conditions for electrolysis were determined: electrode space, current density and electrolyte concentration were 50 mm, $10.3mA/cm^2$ and 0.1M, respectively. Statistical results showed the order of significance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to be electrode space > current density > electrolyte concentration.

A Tracer Study on Mankyeong River Using Effluents from a Sewage Treatment Plant (하수처리장 방류수를 이용한 추적자 시험: 만경강 유역에 대한 사례 연구)

  • Kim Jin-Sam;Kim Kang-Joo;Hahn Chan;Hwang Gab-Soo;Park Sung-Min;Lee Sang-Ho;Oh Chang-Whan;Park Eun-Gyu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1 no.2
    • /
    • pp.82-91
    • /
    • 2006
  • We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using effluents from a municipal sewage treatment plant (STP) as tracers a tracer for hydrologic studies of rivers. The possibility was checked in a 12-km long reach downstream of Jeonju Municipal Sewage Treatment Plant (JSTP). Time-series monitoring of the water chemistry reveals that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effluent from the JSTP are fluctuating within a relatively wide range during the sampling period. In addition, the signals from the plant were observed at the downstream stations consecutively with increasing time lags, especially in concentrations of the conservative chemical parameters (concentrations f3r chloride and sulfate, total concentration of major cations, and electric conductivity). Based on this observation, we could estimate the stream flow (Q), velocity (v), and dispersion coefficient (D). A 1-D nonreactive solute-transport model with automated optimization schemes was used for this study. The values of Q, v, and D estimated from this study varied from 6.4 to $9.0m^3/sec$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reach), from 0.06 to 0.10 m/sec, and from 0.7 to $6.4m^2/sec$,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luent from a large-scaled municipal STP frequently provides good, multiple natural tracers far hydrologic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