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구 연안

Search Result 23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금강하구 연안역의 해황과 관련한 영양염, 부유물질 및 chl-a의 분포

  • 최용규;양원석;최옥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139-139
    • /
    • 2002
  • 금강 하구 연안에서 2001년 4월부터 10월까지 월 2회씩 관측 및 분석한 자료를 가지고, 금강 하구 연안역의 해황과 관련하여 영양염, 부유물질 및 chl-a의 분포 특성을 살펴보았다. 담수 유출이 없을 때에는 금강 하구 연안에서 조석 주기에 따른 수층의 성층과 혼합이 교대로 반복되지만, 담수의 유출이 있을 경우에는 조석 강도에 관계 없이 금강 하구에서 저염수가 표층에 잔존하며 성층을 유지하고 있었다. (중략)

  • PDF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Deltaic Barrier Island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fter the Construction of River Barrage (하구둑 건설 이후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연안사주의 지형변화)

  • Kim, Su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0 no.4 s.109
    • /
    • pp.416-427
    • /
    • 2005
  •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morphological changes of deltaic barrier islands in the Nakdong Estuary and especially their spatial variations after barrage construction. We analyzed shorelines, geometrical centroids, and areas to reveal the changes of barrier islands. Here, we suggest three interesting points from this study. First, each individual barrier island in the Nakdong estuary goes through a different stage of the geomorphic cycle. The frontal barrier islands such as Sinja-do and Doyo-deung grow because they are located in front of the gates of the barrage. Sediments in water out of the gates are moved to offshore and then reworked by coastal processes such as waves and tides. Second, on the contrary, Baekhap-deung located behind Doyo-deung now diminishes indicating that sediments mainly move to the frontal growing island. Third, there is no morphological change in several barrier islands far away from the main flow of the Nakdong river such as Jinwoo-do, Daema-deung, and Jangja-do. In conclusion, barrier islands in the Nakdong estuary show distinct spatial variations. As a barrier island is closer to the main channel or is in the frontal location, there happens a very dynamic change in the morphology of the island.

A study of topography fluctuation from the HEOYA estuary considering mixed grain size (혼합입경을 고려한 회야강 하구에서의 지형변동에 관한 연구)

  • Park, Hae-Sung;Lee, Seong-Dae;Kim, Seong-De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16-1720
    • /
    • 2007
  • 연안 해역에서의 표사는 하천에서의 유사가 주요한 공급원이므로 산지-하천-해안을 통합한 유사 및 표사에 관한 관리가 필요하며, 해안수리 및 환경적인 측면에서 강성 연안구조물의 건설을 통하지 않고 연안에서의 침식을 억제해야하는 방지대책의 수립 요구가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연안에서의 침식, 퇴적관계는 토사공급원의 장기적인 확보여부가 중요하며 하천에서 해안역으로 공급되는 유사량을 예측하고 또한 이들이 어떻게 효과적으로 연안 해역으로 이송되어 가는가를 파악하는 것은 연안표사문제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하천에서 연안 해역으로의 유사량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리고 하천 유사량이 하구에 사주를 형성하고 어떤 형태를 거쳐 연안표사로 이동하는가 하는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에 위치한 회야강의 하구폐색은 1990년대 중반부터 연구의 관심이 되어오고 있으며, 1986년 회야강 상류 회야댐 건설 이후 하구폐색이 가속화됨에 따라 매년 회야강 하구에서의 준설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회야강 하구부에서는 파랑류, 취송류와 하천류 뿐만 아니라 해류나 조류 등에 의한 흐름과 지형특성등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하구현상에 의해 하구에서의 사주 발달이 상대적으로 강하여 하구폐색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의 대책으로 최근 회야강 하구부에 도류제가 건설되었으며 이에 따른 장기적인 하구부 하상변동특성과 토사이동의 특성 파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관점에서 회야강 하구부의 도류제 설치에 따른 하구에서의 지형변동과 유송토사량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하천 상류부에서는 동적 평형상태의 유사량을 가정하고 하상재료 및 유사는 혼합입경으로 하여 하상고 및 하상교환층 중의 입도조성의 시간변화를 구하여 1차원적인 하상변동과 토사이동 특성을 해석하였다.했을 때, 대표입경을 통해 얻은 조도계수가 보정 조도계수보다 다소 작은 것으로 해석되었다.하고자 한다.해결책을 얻어내는 상호보완적인 결과를 추구한다. 그가 디자인하는 작품은 전형적인 이미지를 내포하지 않는다. 즉 그의 작품은 기존의 가치와 이념적인 것은 배제하고, 창의적인 개념을 도출하였다.형모서리는 건물 특화 성격이 강하므로 불가피할 경우 소형 액센트 광고 위치를 미리 벽면으로 할애하는 것이 경관 및 입면계획에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불확실도 해석모형 등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모든 입출력자료는 프로젝트 단위별로 운영되어 data의 관리가 손쉽도록 하였으며 결과를 DB에 저장하여 다른 모형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HyGIS-HMS 및 HyGIS-RAS 모형에서 강우-유출-하도 수리해석-범람해석 등이 일괄되게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HyGIS와 통합된 수리, 수문모형은 국내 하천 및 유역에 적합한 시스템으로서 향후 HydroInformatics 구현을 염두에 둔 특화된 국내 수자원 분야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기본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았다. 또한 저자들의 임상병리학적 연구결과가 다른 문헌에서 보고된 소아 신증후군의 연구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닌가 해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생다시마를 주원료로 개발된 생다시마차와 생다시마 음료가 만성 기능성 변비 증세를 개선하는 효능이 잠재적으로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Long Term Shoreline Change including Sand Discharge from River (하천유사량을 고려한 장기적인 해안선변동 특성)

  • Lee, Seong-Dae;Park, Jung-Chul;Hong, Cha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161-2165
    • /
    • 2008
  • 최근 연안 해역에서의 표사문제는 사회적인 문제로 관심의 집중이 되고 있다. 특히 자연 환경 변화와 연안 구조물 건설과 같은 인위적 환경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연안에서의 침식이 가중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안표사, 연안 생태환경 및 연안방재에 심각한 상태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환경적인 측면뿐 아니라 이용자의 측면에서 장기적인 해빈보전 계획의 수립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장기적인 해빈보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연안해역 자체의 표사 변동 뿐만 아니라 연안으로 유입되는 표사의 공급원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하천에서 연안해역으로 공급되는 유사량을 예측하고 유사가 어떻게 연안해역에 표사로 이송되어 가는가를 파악하는 것은 연안표사문제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릉 남대천하구역에서 유출되는 하천유사량을 혼합입경의 관점에서 검토하여 도류제 설치에 따른 하구역에서의 지형변동 및 하구폐색현상을 해석하였으며, 하천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사량을 고려하여 강릉 남대천과 인접한 남항진해수욕장 인근에서의 장기적인 해안선변동 특성을 고찰하였다.

  • PDF

Comparison of Nekton Assemblage Structures Between Estuary and Inshore Waters on the Mid-Western Coast of Korea (서해 하구역과 연안역 유영생물의 군집구조 비교)

  • Hwang, Sun-Do;Lee, Woo-Joo;Im, Yang-Jae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7 no.3
    • /
    • pp.149-159
    • /
    • 2012
  • To elucidate the species compositions of estuarine and inshore fauna and compare productivities between them, catch were collected by bag nets in the Han River estuary off Ganghwa Island and the inshore waters off Jangbong Island for 24 hours at the spring tide from March to December 2010. Community structures of nekton assemblages were different with area, month, taxonomic groups. Although the diversity of estuarine nekton assemblage was lower than that of inshore nekton assemblage, the productivity of nekton assemblage in estuary was higher than that in the inshore waters. Nekton assemblages were distributed according to habitat environment: the estuarine species, Coilia mystus, Chelon haematocheilus, Collichthys lucidus were prominent in the Han River estuary off Ganghwa Island, and marine species, Thryssa kammalensis, Sardinella zunasi, Portunus trituberculatus were prominent in the inshore waters off Jangbong Island. Palaemon gravieri, Exopalaemon carinicauda, Synechogobius hasta were inhabited in both waters. The health assessment of estuarine ecosystem based on scientific research will be contributed to the effective management of estuary with determination of order and direction in policy.

점성토 수송에 관한 3차원 수치 모델링

  • 김차겸;이종섭;장선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2.08a
    • /
    • pp.188-191
    • /
    • 1992
  • 최근 해양공간의 이용 및 개발과 관련해서 하구역이나 연안해역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연안해양환경의 예측과 제어에 관한 기술 개발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하구역이나 연안해역에 분포하는 물질 가운데 상당부분이 점토나 실트와 같은 점착성토사와 유기성 현탁입자로 구성되어 있다.(중략)

  • PDF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Pseudo-Estuarine Environment Formed During the Summer Flood season in the South Coast of Korea (한국 남해 연안역에서 여름 홍수기에 형성된 연안 염하구 환경의 물리 -화학적 특성)

  • 임동일;엄인권;전수경;유재명;정회수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8 no.2
    • /
    • pp.151-163
    • /
    • 2003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emporal estuarine environment formed during the summer flood season (consecutive rainy days with average 50 mm day$^{-1}$ precipitation) in the coastal area of South Sea of Korea. The freshwater from the Seomjin River was characterized by lower temperature, salinity and pH, and high concentrations of COD and nutrients. In the summer flood season, such peculiar Somejin-River freshwater was dispersed southward along the coast of Yeosubando-Dolsando-Geumodo, form-ing temporal estuarine environment (defined as "Coastal Pseudo-Estuary" in this study) throughout the entire study area (as far as 60 km from the Seomjin River mouth). Compared to the winter dry season, the DIN/DIP ratio was almost doubled (16-36) during the summer flood season. This excessive nitrate supply during the summer flood season was probably due to nitrogenous fertilizer. Distribution and behaviors of physiochemical factors in this coastal pseudo-estuarine environment were controlled not only by the runoff of the Seomjun River (physical mixing of river water with seawater) but also by the biogeochemical estuarine processes which are mostly similar to those of the river estuary.r estuary.

Evolution and Changes of Coastal Topography due to Jetty Construction at Namdae River Mouth (도류제 건설 후 남대천 하구의 해안선 생성 및 변화)

  • Kim, In Ho;Lee, Seong Da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3B
    • /
    • pp.315-321
    • /
    • 2008
  • Recently, in the light of environments and utilization, countermeasures to preserve beaches in coastal area are required without depending on such as jetties and breakwaters. The necessity of integrated sand management including not only coastal sediment but also sediment discharge from hinterland rivers is increased so as to establish long-term counterplan for sediment transport. In this regard, the following subjects are examined in this study; efficient ways for discharged sand to be transported from a river to the neighboring coast, the river terrace occurrence and its growth at the river delta, measures to improve storage efficiency of the discharged sand and measures to prevent the sand resources from being discharged into the deep sea during flooding. In recent, A jetty of 260 m length was constructed at Namdae River mouth in the year of 2005 as a countermeasure against the occurrence of sand-bar at river mouth and its close. In this study, a series of numerica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transport and morphological change due to the construction of jetty at the entrance of Namdae River mouth. Firstly, The sand discharge from Namdae River is quantified by one-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assuming the mixed sand of three different particle diameters. Then,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ansport behavior of the sand discharge from river and river mouth phenomena the numerical experiments were then conducted to examine the flow behaviors of river efflux and wind generated circulations in coastal area. And, after establishing the numerical model system, which predicts the sea bed changes obtained from the flux model combining with the wave propagation, wave-induced currents and sediment transport models, the sediment transport in the vicinity of Namdae River mouth is analyzed.

Assessment of surface current from coastal ocean model in the Youngil Bay (연안해양모델을 통한 영일만의 표층해류 평가)

  • Kim, Dong Hyeon;Hwang, Jin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31-231
    • /
    • 2022
  • 하구에서의 흐름은 하천의 담수와 바다에서부터 유입되는 염수, 조석, 파랑 등으로 인해 복잡한 흐름구조와 혼합 양상을 보인다. 특히 만 내에 하천이 있을 경우 만의 해류특성은 하구에서의 혼합과 이송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며, 하천에서부터 방류되는 입자들은 만의 해류특성 따라 만에서의 체류시간과 이송이 결정된다. 잔차류 특성에 의한 순 물질 플럭스의 방향과 조석비대칭에 따른 하구에서의 퇴적 형태들이 결정되며, 이로 인해 하구에서의 퇴적물 퇴적 및 물질의 집적 위치, 하구 인근과 만에서의 환경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만 내에서의 혼합과 입자의 이송확산, 하천 담수의 영향역 등과 같은 만과 하천의 흐름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연안 및 하구의 환경 및 관리에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영일만과 형산강을 대상으로 계절변화에 따른 영일만 내 흐름과 형산강 하구에서의 퇴적양상에 대해 수치모의를 통해 수행하였다. 수치모델로는 천수방정식으로 준 3차원 유동해석을 하는 Delft-3D Flow와 파랑모형인 SWAN 모델을 결합하여 형산강하구와 영일만의 유동을 해석하였다. 상류개방경계는 형산강하구 9 km, 하류개방경계는 영일만 외해 50 km로 설정하였고, 경계조건은 대상지역의 관측소 자료와 전지구 모형자료를 결합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라그랑쥬 입자추적모델을 통해 형산강 상류에서 유입한 입자들의 영일만 내 체류시간과 집적 위치를 평가하였다.

  • PDF

Characteristics of Sediment Transport due to the Construction of Jetty at the Heoya-River Mouth, Ulsan (울산 회야강 하구 도류제 건설에 따른 표사이동 특성)

  • Lee, Seong-Dae;Kim, Bong-I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6 no.4
    • /
    • pp.477-486
    • /
    • 2014
  • Integrated sand control including sediment discharge from hinterland rivers is necessary to maintain coastal sand resources over a long term. In this regard, the following subjects should be considered; efficient ways to transfer discharged sand from a river to the neighboring coast, measures to improve storage efficiency of the discharged sand at the river delta and/or river terrace, measures to prevent the sand resources from being discharged into the deep sea during flooding. From the 1997 to January 2004, the jetty of 156 m length was constructed the Heoya-river mouth to protect the blockade of river mouth. Several tes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transport and morphological change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jetty at the Heoya-river mouth. Firstly, The sand discharge from Heoya river is quantified by one-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assuming the mixed sand of three different particle diameters. Also the numerical mode system, which predicts the sea bed changes obtained from the Bailard's energy model(1981), was combined with the wave, wave-induced currents and sediment transport models. Then, to understand the changes to the blockade of the river mouth, several aerial photographs were compared, which showed that the changes were 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