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필기 인식

Search Result 31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dmitting a Sequence Variation of Handwritten Direction (필기 방향 변이를 수용하는 문자 인식 방법)

  • Lee, Do-Gon;Kim, Woo-S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843-846
    • /
    • 2005
  • 사용자마다 여러 필기 방식이 존재하기 때문에 입력된 문자가 획 순서를 달리하여 필기했을 경우 오인식 발생확률이 많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서로 다른 필기 방향을 처리하는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하나의 문자라도 필기 모양에 따라 해당 모델에서 그 문자가 발생할 확률 값이 다르지만 임계 확률 값 즉, 다양한 필기 모양에 상관없는 최소한의 발생 확률 값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이 입력 문자를 인식할 때 어떤 모델에서의 발생 확률이 그 모델에서의 임계 확률 값보다 낮을 경우는 훈련과는 다른 필기체로 쓴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통해서 다른 필기 방향의 문자를 인식할 수가 있다.

  • PDF

Implementation of A Continuous Cursive On-Line Hangul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Based on the Boxed Style Pad (흘림체 한글 필기의 온라인 원고 작성기 구현)

  • Kwon, Oh-Sung;Kwon, Young-B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3.10a
    • /
    • pp.493-501
    • /
    • 1993
  • 본 논문에서는 한글의 자소간 흘림의 연속 필기를 허용하는 원고 작성기의 구현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온라인 한글 필기의 응용에서는 신속한 인식속도를 갖는 인식방법이 요구되며, 인식중에도 계속적인 필기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같은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스트링 정합방법에 기반한 신속한 인식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글자인식과 필기데이타 수집이 병행적으로 처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원고작성시에 자유로운 필기동작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실험결과 50명이 쓴 21,076자에 대하여 88.96%의 인식률을 제공하였으며, 제안하는 구현 방법이 원고작성 응용에 적합하게 동작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On-line Handwritten Numeral Recognition based on Table Top Display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기반의 온라인 필기 숫자 인식)

  • Kim, Eui-Chul;Kim, Ji-Woong;Kim, Soo-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9-12
    • /
    • 2007
  •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는 사람에게 친숙한 상호작용의 매개체인 손을 입력장치로 이용하는 일종의 탁자형 멀티 터치스크린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환경에서 손가락 제스쳐를 활용하여 필기 숫자를 인식하는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필기 숫자 인식 기술을 개발하였고, 이로 인해 추후 진행될 연속 숫자 혹은 특수기호의 성공적인 인식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실험 과정은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의 표면을 통해 입력된 손가락 궤적을 잡음제거, 대표점 추출등의 전처리 과정을 거쳐 16-방향 체인코드로 변환하고, 변환된 체인코드의 학습 및 필기 숫자 인식에 확률 통계적 모델인 은닉 마르코프 모델을 이용하였다. 학습에는 총 300개 필기 숫자 데이터를 이용하였고, 인식 실험에 사용한 별도의 100개의 필기 숫자 데이터에 대해 97%의 정인식율을 보였다.

Global Feature Analysis in On-Line Unconstrained Handwritten English Word Recognition (온라인 무제약 영어 필기 단어 인식을 위한 전역적 특성 분석)

  • 김재륜;하진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393-395
    • /
    • 1998
  • 온라인 문자인식에 대한 연구는 지난 30여년에 걸쳐 수행되었지만, 무제약 필기 단어 인식에 대한 연구는 활성화 된지가 오래되지 않은 실정이다. 필기자에 따른 다양한 서체의 변이와 방대한 탐색공간, 그리고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등의 제약된 계산 능력으로 인해 학문적으로는 좋은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지만 실용화에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다. 대부분의 온라인 문자 인식 시스템에서는 인식 시스템에서는 인식 시스템 자체의 성능만으로는 인식 성능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외부 지식을 사용한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단어 사전을 이용하는 것인데, 단어 사전의 크기를 미리 줄일 수 있다면 인식기의 성능이 좋아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무제약 영어 필기 단어 인식을 위한 필기 데이터의 전역적 특성을 분석하고, 각각의 특성에 따른 사전 감축 비율과 오류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 PDF

A Recognition Algorithm of Handwritten Numerals based on Structure Features (구조적 특징기반 자유필기체 숫자인식 알고리즘)

  • Song, Jeong-Young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8 no.6
    • /
    • pp.151-156
    • /
    • 2018
  • Because of its large differences in writing style, context-independency and high recognition accuracy requirement, free handwritten digital identification is still a very difficult problem.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of handwritten digits, this paper proposes a new handwritten digital identification method based on combining structural features. Given a handwritten digit, a variety of structural features of the digit including end points, bifurcation points, horizontal lines and so on are identified automatically and robustly by a proposed extended structural features identification algorithm and a decision tree based on those structural features are constructed to support automatic recognition of the handwritten digit. Experimental result demonstrates that the proposed method is superior to other general methods in recognition rate and robustness.

Segmentation of Words from the Lines of Unconstrained Handwritten Text using Neural Networks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제약 없이 쓰여진 필기체 문자열로부터 단어 분리 방법)

  • Kim, Gyeo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C
    • /
    • v.36C no.7
    • /
    • pp.27-35
    • /
    • 1999
  • Researches on the recognition of handwritten script have been conduct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isolated recognition units are provided as inputs. However, in practical recognition system designs, providing the isolated recognition unit is an challenge due to various writing syles. This paper proposes an approach for segmenting words from lines of unconstrained handwritten text, without help of recognition.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approaches which are based on physical gaps between connected components, clues that reflect the author's writing style, in terms of spacing, are extracted and utilized for the segmentation using a simple neural network. The clues are from character segments and include normalized heights and intervals of the segments.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pproach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onnected component based approaches in terms of word segmentation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experiments.

  • PDF

Phoneme Extraction from Freely Hand Written Han Gul (자유 필기체 한글에서의 자모 추출)

  • Oh, Weon-Geun;Shin, Young-Geon;Ahn, Young-Ky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89.10a
    • /
    • pp.142-147
    • /
    • 1989
  • 필기체 문자는 인쇄체 문자와는 달리, 복잡한 변형이 따르므로, 인식 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따른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적인 필기체 인식에 있어서는 필기 자체에 대한 제한을 두어 변형을 적게한 문자를 인식 대상으로 삼고 있다. 이러한 문자는, 설정된 조건만 확실하게 만족한다면, 비교적 간단하게 인식 할 수 있다. 반면에, 자유 필기체 문자는, 제한 필기체 문자와는 달리 변형이 크기 때문에, 그 인식에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자유 필기체 한글의 자모를 추출하는데 있어 두개의 parameter space method를 이용했다. 화상내에서의 혼합은, 기본적으로 5 개의 element ($\mid,\;\setminus,\;/,\;-,\;o$)로 구성되어 있고, 이 element를 정의하는데는 최소한 4 개의 parameter, 즉 element의 위치 [x, y], 크기 [1] 및 type [T] 등이 필요하다. 입력 화상에서 추출된 직선 및 원의 성분은 [x, y, l] 과 [x, y, T]의 2 개의 3-D parameter space 에 누적되고, parameter space 상에서의 병합 분할 과정을 거쳐, element 가 형성된다. 추출된 element 들은, parameter space 상에서의 방향성 및 상호 위치 관계에 의한 조합 형태로서, 미리 기술되어진 자모 모델과 비교되어 인식된다. 본 방법의 특정은, 문자의 크기에 무관하고, 해석방법에 의해서는, 끊어진 element나 불필요한 element 등의 왜곡된 element 들의 처리가 가능한 점, 4 차원 parameter space를 두개의 3 차원 parameter space로 분리, 처리시간과 기억용량의 절약을 기한점 등을 들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Algorithm for Online Handwriting Hangul Recognition (온라인 한글 필기 인식 알고리즘 개발)

  • Jeong, Dabin;Lee, Kang Eun;Jeong, Min Jin;Moon, Changjin;Kim, Sungsuk;Kim, Jaehyun;Yang, Sun 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1000-1003
    • /
    • 2020
  • 본 논문은 기계학습 기반 온라인 한글 필기 인식 시스템의 첫 구현 결과를 담고 있다. 한글의 글자는 최소한 하나의 모음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모음은 대개 직선으로 필기한다는 사전 지식을 활용하여 인식에 적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온라인으로 필기하면 획 데이터를 획득하여 중성에 해당하는 모음을 찾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에서는, 우선 필기한 글자를 포함하는 사각형 R과 각 획을 둘러싸는 사각형 SR을 생성한 후, 직선을 판별하고, 이 직선들이 모음을 구성하는 후보군을 찾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직 초기 연구이므로, 다양한 경우에 대한 분석이나 실험 결과는 없지만, 이를 활용하여 온라인 필기 인식 모델에 적용하여 인식 성능을 높이기 위한 추후 연구의 기반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Writer Dependent Online Hangul Syllable Generation based on Similarity between Probabilistic Distributions of Handwritings (필기 문자의 확률 분포 유사성에 기반한 필기자 종속적 온라인 필기 한글 낱자 생성)

  • ;Choi, Hyun-Il;Kim, Ja-Hwan;Kim, Ji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871-873
    • /
    • 2005
  • 필기는 특정인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매우 효과적인 매체이다. 이런 이유로 최근 개인의 필기를 디지털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필기 인식 분야에서는 높은 성능의 필기 인식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많은 양의 필기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주어진 데이터내의 문자 조합을 바탕으로 한글 필기를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데이터에서 관측되지 않은 필기까지도 생성하는 것을 주요 문제로 다룬다. 실험 결과 생성된 필기는 실제 필기와 시각적으로 매우 유사함을 보인다.

  • PDF

Automatic Quality Measurement of Gray-scale Handwriting Based on Extended Average Entropy (확장된 평균 엔트로피에 기반한 명도 영상 필기 데이터의 품질 자동 평가)

  • 박정선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0 no.3
    • /
    • pp.77-83
    • /
    • 1999
  • With a surge of interest in OCR in 1990s a large number of handwriting or h handprinting databases have been built one after another around the world. One problem that researches encounter today is that all the databases differ in various ways including the script qualities.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for measuring handwriting qualities that can be used for comparison of databases and objective test for character recognizers. The key idea i involved is classifying character samples into a number of groups each characterizing a set of qualities. In order to evaluate the proposed method we carried out experiments on KU-1 database. The result we achieve is meaningful and the method is helpful for the target task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