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도지형변화

Search Result 16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he Temporal Changes of Channel Section in Naeseongcheon River, Kyeongbuk Province (경북 내성천 하도 단면의 시계열적 변화)

  • Lee, Gwang-Ryul;Kim, Dae Sik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8 no.2
    • /
    • pp.53-63
    • /
    • 2011
  • The changes and causes of channel section in Naeseongcheon River, a tributary of Nakdong River, during the long(1984~2001) and short(2009~2011) periods are analyzed. There are the declines of channel height with a maximum of approximately 2m in the most areas of the lower reaches during the past 20 years. These are thought as the influences of active aggregate collections and river dredging. The size of sand bar within the channel at the NM1 decreases greatly during the past 2 years. This may results from the decrease of sediment supply due to the Yeongju Dam construction in the upper reaches. However, the NM2 and NL2 where the natural channel are preserved experience the slight increase of height during the past 2 years. Therefore, the anthropogenic channel interferences in Naeseongcheon River have greatly influenced on the declines of channel height by the decrease of sediment supply.

A Study of the Geomorphological Process and Vegetation Distribution of Sand-bars on the Tan-cheon River (탄천 하도사주의 지형 형성과정과 식생분포 연구)

  • Choi, Mi-Kyoung;Lee, Sam-Hee;Choi, Jung-Kw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7 no.6
    • /
    • pp.96-105
    • /
    • 2010
  • This study identified the dynamic process of sandbar and vegetation distribution of the sandbar on the Tan-cheon River. The study area is located in the lower reaches of the Tan-cheon River that has been managed as an Ecosystem Reserve Area since 2002. For the study, the geomorphological process was analyzed through mapping analysis using a satellite image followed by analysis of the vegetation distribution through an on-site surve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First, In the fluvial geomorphic process, various kinds of sandbars were developed in 1990s,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changing continuously. Second, In the distribution of vegetation on the sandbar, the sandbar shore was covered with bare sand substrate or intermittent annual vegetation because of the periodic fluctuation of the water-level due to intensive disturbance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ndbar formation and vegetation, four types of sandbars were classified: channel-shore stable bar, channel-shore unstable bar, mid-channel stable bar and mid-channel unstable bar, according to the fluvial disturbance & vegetation process. The study verifies that the vegetation distribution is reciprocally related to the geomorphological process. Accordingly, it is meaningful in the selection of plant species and the planting area of the sand bar. However, it is limited to the planting guidelines on river restoration projects. More diverse on-site experimental studies should be conducted.

하천환경변화에 관한 연구대상지역 평가 및 선정

  • Lee, Seung-Yoon;Jang, Chang-Rae;Lee, Kwa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607-611
    • /
    • 2007
  • 최근 하천변화특성에 대한 조사와 연구 없이 무분별한 하천준설로 인하여 급격한 하천지형 및 환경변화에 따른 하도의 평형, 홍수범람, 하천환경의 변화 등 이수, 치수 및 하천환경에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준설에 따른 하천의 인위적인 손상과 이와 연관된 각종 유역 및 하천의 지배인자와의 상호연관성에 대한 학술적 고찰을 통하여 인위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 국내 하천환경에 맞는 하천관리모델과 준설기법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ulcorner$하도준설에 따른 하천교란 실태 조사$\lrcorner$의 일환으로 기초조사 및 후보지 현장조사 등을 통한 연구대상구간 선정을 위한 계획으로서 기 수행된 골재자원 조사결과 및 하천조사 자료 등의 관련자료 활용을 통하여 최대한 효율적으로 조사를 수행하고 최상의 연구결과 획득과 관련분야의 기술력확보를 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우선, 연구대상구간 선정기준(안)을 마련하고 후보지에 대한 기초조사 및 현장조사를 마친 후, 선정기준에 따라 연구내용을 최대한 만족시키는 연구대상 구간을 8개 후보지역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하천준설을 수행해 나가며 그 전 중 후의 과정을 모니터링 하여 하상변동 및 생태 환경의 변화를 관찰하고 하천환경 및 물리적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연구결과를 얻기 위한 과업대상구간의 선정에는 하도준설이라는 연구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특화된 선정기준에 따른 평가결과, 많은 후보지들 중 낙동강수계의 감천이 최적의 대상지로 선정되었다.

  • PDF

Analysis of bed change based on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channel cross-sections (유로 단면의 기하학적 특성을 이용한 하상변화량 분석)

  • Ko, Joo Suk;Lee, Kyungsu;Kwak, Sunghyun;Lyu, Siw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12
    • /
    • pp.1097-1107
    • /
    • 2020
  • A methodology has been proposed to understand the spatiotemporal changes of the river topography through the longitudinal change of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cross-sections and the properties related thereto.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of the riverbed was obtained through the detailed bathymetry survey using an acoustic echo sounder for the reach from Gumi Weir to Chilgok Weir in the Nakdong river. Geometric informations for the reference sections were extracted using the acquired bathymetry survey data. By comparing the geometric properties for the reference sections, it was possible to catch the top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ts changes over a reach of the channel. Through comparison with past survey data, it was also possible to quantitatively grasp the amount of change in cross-sectional area and volumetric change of riverbed. It is expected that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river topography changes will be possible by applying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Experimental Study on Effects of Levee Breach Width and Duration Time on Floodwave Behavior in Floodplain (하천제방 붕괴폭과 붕괴지속시간이 제내지 범람홍수파 거동에 미치는 영향 검토 실험)

  • Yoon, Kw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281-1285
    • /
    • 2006
  • 하천제방 붕괴시 홍수파가 제내지에서 거동하는 양상을 파악하는 것은 홍수피해를 저감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실제 제내지에서의 범람형태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은 제내지 지형 및 구조물과 초기 제내지범람상태, 하도형태, 홍수수문곡선, 제방붕괴시 붕괴면 경사 및 붕괴시간 등 많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제방붕괴폭과 붕괴지속시간에 따른 홍수파의 형태, 유속, 수심, 방향 등의 일반적인 법칙성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실험수조의 전체 크기는 가로 30m, 세로 30m이며, 수조 내부에 제내지, 제방, 하도를 제작하였다.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도는 폭 5m, 길이 30m이며, 제내지는 폭 28m, 길이 24m이다. 하도와 제내지의 하상은 수평이며, 시멘트 모르타르로 표면을 처리하였다. 제방붕괴 재현장치는 최대붕괴폭 4m, 높이 0.6m가 되도록 하였으며, 하도의 중간지점에 설치하였다. 하도에서의 초기수심은 $h_o$이며, 제내지는 건조상태이다. 제방붕괴장치의 개방속도는 $0{\sim}18cm/sec$범위에서 조정이 가능하다. 실험결과, 제방붕괴폭과 제방붕괴지속시간은 제내지에서의 홍수파 전면(wave-front)의 이동속도와 제내지에서의 시간별 수심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내지에서의 최대수심은 제방붕괴폭과 제방붕괴 지속시간에 의한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alysis of geomorphic changes and adjustment processes of alluvial rivers by low head weir (하도구조물에 의한 하도의 변화 및 적응과정 분석)

  • Jang, Chang-Lae;Kim, Gi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9-1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실내실험을 통하여 보의 경사변화에 따른 흐름특성과 보 상류에서 유사의 퇴적과정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보 하류에서 세굴 및 지형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보의 설치각도가 커질수록 보에 의항 굴절되는 유선의 각도가 증가하며, 하류에서 수충부가 형성되고 사수역의 크기가 증가한다. 즉, 보의 길이 대 수로 폭의 비로 정의되는 무차원 수로폭이 증가할수록 무차원 유효길이는 감소하였다. 보 상류에서는 보에 의하여 형성된 배수의 영향이 끝나는 지점에서 delta가 형성되며, 보 하류에서는 흐름이 집중되어 보 직하류 하상은 세굴되고 반대쪽에서는 이동성이 없는 교호사주가 형성되었다. 또한 충부에서는 깊게 세굴되었으며, 보의 설치 각도가 커질수록 수충부가 집중되면서 깊게 세굴되고, 세굴범위는 좁게 나타났다. 무차원 하상고가 증가할수록 유속과 delta의 이동속도의 비인 무차원 속도는 감소하며, 무차원 보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무차원 사주의 파장이 감소하였다. 무차원 보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보에 의하여 굴절되는 흐름의 각이 크므로, 흐름이 집중되어 하상이 깊게 세굴되고 무차원 사주의 파고가 증가하였다.

  • PDF

Analysis of bankfull discharge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generation of bankfull discharge for bed change simulation (만제유량 특성 분석 및 하상변동 모의를 위한 유량의 배분/생성)

  • Lee, Woong Hee;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70-70
    • /
    • 2015
  • 하천에서의 수문/수리적 특성은 주수로의 다양한 지형학적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흐름과 수반된 유사량의 변화는 하천의 지형학적, 수리기하적 특성을 지배하며, 하도의 물리적 시스템을 변화시켜 동적 평형에 이르게 된다. 하천에서 하도 형성에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수리특성은 하도형성유량으로 지배유량이며, 보통 만제유량을 사용한다. Dunne and Leopold(1978)는 만제유량을 유사의 이송, 하천의 사행, 유선형의 변화 등 하천의 일반적인 형태를 변화시키며, 주수로의 특성을 형성하는 유량으로 정의하였다. 이와 같이 수리 지형학적 특성을 반영하는 만제유량은 하천의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강 수계 20개 하천, 27개 수위 관측소의 최소 10년 이상의 실측 자료를 기반으로 다년간의 연평균 실측유량을 산정하였으며, McCandless(2003)가 제시한 지형학적 만제지표를 이용하여 추정한 만제유량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추정된 만제유량은 HEC-RAS model을 이용하여 만제하폭, 만제수심, 만제 시 평균유속을 산정하였다. 27개 지점의 실측유량과 만제유량의 상관성 분석결과 만제유량은 연평균 일유량의 7.7배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제유량을 7일 평균유량(1 week mean discharge)으로 정의하였으며, 수정된 7일 유량과 만제유량의 RMSE는 13.90 m/s, MAPE는 9.94 %로 상관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만제유량과 만제하폭, 만제수심, 평균유량, 구간경사와 상관성 분석결과 개별적으로의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만제하폭, 수심, 평균유량과 만제유량에 대한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R^2$는 0.911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구간경사를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R^2$가 0.914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만제유량은 수리 기하학적 특성이 모두 반영된 하천 특성을 나타내는 복합적인 지표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만제유량을 통해 추정된 연평균 유량($48{\cdot}Q_{bf}$)을 우리나라의 월간 유출량 분포 비율을 이용하여 일유량으로 배분/생성하였으며, 생성된 일유량을 통해 CCHE2D model을 이용하여 하상변동 모의를 수행하였다. 대상 구간은 병성천 최하류로부터 상류로 7 km 구간이며, 2013년 1월과 12월 측량 자료를 통한 1년간의 실제 하상 변동 자료와 2013년 실측 유량자료에 따른 하상변동 모의 결과 및 만제유량에 의해 배분/생성된 일유량에 따른 하상변동 모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7일 평균 유량으로 정의된 만제유량을 통해 배분/생성된 유량의 수치모의 결과는 실제 측량자료 및 실측유량자료에 따른 하상변동 결과와 매우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nalysis of bankfull discharge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generation of bankfull discharge for bed change simulation (만제유량 특성 분석 및 하상변동 모의를 위한 유량의 배분/생성)

  • Lee, Woong Hee;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80-580
    • /
    • 2015
  • 하천에서의 수문/수리적 특성은 주수로의 다양한 지형학적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흐름과 수반된 유사량의 변화는 하천의 지형학적, 수리기하적 특성을 지배하며, 하도의 물리적 시스템을 변화시켜 동적 평형에 이르게 된다. 하천에서 하도 형성에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수리특성은 하도형성 유량으로 지배유량이며, 보통 만제유량을 사용한다. Dunne and Leopold(1978)는 만제유량을 유사의 이송, 하천의 사행, 유선형의 변화 등 하천의 일반적인 형태를 변화시키며, 주수로의 특성을 형성하는 유량으로 정의하였다. 이와 같이 수리 지형학적 특성을 반영하는 만제유량은 하천의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강 수계 20개 하천, 27개 수위 관측소의 최소 10년 이상의 실측 자료를 기반으로 다년간의 연평균 실측유량을 산정하였으며, McCandless(2003)가 제시한 지형학적 만제지표를 이용하여 추정한 만제유량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추정된 만제유량은 HEC-RAS model을 이용하여 만제하폭, 만제수심, 만제 시 평균유속을 산정하였다. 27개 지점의 실측유량과 만제유량의 상관성 분석결과 만제유량은 연평균 일유량의 7.7배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제유량을 7일 평균유량(1 week mean discharge)으로 정의하였으며, 수정된 7일 유량과 만제유량의 RMSE는 13.90m/s, MAPE는 9.94 %로 상관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만제유량과 만제하폭, 만제수심, 평균유량, 구간경사와 상관성 분석결과 개별적으로의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만제하폭, 수심, 평균유량과 만제유량에 대한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R^2$는 0.911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구간경사를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R^2$가 0.914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만제유량은 수리 기하학적 특성이 모두 반영된 하천 특성을 나타내는 복합적인 지표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만제유량을 통해 추정된 연평균 유량($48{\cdot}Q_{bf}$)을 우리나라의 월간 유출량 분포 비율을 이용하여 일유량으로 배분/생성하였으며, 생성된 일유량을 통해 CCHE2D model을 이용하여 하상변동 모의를 수행하였다. 대상 구간은 병성천 최하류로부터 상류로 7 km 구간이며, 2013년 1월과 12월 측량 자료를 통한 1년간의 실제 하상 변동 자료와 2013년 실측 유량자료에 따른 하상변동모의 결과 및 만제유량에 의해 배분/생성된 일유량에 따른 하상변동 모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7일 평균 유량으로 정의된 만제유량을 통해 배분/생성된 유량의 수치모의 결과는 실제 측량자료 및 실측유량자료에 따른 하상변동 결과와 매우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Geomorphology and Spatio-Temporal Land Cover Changes in Sincheon Wetland, Mangyeong River (만경강 신천습지의 지형과 시공간적 토지 피복 변화)

  • Jangsoo Kim;Jeong-Sik Oh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34 no.1
    • /
    • pp.41-51
    • /
    • 2024
  • The Sincheon wetland shows a remarkable diversity of fluvial landforms, such as river islands, anastomosing channels, braided channels, and sand-gravel bars, which contribute to its rich ecological habitat. The wetland area is characterized by a ecological diversity of herbaceous and woody plants. Significant changes in land cover within the wetlands were observed from 2008 to 2020. Notably, there was a rapid decrease in agricultural area from 18% to 0.04%, while the vegetation area expanded from 45% to 54%. Concurrently, the water area also experienced a notable increase from 34% to 41%. The surface sediment composition in the studied area displays sandy loam characteristics and exhibits acidic soil properties. Sediment acidity tends to increase downstream and in the central part of channels. Variations in acidity are also observed at nearby collection sites due to the tributaries and local discharge. The presence of dense vegetation in river islands and bars has led to a significant transformation of sediments into soil, with this change being more pronounced downstream, particularly near the weirs. The installation of a weir in Sincheon wetland is believ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ltering flow velocities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sections, as well as influencing erosion and sediment deposition patterns. However, given the formation of landforms in response to weirs, effective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are essential to address potential risks of catastrophic environmental disruptions, such as the removal of weirs and/or the maintenance of river channels.

Analysis of Channel Changes in Mountain Streams Due to Typhoon Hinnamnor Flood - A Case Study on Shingwangcheon and Naengcheon Streams in Pohang - (태풍 힌남노 홍수로 인한 산지 중소하천의 하도 변화 분석 - 포항 신광천 및 냉천을 사례로 -)

  • Chanjoo Lee;Seong Gi An;Eun-Kyung Jang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10 no.4
    • /
    • pp.97-106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Singwangcheon and Naengcheon streams in Pohang caused by flooding due to Typhoon Hinnamnor. Analysis of the changes in river channel area from the past to recent times using aerial photos and drone-taken images showed that the river width had gradually decreased since the 1960s. However, after the flood, the river width increased again. Changes in the river cross-section before and after the flood show that a large amount of coarse sediment was deposited inside the river bend while the outer bank was eroded. The water levels calculated using HEC-RAS for the pre-flood cross-section based on the flood frequency discharges and estimated discharge from Oer Reservoir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bserved water level, which means that the cross-sectional change was not consid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ross-sectional changes due to sediment transport when estimating the flood level of small and medium-sized mountain streams, and it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geomorphic changes after flo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