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늘소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8초

집합페로몬 2-(Undecyloxy)ethanol을 이용한 솔수염하늘소 유인 실험 (Field Bioassay for Longhorn Pine Sawyer Beetle Monochamus alternatus (Coleoptera: Cerambycidae) in Korea Based on Aggregation Pheromone 2-(Undecyloxy)ethanol)

  • 이성민;홍도경;박종성;이진호;장세헌;이창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2호
    • /
    • pp.1445-1449
    • /
    • 2015
  •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은 소나무재선충병을 유발하여 한국의 소나무 숲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는 일반적으로 훈증 또는 파쇄처리되지만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역의 방제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은 아직 없다.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재선충병 방제효과 검증에 적합한 솔수염하늘소 집합페로몬의 농도를 알아보기 위해 2-(Undecyloxy)ethanol, 알파-피넨, 에탄올을 이용하여 경상북도 포항시의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역에서 필드테스트를 시행하였다. 총 27마리의 솔수염하늘소가 유인되었으며 고농도(700 mg)의 집합페로몬을 사용한 트랩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집합페로몬 2-(Undecyloxy)ethanol은 솔수염 하늘소 개체수 조사와 소나무재선충병 방제효과 검증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소나무류 천공충의 천적종류 및 북방수염하늘소 주요천적의 발생소장 (Natural Enemies of Wood Borers and Seasonal Occurrence of Major Natural Enemies of Monochamus saltuarius on Pine Trees)

  • 김종국;원대성;박용철;고상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439-445
    • /
    • 2010
  • 소나무와 잣나무 이목이 설치된 장소에서 채집된 천공성곤충은 모두 4과 45종이었으며, 하늘소과 21종, 바구미과 9종, 왕바구미과 2종, 나무좀과 13종이었다. 기생 및 포식천적의 종류는 총 6목 15과 36종이었다. 소나무재선충을 매개하는 북방수염하늘소에 기생, 포식하는 주요천적으로는 Dolichomitus nakamurai와 Echthrus reluctator, 큰쌀도적, 개미붙이 4종이었으며, 기생포식천적(parasitoids)인 Dolichomitus nakamurai 와 Echthrus reluctator는 4월 상순부터 5월 상순까지 발생하며, 주로 충방을 형성하고 그 안에 서식하는 북방수염하늘소의 유충이나 용에 기생하였다. 포식성 천적(predator)인 큰쌀도적, 개미붙이는 4월-10월에 발생되어 천공성 곤충의 유충과 성충을 포식하였다.

표고원목해충인 털두꺼비하늘소에 대한 Benfuracarb와 ${\lambda}$-Cyhalothrin의 방제효과 (Control effects of benfuracarb and ${\lambda}$-cyhalothrin to oak longicorn beetle, Moechotypa diphysis, infesting the oak mushroom bed logs)

  • 유정수;이상길;박지두;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47-49
    • /
    • 2001
  • 본 연구는 표고원목 해충인 털두꺼비하늘소(Moechotypa diphysis)의 성충에 대한 benfuracarb와 ${\lambda}$-cyhalothrin의 표고원목 약제 처리시 잔효성과 방제효과 및 실내에서 이들 약제의 표고균사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잔효성 시험결과 benfuracarb가 15일째까지${\lambda}$-cyhalothrin은 20일째까지 90%이상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방제시험에서도 두 약제 모두 100%의 방제가를 나타내었으며, 이들 약제는 표고균사 생장에 미치는 영향도 적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benfuracarb와 ${\lambda}$-cyhalothrin은 털두꺼비하늘소의 방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망실 내 해송 묘목에서 솔수염하늘소 성충의 이동에 관한 연구 (Movement of Monochamus alternatus Hope (Coleoptera: Cerambycidae) Adults among Young Black Pine Trees in a Screen Cage)

  • 김동수;이상명;김철수;이동운;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6
    • /
    • 2011
  • 솔수염하늘소 성충의 이동상황을 해송 유묘가 심겨진 망실 내에서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총 15본의 묘목 중에서 암컷 1마리가 총 실험기간 동안 이동 방문한 묘목 수는 6.4본, 하루 평균 0.2본을 옮겨 다녔으며, 수컷은 총 실험기간 동안 7.2본, 하루 평균 0.3본을 이동하였다. 밤낮의 시간대별로 이동한 횟수를 조사한 결과 암컷은 74.6%가, 수컷은 80.7%가 밤 시간대(17시~08시)에 이동하였다. 성충이 한 기주에 머무는 기간은 최대 7일이었는데, 동일 기주에서 1~2일간 머무는 비율은 암컷의 경우 72.6%, 수컷의 경우 76.0%이었다.

한국남부 표고버섯 및 느타리버섯 재배지에 분포된 해충상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f insect pest on the Mushroom (Lentinus edode, Pleurotus ostreatus) in south region of Korea.))

  • 김규진;황창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5-51
    • /
    • 1996
  • 생표고버섯을 가해하는 동물로 곤충 5종과 곤충이외의 동물 6종이 조사되었는데 이 중 회색톡톡이(Achon$\kappa$s armatus), 밑빠진버섯벌레(Scaphidium amurense), 민달팽이(Philomycus confusa)가 갓(자실체) 부분에 큰 피해를 주었고, 응애류(Rhizoglyphis spp., Histiostoma spp.)가 주름살 부분에 큰 피해를 주었다. 표고 버섯 골목해충으로 미숙골목에서 곤충 2종, 완숙골목에서 곤충 8종, 기타동물 1종이 조사되었는데 이 중, 미숙골목에서 털두꺼비하늘소(Moechotypa diphysis)와 완숙골목에서 털두꺼비하늘소(Moechotypa diphysis), 흰 개미(Reticu-litermes speratus)등의 발생량이 높고 피해가 컸으며, 특히 털두꺼비하늘소(Moechotypa diphysis) 는 미숙골목으로부터 完熟골목에 이르기까지 피해가 컸다. 느타리버섯 자실체 해충으로서는 곤충류 6종과 기타동물 2종이 조사되었으며, 이 중 곤충류의 갈색버섯파리과(Lycoriella sp.), 혹파리과(씨Icophilla sp.)가 발생량이 많고 피해도 컸다.한편 느타리버섯 균상을 가해하는 해충으로서 곤충 2종과 기타동물 5종이 조사되 었으며 이 중 곤충류의 갈색버섯파리과(Lycoriella sp.)와 응애류의 뿔가루응애과(Histiostoma feroniarum)및 건초응애(Throglyphus bankslongior)가 발생량도 많고 피해도 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