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화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9초

양서류 피부 상처회복과정 중 각질화세포 cytokeratin의 분포 (The Temporal and Spatial Expression of the Cytokeratin in Keratinocytes during Cutaneous Wound Healing on the Amphibian(Bombina orientalis))

  • 임도선;정순정;문명진;정문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7권4호
    • /
    • pp.209-217
    • /
    • 2007
  • 상처회복은 염증, 재상피화 그리고 기질의 재형성등이 관여하는 복잡한 과정이다. 이중 재상피화에 관여하는 각질화세포의 이동경로를 분석하기 위하여 무당개구리 피부 상처유도 후 투과전자현미경과 cytokeratin에 대한 조직면역화학법을 이용하였다. 정상조직의 cytokeratin발현은 기저층의 세포들과 선상피에서 확인되었다. 상처 유도후 3시간 조직에서, 기저세포층에서 강한 반응이 관찰되었고, 1일과 2일 사이에서는 재생되는 각질화세포에서 강한 면역반응이 확인되었다. 상처반응 중기인 7일부터 10일 사이에서도 재생된 세포의 기저층세포에서 강한 반응이 일어났다. 19일경과의 조직에서는 기저층과 유극층의 세포들에서 cytokeratin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재상피화에 관여하는 각질화세포는 기저층의 세포로부터 시작하여 상처부위로 이동하여 과립층과 유극층으로 분화됨으로서 재상피가 진행되었다.

새삼(Cuscuta japonica CHOISY) 유래 정유의 피부 각질형성세포 증식 및 이주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Essential Oil from Cuscuta japonica CHOISY on Proliferation and Migration in Human Skin Keratinocyte)

  • 최인호;김도윤;이환명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4-50
    • /
    • 2022
  • 피부의 재생피화는 상처 치유의 주요 과정으로 각질형성세포의 이주과 증식을 포함한다. 본 연구는 새삼 유래 정유(Cuscuta japonica CHOISY essential oil, CJCEO)의 피부각질형성세포(HaCaTs) 증식 및 이주 유도 활성 평가를 통해 피부재상피화 및 상처치유 활성을 확인하였다. 새삼 유래 정유에 의한 HaCaTs의 증식은 10~250 ㎍/ml까지 농도의존적인 유도활성을 나타내었으며, 250 ㎍/ml에서 대조군(control)에 비해 239.98±5.51%의 증식을 유도하였다. 또한, 새삼 유래 정유는 250 ㎍/ml에서 HaCaTs의 이주를 124.86±6.06% 증가시켰다. 새삼 유래 정유의 증식과 이주 유도 활성은 collagen sprout out growth를 통해 재확인되었으며, 50 ㎍/ml에서 140.20±11.83% 및 250 ㎍/ml에서 191.81±13.00%의 유도를 각각 나타내었다. 뿐만 아니라, 새삼 유래 정유는 type I collagen의 세포 내 생합성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들은 새삼 유래 정유가 정상적인 피부재상피화 과정뿐만 아니라, 상처치유 등의 과정에서 피부조직재생 촉진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어 향후, 화장품 소재로서 응용가능성이 검증되었다.

산국화(Chrysanthemum boreale Makino) 유래 Hydrosol의 피부 각질형성세포 증식 및 이주 유도 활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Hydrosol Extracted from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Flower on Proliferation and Migration in Human Skin Keratinocyte)

  • 김도윤;황대일;윤미소;최인호;이환명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95-101
    • /
    • 2016
  • 본 연구는 수증기 증류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산국화 유래 hydrosol의 피부각질형성세포(HaCaTs) 증식 및 이주 유도 활성 평가를 통해 피부재상피화 및 상처치유 활성을 확인하였다. 산국화 hydrosol은 HaCaTs의 증식과 이주를 농도 의존적으로 유도하였으며, 특히 $1{\mu}g/mL$에서 음성 대조군(control)에 비해 $143.71{\pm}3.37%$의 증식과, $139.98{\pm}5.72%$의 이주 유도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산국화 hydrosol은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1/2 (Erk 1/2)와 serine/threonine-specific protein kinase (Akt)의 인산화를 유의하게 증가시켰을 뿐만 아니라 collagen sprout out growth를 농도 의존적으로 유도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서 산국화 hydrosol은 정상적인 재상피화 과정과 상처치유 등의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향후 화장품 소재로서 응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노루오줌속(Astilbe)의 분자 계통: 계통지리 및 형질 진화에 대한 고찰 (Molecular phylogeny of Astilbe: Implications for phylogeography and morphological evolution)

  • 김상용;김성희;신현철;김영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5-41
    • /
    • 2009
  • 노루오줌속(Astilbe)은 동아시아와 북미 동부에 격리되어 분포하는 양상을 보이는 속으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루오줌속 및 근연 속을 대표하는 17종의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기초한 계통수를 제작하여 노루오줌속의 분류, 형질 진화 및 계통지리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베이스 추론법 등을 통해 계통수를 제작한 결과 Saxifragopsis가 노루오줌속의 자매군임이 확인되었고, 단성화, 무화피화, 7~11개로 갈라지는 꽃받침 등의 형질상태를 지니는 것으로 알려진 일본 고유종, A. platyphylla는 노루오줌속 계통수의 기부에서 가장 먼저 분리되었다. 북미에 격리 분포하는 분류군인 A. biternata 및 중국과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는 A. rivularis는 노루오줌속의 진화 초기에 갈라진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화피가 있는 나머지 종들은 하나의 핵심군으로 확고하게 무리를 지었다. 핵심군 내에서는 일본, 대만, 필리핀 등지에 분포하는 종들("Japonica" clade) 이 단계통군을 이루었고, 중국 및 한국에 분포하는 종인 A. rubra var. rubra(노루오줌)과 A. koreana(숙은노루오줌), 즉 "Rubra" clade는 이들과 명확히 구분되는 진화 계열로 나타났다. A. biternata의 기원과 격리분포는 베링육교(Bering land bridges)를 통해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었다. 대만에 분포하는 2종과 A. philippinensis는 일본에 분포하는 분류군이 남하하면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해석되었다. 노루오줌속 내에서 무화피화는 원시적 형질상태였으며, 이 형질상태는 적어도 두 개의 진화 계열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기원하였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노루오줌속을 분류함에 있어서 잎의 유형(단엽/복엽)을 중요시했던 Engler의 분류 체계를 지지하지 않았으며, 꽃받침의 형태를 일차적으로 고려했던 Hara의 분류 견해를 지지하였다.

당뇨가 유발된 햄스터 창상치유에 미치는 벼세포 유래 GM-CSF의 효과 (Rice Cell Origin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rrhGM-CSF) Could Improve the Wound Healing in Diabetic Hamster)

  • 한규범;허시현;정진주;한만덕;김완종;신길상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3호
    • /
    • pp.253-260
    • /
    • 2009
  • 상처치유는 growth factor와 cytokine들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일어나는 과정이다. GM-CSF는 호중구와 대식세포를 분화시키고 각질세포를 증식시키는 다면발현성 사이토카인으로 여러 세포에서 재조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주)핸슨바이오텍에서 개발한 rice cell 유래의 재조합 rrhGM-CSF는 다른 세포에서 유래된 GM-CSF들보다 탄수화물 측쇄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rrhGM-CSF의 창상치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햄스터에 만성 당뇨를 유도하여 상처치유가 어려운 동물모델을 만든 후, 등쪽에 인위적으로 피부 전 층을 제거하여 창상을 유발하였다. 실험군에는 rrhGM-CSF가 포함된 연고를 적용하고, 대조군에는 base cream만을 적용하여 재상피화되는 과정과 피부조직의 구조 및 PCNA 반응을 통한 세포증식 정도를 비교하였다. 육안 및 조직학적 관찰 결과, rrhGM-CSF를 적용한 그룹의 재상피화 속도가 더 빨랐으며, PCNA 면역조직화학적 조사에서도 증식하는 각질세포의 수가 대조군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rrhGM-CSF에 의한 피부상처 치유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보아 벼세포 유래의 rrhGM-CSF는 국소적인 피부 창상 치유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이며, rrhGM-CSF의 풍부한 당화 사슬은 이 단백질이 상처부위에 안정된 상태로 기능을 나타냄으로써 효과를 오랫동안 지속시킬 수 있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흰쥐의 발치와 재상피화에 따른 상피내 CGRP 면역양성 신경섬유의 분포변화 (EVIDENCE OF INTRAEPITHELIAL CGRP IMMUNOREACTIVE NERVE FIBERS DURING REEPITHELIALIZATION OF EXTRACTION WOUND OF RAT)

  • 변기정;김진수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6권4호
    • /
    • pp.369-37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CGRP immunoreactive nerve fibers in the healing mucosa of extracion wound. Maxillary 1st molars of rats were extracted. All extraction sites and adjacent tissues of 3 groups of rats(1-week, 2-week and 4-week groups) were removed en bloc and processed for immunostaining and were subjected to light microscopic examinat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In 1-week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pattern of CGRP immunoreactive nerve fiber between epithelial margin adjacent to extraction socket and normal gingival epithelium. In 2-week group, some CGRP-immunoreactive nerve fibers were seen in epithelial layer. In 4-week group, many intercellular CGRP immunoreactive nerve fibers were abundant in all layers of immature epithelium characterized by scab on the mucosa and thick keratinized cell layer with irregular surface. Intraepithelial CGRP immunoreactive nerve fibers were reduced to normal level in adjacent mature epitheli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nsity of CGRP immunoreactive nerve fibers are increased transiently in epithelium during reepithelialization process and CGRP released from these nerve fiber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epithelialization in the wound healing.

  • PDF

조선시대 남자용 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n's Boots of the Joseon Dynasty)

  • 곽경희;홍나영
    • 복식
    • /
    • 제56권1호
    • /
    • pp.44-5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man's boots in the Joseon Dynasty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of the Ming and Qing Dynasty to find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between them. Boots in the Joseon Dynasty are divided into several kinds such as Heukgwejapihwa, Hheuksapihwa(黑斜皮靴), Heukpihwa(黑皮靴), Mokhwa(木靴), Hyeopgeumhwa(挾金靴), Suhwaja (水靴子), Jeonpihwa, Gijahwa(起子靴), and Baekhwa(白靴). In addition, Jeong(精: footwear) was put inside boots. They tend to be named according to their materials or ornaments on them. First, Jeong put inside the boots is regarded as footwear for the comfort of the feet or protection against cold. Mokhwa appears in literature around the 19th century. As shown by remains and paintings of those days, it is considered to have become the common name of boots as it underwent many changes. On the other hand, a book in the era of King Gojong includes pictures of Suhwaja. Compared to Hukpihwa in the same book. The topside seems to have been raised in order to make the wearer who put on a military uniform feel comfortable when walking, since the bottom piece is hard. Baekhwa is worn not only with funeral garments but also with Sibok(時服), one of official uniforms. Boots in the Joseon Dynasty had been made following the design of the Ming Dynasty since official uniforms were conferred upon King Gongmin in the late Koryo Dynasty. But turning the late Joseon Dynasty its detailed design changed little by little. The topside of the boots became more round, the entrance part became wider, height of the shoes became taller, and the bottom piece became parallel to the ground.

부분 탈상피화 둔부 전위 피판을 이용한 천미골 털둥지굴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Sacrococcygeal Pilonidal Sinus with the Partial Deepithelized Gluteal Transposition Flap)

  • 남두현;신호성;박은수;김용배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4호
    • /
    • pp.446-449
    • /
    • 2008
  • Purpose: Pilonidal sinus is a frequent disease that occurs mostly in hairy young men, defined as chronic inflammation and infection of the postsacral sinuses. Wide excision of the affected area is the treatment of choice. Many techniques have been described to cover the defect. However none appears to be the ideal procedure to prevent infection, recurrence, and delayed wound healing. We present the results of an alternative technique that we performed by using partial deepithelized gluteal transposition flap for reconstruction of the defect following wide excision. Methods: From October 2004 to September 2007, we performed the partial deepithelized gluteal transposition flap method on 6 patients. We modified the transposition flap techniques by deepithelialising the medial parts of the flap and burying them under the opposing edge of the flap.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and evaluated regarding duration of surgery, size of defect, hospitalization periods, and complications. Results: All the flaps were healed well with no partial or complete loss of the flap. Hospitalization and immobilization periods were acceptably shortened. Recurrence was not seen. The aesthetic outcome was also satisfactory and all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s. Conclusion: The main advantage of our techniques is using healthy tissues to obliterate the dead space, to provide an extra-cushion, and to prevent deep dehiscence. We believe that the partial deepithelized gluteal transposition flap is a good alternative method for treatment of pilonidal sinus.

카테킨이 함유된 창상피복제용 하이드로젤의 개발 (Development of Hydrogel Containing Catechin for Wound Dressing)

  • 김진;조은비;이기영
    • 폴리머
    • /
    • 제37권4호
    • /
    • pp.462-469
    • /
    • 2013
  • Catechin(CTEC)은 천연항산화제로 알려져 있고 항염증에 효과적이며 피부 창상치료제로 응용되고 있다. 이 연구는 ${\beta}$-cyclodextrin(${\beta}$-CD)으로 나노입자화한 CTEC을 poly(vinyl alcohol)(PVA)/pectin(PT) 조성의 하이드로젤에 첨가하였다. 피부상처의 재상피화를 위해 CTEC과 ${\beta}$-CD을 분자복합(molecular complex) 방법에 의해 나노입자 제조를 수행하였다. 하이드로젤에 첨가된 CTEC 나노입자는 $250{\pm}17.5$ nm이며, 입자 내 CTEC의 담지 효율은 처음첨가량의 74%가 담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CTEC는 하이드로젤 필름으로부터 pH7.4와 pH5.5 버퍼에서 72시간 동안 각각 $86.51{\pm}3.14%$$35.95{\pm}2.14%$의 방출을 보였다. 창상치료 실험에서 CTEC 나노입자가 적재된 PVA/PT 조성의 하이드로젤은 CTEC이 함유된 도포형 젤보다 빠른 치유력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돼지에서 연속형 $CO_2$ 레이저와 펄스형 $CO_2$ 레이저를 이용한 피부절개시 창상치유 평가 (Comparison of Wound Healing in Porcine Skin with Continuous-Wave and Pulsed Mode $CO_2$ Laser Incisions)

  • 이재연;조성환;박창식;김명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47-651
    • /
    • 2010
  • 연속형 $CO_2$ 레이저와 펄스형 $CO_2$ 레이저를 이용한 돼지 피부절개 시 창상 치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다섯 마리의 돼지(Landrace x Yorkshire) (45-51 kg, 4-6 개월령, 수컷 3마리, 암컷 2마리)를 이용 하였고, 각각의 돼지에서 우측 및 좌측의 등쪽 피부에 대칭적으로 연속형 $CO_2$ 레이저와 펄스형 $CO_2$ 레이저를 이용하여 절개($2{\times}2{\times}2cm^2$) 하였다. 양측 피부 절개는 Maxon 3-0 를 이용하여 봉합하였다. 수술 후 3, 7, 14, 21일에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창상 부위의 재상피화는 연속형 $CO_2$ 레이저 군에 비해 펄스형 $CO_2$ 레이저군에서 더 많이 이루어졌다. 육아조직 형성은 창상후 경과일 3일에 펄스 $CO_2$ 레이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 < 0.05). 섬유아세포는 창상후 경과일 7일에 펄스형 $CO_2$ 레이져군에서 유의적으로 많게 형성되었다(P < 0.05). 결론적으로 피부절개 시에 있어서 펄스형 $CO_2$ 레이저는 연속형 $CO_2$ 레이저에 비하여 재상피화, 육아조직형성 및 섬유아세포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레이저 시술에 따른 조직손상을 적게 나타내었다. 따라서 피부절개 시에 있어서 펄스형$CO_2$ 레이저가 연속형 $CO_2$ 레이저 보다 더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