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부 부착구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4초

CRS의 부착방식에 따른 어린이 탑승자 안전도 비교 (Child Occupant Safety According to the ISOFIX Type of CRS)

  • 이재완;윤영한;박경진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86-93
    • /
    • 2003
  • These days, automobile industry pays considerable attention to child occupant safety. As the US adopted requirements for universal and uniform anchor systems for child restraints, manufacturers for child seats put an enormous effort to improve the protective properties of Child Restraint System (CRS). Various standards have been studied and announced by different countries. The anchorage system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CRS and the rules of universal anchor are to provide devices which are independent of safety belts. A new concept called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Fixture (ISOFIX) has been announced. It suggests some designs for the CRS. In this study, the suggested designs are evaluated with domestic products. Tests are performed and the results are incorporated into a finite element modeling process. As the finite element model is established, various numerical tests are conducted and the numerical results are discussed. A commercial software system is utilized for the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부착식 앵커의 인발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Pull Out Characteristics of Adhesive Anchor)

  • 유성원;정상화;곽기석;이주형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3A호
    • /
    • pp.555-563
    • /
    • 2006
  • 최근 많은 교량들이 점증하는 교통량에 의해 상부슬래브 폭이 부족해지거나 침식으로 인해 하부구조가 구조적으로 취약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 경우 상부슬래브나 교각을 확장하여 보강하는 것이 경제적이기 때문에 실험 자료와 현장의 시공경험 등을 통해 적절한 교량의 확장방안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부착식 앵커를 사용하여 교량의 하부구조를 보수 보강하는 경우 신 구 콘크리트의 일체성 확보와 관련된 기존 실험자료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이에 따라 부착식 앵커를 사용하여 구조적인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한 실험적인 연구가 매우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부착식 앵커를 사용할 경우의 인발 및 전단 특성을 실험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착길이, 앵커직경 및 앵커경사를 포함한 다양한 실험변수를 가진 시편을 제작하여 인발 및 전단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부착길이가 길어지고 앵커직경이 커질수록 부착력은 증가하고 부착강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앵커경사가 커질수록 부착력 및 부착강도가 증가하지만 경사가 $5^{\circ}$ 이상인 경우 경사에 의한 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단실험을 통해서는 앵커직경이 D19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론적으로, 향후 모델실험을 포함한 관련 자료의 축적이 이루어지는 경우 본 연구에서 수행한 실험 자료와 함께 부착식 앵커를 사용하여 보강된 신 구 콘크리트의 일체성을 확보하는데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넓은 좌우 허용편차를 갖는 EV 정차중 무선충전용 급집전코일

  • 허진;이우영;이성우;조규형;조정구;임춘택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4-55
    • /
    • 2010
  • 전기자동차 무선충전시 문제점이었던 전후, 좌우, 상하 허용편차를 실용화 가능한 수준으로 향상시킨 새로운 형태의 자기유도방식 급집전코일을 제안하였다. 바닥에 설치되는 급전코일은 넓게 하여 전후 및 좌우 허용편차를 크게 하였고, 차량 하부에 부착되는 집전코일은 작게 하여 경량화했다. 또한, 주변효과(fringe effect)를 이용하여 상하 편차영향을 둔감하게 했다. 그 결과 출력전압이 3dB 감소하는 허용편차가 좌우 30 cm, 전후 10 cm 이상인 급집전코일 특성을 얻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급집전코일을 시뮬레이션하고 출력전압 및 EMF 실험을 통해 기대했던 우수한 성능을 실제로 확인하였다.

  • PDF

무스카리(Muscari armeniacum 'Early Giant')의 화경 조직으로부터 신초형성과 구형성에 미치는 생장조절물질의 영향 (Effect of Plant Regulators on Direct Shoot Formation and Bulblet Formation from Flower Stalk Culture of Muscari armeniacum 'Early Giant')

  • 전수민;정미영;김창길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9권
    • /
    • pp.21-27
    • /
    • 2011
  • 화경을 상, 중, 하부로 나누어 신초 및 자구를 유도하기 위하여 NAA와 몇 종류의 cytokinin 첨가 배지에서 각 부위별 화경 절편체를 배양해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화경 조직에서 상부, 중부, 하부 중 소화경이 부착된 상부조직에서 다아체 및 자구 형성이 전반적으로 가장 양호 하였다. 다아체 형성은 NAA $0.1mg{\cdot}L^{-1}$와 TDZ $1.0mg{\cdot}L^{-1}$ 혼용배지에서 가장 효율적이었고 자구 형성은 NAA $0.01mg{\cdot}L^{-1}$와 kinetin $0.1mg{\cdot}L^{-1}$ 또는 NAA $0.01mg{\cdot}L^{-1}$와 kinetin $0.2mg{\cdot}L^{-1}$ 혼용배지에서 가장 효율적이었다. 온실에서 순화된 식물체는 정상적으로 개화하였으며 재식 2년차에 1.5개 내외의 자구를 가진 구를 생산할 수 있었다.

  • PDF

계측에 의한 강거더교의 온도분포 특성 (Characteristics 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Steel Girder Bridge by using Gauge Measurement)

  • 이성행;정진환;김경남;함형길;정경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283-294
    • /
    • 2011
  • 강재 거더교의 다이아프램과 상 하부 플랜지에 부착된 온도게이지의 값을 측정하여, 온도 분포와 시간적 변화를 검토하고, 도로교 설계기준과 비교하였다. 또한 측정 자료를 기초로 하여 일일 기온, 일 최고기온, 일 최저기온에 대한 교량 부재온도와의 상관관계를 각각 분석하여 회귀분석식과 신뢰도를 나타내는 상관계수를 산정하였다. 구조해석에서는 대상교량을 3차원 전체모델링을 수행하고, 실제의 온도 측정 자료를 기반으로 한 온도 하중을 부과하여 계산된 온도 응력값과 시방 규정상의 온도하중에 의한 단면력을 서로 비교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 구해진 대기 온도분포와 강교량 부재 온도 상관관계로부터 상하 플랜지의 온도차를 예측할 수 있고 이 결과를 이용하면 설계 시 신뢰성 있는 부재의 온도하중을 산정할 수 있어, 추후 강합성교량의 온도 영향 평가에 있어서 기초적 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감자절간배양에서 마디위치 및 잎의 부착유무에 따른 소괴경형성의 차이 (Influences by position of node and existence of leaf on microtuberization in node culture of potato)

  • 황혜연;이영복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5권1호
    • /
    • pp.63-68
    • /
    • 2008
  • 감자의 마디배양에서 이식하는 마디의 위치에 따라 기내 소괴경 형성에 미치는 차이와 배양하는 마디조직체에서의 잎의 유무가 기내소괴경의 형성에 미치는 온도, 일장 및 CCC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마디의 위치에 따른 감자의 생육에 있어서는 초장, 생체 중, 직경, 마디수는 물론 괴경형성에 있어서도 정단부위가 하부부위보다 양호하였다. 액아의 부위에서 형성된 소괴경의 직경에 있어서는 정단부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큰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괴경의 생체중은 정단부위의 액아에서 형성된 괴경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고 다른 마디에서는 개체간의 큰 차이가 없었다. 잎의 부착 유무와 온도와 일장에 따른 괴경형성에 있어서는 잎이 부착된 마디를 $20^{\circ}C$의 단일조건에서 배양할 때 양호하였으나, 고온에서는 괴경형성이 일장에 관계없이 저조하였다. 잎이 부착되지 않은 마디에서의 괴경형성은 저온과 고온 모두 단일조건에서 양호하였다. CCC처리에 의한 효과에 따른 감자의 생육에 있어서 초장, 생체중, 직경, 마디수는 CCC를 첨가한 배지에서 양호하였고 특히 일장 처리가 길어질수록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괴경형성을 촉진시키는데 일장이 짧을수록 양호하였고, CCC를 첨가한 배지에서 양호한 효과를 보였다.

통발어구의 어획기구 및 개량에 관한 연구 3. 그물통발유에 대한 붕장어의 행동 (Fishing Mechanism of Pots and their Modification 3. Behavior of Conger Eel, Astroconger myriaster, to Net Pots)

  • 김대안;고관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8-244
    • /
    • 1990
  • 본 실험에서는 민꽃게 대상의 그물통발들을 붕장어에 그대로 적용하여 수조실험을 행한 결과, 붕장어의 대통발 행동에 관한 다음의 몇 가지 특성을 얻었다. 1) 붕장어의 통발접촉수는 통발 투하후 급격히 증가하여 주로 30분 이내에 최대치를 보였다가 차차 감소하였고, 입롱도 통발 투하후 30분 이내에 주로 일어났으며, 입롱이 일어나면 접촉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보였고, 입롱이 빨리 일어날수록 최대접촉수도 빨리 나타났다. 또한 이들 결과는 전보의 대통발$\cdot$플라스틱통발에 대한 조사결과와 거의 일치하였다. 2) 통발에 접촉한 붕장어는 미끼냄새가 나는 곳을 향하여 주로 통발의 하부를 파고 들었으며, 통발과 수조바닥사이를 파고들어 미끼를 구 할려는 것도 전체 접촉수의 $10\~35\%$나 되었다. 3) 붕장어의 입롱과 출롱은 입구가 하부에 난 통발일수록 쉬웠다. 4) 통발의 평면형상이 원형인 것은 통발내외에서 붕장어가 입구 또는 출구에 도달하는 기회는 많았으나 그것을 지나쳐버리는 일이 많았고, 사각형인 것은 입구 또는 출구에 도달하는 기회는 적었으나 그곳에 도달하면 쉽게 입롱 또는 출롱 하였다. 5) 붕장어의 완전한 입롱은 꼬리의 입구통과로 결정되었고, 입롱시도후 도피한 개체수는 입구로부터 미끼까지의 거리가 짧은 통발에서 많았다. 6) 입구끝이 통발내로 휘어져 들어간 것은 입롱한 붕장어의 출구발견을 어렵게 하였고, 통발천의 하부에 구석이 만들어진 경우는 통발내의 붕장어가 그곳을 계속적으로 쪼으면서 정체되는 행동을 보였다. 7) 입구끝에 혀그물이 부착되어 있으면 입롱시도후 도피한 개체수가 많아지고 입롱도 나빠지나, 일단 입롱한 것은 전혀 출롱치 못하였다.

  • PDF

천식환자의 기도내 Cytokines 표현에 대한 연구 (The Expression of Cytokines in the Airways from Patients with Bronchial Asthma)

  • 어수택;정성환;이상무;김현태;김용훈;박춘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1호
    • /
    • pp.1-10
    • /
    • 1995
  • 연구배경: 기관지 천식은 기도의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기관지 천식의 병인에 림프구의 "활성화"가 주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들 림프구중 TH1 림프구보다 TH2 림프구의 활성화가 아토피 천식환자의 기도에서 증명된 바 있다. 하지만, 아토피 정상인과 아토피 천식환자 사이의 cytokine 발현 차이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방법: 아토피 혹은 비아토피 천식환자 각각 6명, 아토피성 정상인, 비아토피성 정상인 각각 6명을 대상으로 기관지 조직을 획득하여 동결절편으로 in situ hybridization을 시행하였다. 사용된 cytokine은 IL-4, IL-5, INF-$\gamma$와 IL-2 였으며, probe의 제조는 random priming을 이용하여 digoxigenin을 부착시켜 사용하였다. 결과: 기관지 천식 환자의 기관지 조직은 상피세포의 탈락이 관찰되고 림프구를 포함한 다양한 염증 세포의 침윤이 기저막 하부에서 관찰되었다. 기관지 조직에서의 음성 대조군으로 RNase를 처리한 경우는 갈색의 음영이 관찰되지 않으나, RNase를 처리하지 않는 조직은 기저막 하부의 염증세포에서 갈색의 음영이 관찰되었다. 정상 대조군 6예 중 IL-2는 2예, INF-$\gamma$; 1예, IL-4;2예, IL-5는 2예에서 각각 관찰되었고, 아토피 대조군은 IL-2 1예, INF-$\gamma$;1예, IL-4와 IL-5는 한 예에서도 관찰되지 않았다. 아토피성 기관지 천식군 6예에서 IL-2는 4예, IFN-$\gamma$; 2예, IL-4; 4예, IL-5는 4예에서 관찰되었으며, 비아토피성 기관지 천식군에서는 IL-2 4예, IFN-$\gamma$;1예, IL-4; 3예, IL-5; 3예가 관찰되었다. 결론: 기관지 천식환자의 기관지내의 림프구는 활성화되어 있고, 아토피성 기관지 천식환자의 병인에 TH2-like 림프구가 관여할 것으로 추측되지만, 일부 아토피성 정상인에서의 기관지에서도 TH2-like 림프구가 활성화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추후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이용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경기도 수원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이후 식생변화 연구 (The Change of Riverside Vegetation by Construction of Ecological Stream in Suwoncheon, Gyeonggi Province)

  • 최일홍;한봉호;기경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23-734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 초기 생태하천 조성사업인 수원천을 대상으로 조성 후 10년간의 식생변화를 분석하고 생태하천의 식생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구간은 1차 복원사업 구간인 경기교~영연교 구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지형구조에 따라 3개 조사구를 설정하고 횡단면 지형구조, 식생분포현황과 초본식물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하천 횡단면 지형구조 분석결과 하천 전체 폭 26.5~28.0m, 저수로 10~20m이었다. 친수공간 조성지역은 넓은 둔치를 확보하고 있었고 보 상부 저수지역은 물 흐름이 완만하고 수심이 비교적 깊은 상태였으며 보 하부 여울지역은 저수로 폭이 넓고 여울을 형성하고 있었다. 식생구조 분석결과 현재 식재종은 9종이었고 조성당시 식재한 종 중 남아있는 종은 버드나무, 갈대, 잔디, 토끼풀 등 6종이었다. 둔치지역은 조성 당시 파종한 종 중 잔디와 토끼풀 2종만이 남아있었고 금번 조사 시 관찰된 신규 식재종은 큰김의털과 오리새 2종이었다. 식재종 이외에는 자연발생종으로 강아지풀과 쑥 등 건조지성 초본이 세력을 형성하고, 귀화종이 15종으로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호안지역은 조성 당시 자연석 쌓기 공법을 적용하고 버드나무, 돌단풍과 바위취 등을 식재하였으나 현재는 식재종이 모두 사라진 상태로 쇠뜨기와 환삼덩굴 등에 의해 피복되어 있었다. 이는 생태하천 복원 당시 유지관리상의 이유로 콘크리트 기초 위에 자연석을 부착하여 식물생육 기반이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저수로는 친수공간 조성지역에 조성 당시 부들, 창포 및 갈대 등 습지성 식물을 식재하였으나 현재 버드나무, 갈대와 줄만이 남아 있었고 보 상부 저수지역과 보하부 여울지역에는 갈대와 줄이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자연발생종으로는 고마리가 주로 우점하였고 보 하부 여울지역에서 환삼덩굴이 일부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다. 수원천의 식생관리는 친수공간 조성지역은 이용자를 고려한 식생관리 측면에서 양호한 하천식생경관의 연출이 필요하여 이를 위해 물억새를 군락으로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보 상부 저수지역은 줄, 부들과 갈대 등을 수심에 맞게 보완 식재가 필요하였다. 보 하부 여울지역은 갈대, 고마리 등 습윤지성 자생종이 안정적으로 세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환삼덩굴의 지속적 관리가 필요하였다.

Ixodes signatus 약충(若蟲)의 생리학적(生理學的) 주요(主要) 감각기관(感覺器官)에 대(對)한 주사전자현미경적(走査電子顯微鏡的) 관찰(觀察)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n Ixodes signatus Nymph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Major Physiological Sensory Organs)

  • 강영배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45-154
    • /
    • 1988
  • 제주도 남제주군 성산읍 성산리 성산일출봉 부근에서 생포된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 보호조인 흰꼬리 수리로 부터 Ixodes signatus 약충을 채취하여 생리학적(生理學的) 주요감각기관(主要感覺器官)에 대(對)한 표면미세구조(表面微細構造)를 주사(走査)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으로 관찰(觀察)하였든 바, 영상관찰(映像觀察) 및 사진분석(寫眞分析) 결사(結査) 얻어진 소견(所見)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충체(蟲體) 배면(背面) 및 복면(腹面)에 대(對)한 관찰(觀察)에서 지문상(指紋狀)의 수많은 표면(表面)주름과 다양(多樣)한 크기의 강모(剛毛)들을 볼수 있었으며, 특(特)히 구기부(口器部)에 있어서 크고 잘 발달(發達)된 강모(剛毛) 또는 강모군(剛毛群)을 확인(確認)할 수 있었다. 2. 복면하부(腹面下部)의 항문(肛門)과 항문(肛門)주위에 위로부터 아래로 뻗어내린 항문구(肛門溝)가 뚜렷이 패여져 있었으며 1쌍(雙)으로된 항문엽(肛門葉)에는 각각(各各) 3개씩의 감각성(感覺性) 강모(剛毛)가 위치(位置)하고 있음을 확인(確認)하였다. 3. 측면(側面)에 부착되어 있는 기문판(氣門板) 관찰(觀察)에서 중앙부(中央部)에 단추모양의 구조물(構造物)이 있었으며 변연부(邊緣部)에는 수많은 기공(氣孔)들이 뚫려 있음을 확인(確認)하였다. 4. 사지(四肢)에 대(對)한 관찰결과(觀察結果), 기절(基節)의 외측돌기(外側突起)가 특징적으로 관찰(觀察)되었으며, 각(各) 마디 표면(表面)의 많은 강모(剛毛)와 제1지(第1肢)의 부절에서 화학수용기(化學受容器)의 기능(機能)을 갖고 있는 홀러씨 기관(Haller's organ)을 관찰(觀察)하였다. 5. 타원형(楕圓型)으로 열려있는 홀러씨 기관 주변에서 2종류(種類) 크기의 강모군(剛毛群)을 관찰(觀察)할 수 있었으며, 기관내부(器官內部)에는 갈쿠리 모양의 돌출형(突出型) 감각성(感覺性) 간상체 7개가 정렬되어 있음을 확인(確認)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