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브린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1초

카테콜 함유 생체모방 점막접착형 고분자의 합성 및 특성 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atechol-Containing Biomimetic Mucoadhesive Polymers)

  • 박동진;이상진;이상천
    • 폴리머
    • /
    • 제37권5호
    • /
    • pp.625-631
    • /
    • 2013
  • 점막접착 기능은 인체의 다양한 장기에 적용되는 의료용 접착제에 요구되는 중요한 특성이며, 점막접착 기능을 갖는 고분자를 개발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많은 연구자들이 생체모방 기술을 통한 점막접착형 고분자를 개발하고 있고, 그 중 해양 부착 생물인 홍합의 접착 기능 및 특성이 접착제 연구의 주요 대상이 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홍합 접착 물질 속에 과량 존재해 표면 접착 기능을 발현하는 카테콜 구조가 도입된 생체모방형 고분자를 합성하였고, 핵자기공명분광법 및 젤투과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In vitro 상에서 돼지의 소장점막하조직 sheet를 준비하여 전단 시편을 제작하고 점막접착력을 측정하였다. 점막접착형 고분자는 현재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조군인 피브린글루와 비교할 때 월등한 접착력을 보였다. 또한, 다양한 인자를 변화시키며 최적의 점막접착력을 나타내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우수한 점막접착형 특성을 나타내는 고분자를 개발하였고 다양한 임상적용 및 의료용 기기에 도입가능한 소재의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고 사료된다.

피브린 결합능을 가진 합성 펩타이드의 치주인대 세포에 대한 생물학적 영향 (The biologic effect of fibrin-binding synthetic oligopeptide on periodontal ligament cells)

  • 이주아;구영;박윤정;구기태;김태일;설양조;이용무;류인철;정종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9권1호
    • /
    • pp.45-52
    • /
    • 2009
  • Purpose: Fibronectin(FN), one of the major components of ECM, mediates wide variety of cellular interactions including cell adhesion, migrati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In this study, we used synthetic peptides based on fibrin binding sites of amino-terminal of FN and evaluated their biologic effects on periodontal ligament(PDL) cells. Materials and methods: PDL cells were cultured on synthetic oligopeptides coated dishes and examined for cell adhesion, proliferation via confocal microscope. For detection of ERK1/2, cells were plated and Western blot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PDL cells on synthetic oligopeptide coated dishes showed enhanced cell adhesion and proliferation. Western blot analysis revealed increased level of ERK1/2 phosphorylation in cells plated on FN fragment containing fibrin-binding domain(FF1 and FF5) coated dishes. Conclusion: These results reveals that FN fragment containing fibrin-binding domain possess an enhanced biologic effect of PDL ligament cells.

청국장에서 분리한 Bacillus licheniformis HK-12의 혈전용해활성과 프로테옴 분석 (Fibrinolytic Activity and Proteomic Analysis of Bacillus licheniformis HK-12 Isolated from Chungkuk-Jang)

  • 손병희;권상철;오계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800-806
    • /
    • 2008
  • 자연발효된 청국장으로부터 혈전용해활성을 가지는 세균 Bacillus licheniformis HK-12를 농화분리하여, 배양기간 동안 생산된 혈전용해활성을 가지는 단백질에 대해 프로테옴 분석을 실시하였다. B. licheniformis HK-12를 액체 영양배지에 접종하여 얻어진 배양상등액을 피브린 평판법(fibrin plate method)을 사용하여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HK-12의 혈전용해 활성은 대조구인 plasmin보다 약 2.3배정도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효소는 배양상등액을 ammonium sulfate 침전, DEAE-cellulose chromatography, Sephadex chromatography 등을 수행하여 분리정제하였으며, 정제된 혈전용해효소의 분자량은 SDS-PAGE를 통해 약 23 kDa로 측정되었다. 배양시간에 따른 HK-6의 세포외 단백질의 변화를 2-D PAGE 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36시간배양 후에 가장 현저하게 유도된 spot #1을 분리하였으며, MALDI-TOF MS를 이용하여 단백질 동정을 실시한 결과, 유도된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은 $^1EKKIEKYREEEORLK^{15}$으로서, serine protein kinase (PrkA) (AAU22526)로 확인되었다.

황금찰수수의 혈액응고저해 및 혈전용해 효과 (Anticoagulant and Fibrinolytic Activities of Hwanggeumchal Sorghum In Vitro)

  • 김민수;오인택;전도연;이지영;손호용;곽도연;서명철;우관식;고지연;정태욱;남민희;우미희;김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1460-1470
    • /
    • 2013
  • 잡곡류의 항혈전작용을 조사하기 위해 국내산 11종의 잡곡으로부터 80% 에탄올 추출물을 얻어 혈액응고저해활성을 thrombin time (TT)법으로 측정한 결과, 황금찰수수의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혈액응고저해활성을 보였으며, 뒤이어 청차조 유래의 에탄올 추출물도 혈액응고저해활성을 보였다. 황금찰수수의 에탄올 추출물을 n-hexane,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및 n-butanol로 분획하였을 때, 대부분의 TT-저해활성은 hexane과 methylene chloride 분획에 분포하였으며, 이들 분획의 활성은 동일 농도의 aspirin (최종 농도 480 ${\mu}g/ml$)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황금찰수수의 에탄올 추출물의 혈액응고저해활성은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법 및 prothrombin time (PT)법으로도 확인되었다. 이때 APTT-저해활성은 hexane 및 methylene chloride분획에 주로 분포하였으나 PT-저해활성은 hexane 분획에 주로 분포하였다. 이들 분획들의 APTT-저해활성 및 PT-저해활성은 warfarin (최종농도 3.13 mg/ml) 보다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황금찰수수 유래 에탄올 추출물의 TT-저해활성은 열 안정성 및 pH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였다. 한편, 이와 같은 황금찰수수 유래 에탄올추출물, hexane 분획 및 methylene chloride 분획의 경우는 피브린 응괴를 가용화할 수 있는 피브린용해활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황금찰수수가 혈액응고저해활성과 혈전용해활성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며, 아울러 항혈전 식이요법의 소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미니돼지에서 자가 피부유래 전구세포와 탈회골 및 피브린 스케폴드를 이용한 하악골 골결손부의 골재생에 대한 연구 (MANDIBULAR BONE REGENERATION USING AUTOGENOUS SKIN-DERIVED PRECURSOR CELLS WITH A MIXED DEMINERALIZED BONE AND FIBRIN GLUE SCAFFOLD IN MINIATURE PIGS)

  • 변준호;최문정;최영진;심경목;김욱규;김종렬;박봉욱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1권3호
    • /
    • pp.198-206
    • /
    • 2009
  •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in vitro co-culturing pattern of isolated skin-derived precursor cells (SKPs) with a mixed demineralized bone (DMB) and fibrin glue scaffold and to evaluate in vivo osteogenesis after transplantation of autogenous SKPs with a these mixed scaffold in the animal's mandibular defects. Materials and Methods: We isolated SKPs from the ears of adult 4 miniature pigs. The isolated SKPs were co-cultured with a mixed DMB and fibrin glue scaffold in a non-osteogenic medium for 1, 2, and 4 weeks.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 vitro co-cultured cells and scaffold were evaluated. $1{\times}10^7\;cells/100\;{\mu}l$ of autogenous porcine SKPs were grafted into the mandibular defects with a DMB and fibrin glue scaffold. In the control sites, only a scaffold was grafted, without SKPs. After two animals each were euthanized at 2 and 4 weeks after grafting, the in vivo osteogenesis was evaluated with histolomorphometric and osteocalcin immunohistochemical studies. Results: Homogeneously shaped skin-derived cells were isolated from porcine ear skin after 3 or 4 weeks of primary culture. In vitro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SKPs was observed after co-culturing with a DMB and fibrin glue scaffold in a non-osteogenic medium. Von Kossa-positive bone minerals were also noted in the co-cultured medium at 4 weeks. As the culture time progressed, the number of observable cells increased. Trabecular new bone formation and osteocalcin expression were more pronounced in the SKP-grafted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utogenous SKP grafting with a DMB and fibrin glue scaffold can serve as a useful alternative to bone grafting technique.

이소매복된 치아의 자가치아이식 증례 (Autotransplantation of Ectopically Impacted Teeth : Two Case Reports)

  • 임유란;김재환;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08-115
    • /
    • 2017
  • 매복치의 치료방법으로 교정적 견인, 발치 후 임플란트, 자가치아이식 등 다양한 치료 방법이 있다. 그 중에서도 자가치아이식은 성장하는 환자들에게서 이식치 고유의 치주인대세포의 보존 및 치조골 성장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좋은 치료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이 증례에서는 성장중인 청소년의 이소 매복 치아를 자가치아이식으로 치료한 두 개의 증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첫 번째 증례에서 이소 매복된 좌측 하악 제2소구치를 발거 후 정위치로 자가치아이식하였고 혈소판 농축 피브린(PRF)과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를 사용하여 재생 근관 치료를 하였다. 석회화 치성낭으로 인해 이소매복된 좌측 하악 제2대구치를 지닌 두 번째 증례에서 병소의 적출술을 시행하였다. Obturator를 3개월 간 장착하여 매복치아의 자발적 맹출을 기대하였으나 맹출 양상이 없어 자가치아이식한 후 MTA를 이용한 근관치료를 하였다. 두 증례 모두 자가치아이식술로 이소매복치를 간단하고 빠르게 치료하였다. 성장하는 환자에게서 이소매복치의 자가치아 이식술은 임플란트나 보철물 수복 대신 좋은 치료 방법이 될 것이다.

확장 광배근 피판거상 시 공여부 장액종의 예방을 위한 피브린 실란트의 효과에 대한 후향적 연구 (Effect of Fibrin Sealant in Extended Lattisimus Dorsi Flap Donor Site: Retrospective Study)

  • 조현우;유대현;탁관철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3호
    • /
    • pp.267-272
    • /
    • 2008
  • Purpose: Donor site seroma i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of extended latissimus dorsi flap for breast reconstruction. One of preventive treatments is to use the fibrin sealant in donor site before closure. Experimentally, it has been used successfully in the prevention of latissimus donor site seroma, but its clinical efficacy and results were very controversial.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and to determine the optimal dose of fibrin sealant.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done of patients operated under same surgical conditions by one operator with variable doses of fibrin sealant.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60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breast reconstruction with extended latissimus flap reconstructions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6. Patients were divided into 4 group by applied fibrin sealant amount(group 1=0 mL, group 2=1 mL, group 3=2 mL, group 4=4 mL). Retrospective data were obtained from total postoperative drainage amount, time from surgery to drain removal, and incidence and quantity of seroma formation in matched patients group. Results: Total drainage amount decreased relative to the amount of fibrin sealant. The seroma formation rate of 30% in the study group 4 was significantly less than group 1 rate of 71%(p<0.05). It was an improvement over the rates of as much as 79% described previously in the literature. Also, time from surgery to drain removal was shortened significantly in group 4 patients(p<0.05). Conclusion: The use of fibrin sealant in the extended latissimus dorsi flap donor site appears effective in preventing seroma. However, important factors to obtain lower seroma formation rates are proper techniques and proper amounts such as the authors suggested amount: $0.01mL/cm^2$ with spray type fibrin sealant.

승모판막치환술 후 발생한 급성 제1형 좌심실 파열에 대한 심외막적 봉합 - 1예 보고 - (Epicardial Repair of Acute Atrioventricular Groove Disruption Complicating Mitral Valve Replacement - A case report -)

  • 조광리;강재걸;진성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2호
    • /
    • pp.855-858
    • /
    • 2007
  • 승모판막 치환술 후 발생하는 좌심실파열은 치명적인 합병증이다. 30년 전 국외에서 승모판막에 대한 수술을 받은 병력이 있는 54세 여자 환자가 심한 승모판막 협착증과 심한 삼첨판막 폐쇄부전을 주소로 내원하여 승모판막 치환술 및 삼첨판막륜 성형술을 시행받았다. 심폐기 이탈 후 수술장 내에서 발생한 대량출혈로 심폐기 재가동 상태에서 평가한 결과 좌심방으로부터 3 cm 후방부위의 방실 골짜기에서 발생한 급성 제I형 좌심실 파열로 진단하고 심외막 접근법으로 테프론 펠트를 이용한 일차 봉합술, 심막첨포를 이용한 밀봉 봉합술 및 피브린 접착제를 적용하여 성공적으로 봉합하였으며 환자는 수술 14일째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다. 이에 승모판막 치환술 후 발생하는 제I형 좌심실 파열에 대한 문헌고찰과 함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랫드의 두개골 결손부에서 돼지 해면질골이 골재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rcine Cancellous Bones on Regeneration in Rats with Calvarial Defect)

  • 유경훈;김세은;심경미;박현정;최석화;강성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8호
    • /
    • pp.1207-1213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랫드의 두개결손부 모델에서 돼지 해면질골을 지지체로 사용했을 때의 효과를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임계결손부의 형성은 30마리의 수컷 Sprague-Dawley 랫드에서 실시하였으며 동물들은 임계결손군(CD group, n=10), 베타 삼인산칼슘군(BT group, n=10) 및 돼지 해면질골군(PCB group, n=10)으로 나누었다. 각각의 결손부위는 피브린 글루와 혼합시킨 베타 삼인산칼슘 또는 돼지 해면질골로 채워졌으며 CD군은 결손부위에 이식재를 이식하지 않았다. 모든 랫드들은 골이식 수술 8주 후에 희생되었으며 희생 후 육안검사, 단순 방사선촬영, micro-CT 촬영 및 조직검사를 통해 골형성 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에서 골결손부의 치유는 CD군에서 가장 낮았으며 PCB군에서는 유의성 있는 새로운 골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방사선촬영 결과, 조직학적 평가 및 micro CT 촬영 결과에서 골이식 시 돼지 해면질골이 베타 삼인산칼슘보다 새로운 골형성에 있어 더욱 효과적임을 관찰할 수 있었다.

청각 산추출물에서 정제한 함황다당류의 항응고활성 (Anticoagulant Activity of Sulfated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Codium fragile)

  • 박미경;권미향;조홍연;양한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2호
    • /
    • pp.140-146
    • /
    • 1999
  • 청각(1.2 kg)을 0.8% 염산 수용액(24 l)으로 추출한 추출물을 메탄올 환류, 에탄올 침전 및 투석하여 활성이 약 2배 증가된 조다당(CF-1)으로부터 2종의 항응고활성 다당류를 정제하였다. 정제는 CF-1의 DEAE-Toyopearl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와 Sephadex G-75, Sephadex G-100, Sepharose CL-6B 겔여과 크로마토그래피, HPLC 등을 이용하였다. 최종 정제 다당류획분인 CF-1-VIa-1과 CF-1-VIIa-1는 분자량이 각각 80,000과 40,000 Da 이었으며, 주구성당으로서 arabinose와 galactose가 약 2:1의 몰비율로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었고, 구성당 잔기에 $12{\sim}13%$의 유황을 함유하는 함황성 다당류들이었다. CF-1-VIa-1와 CF-1-VIIa-1의 항응고활성을 $2.5\;{\mu}g/mL$의 농도에서 비교하였을 때 APTT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262초, 250초이었고 TT활성은 각각 130초, 70초이었으며, 분자량이 큰 CF-1-VIa-1이 다소 높은 항응고활성을 보였다. CF-1-VIa-1와 CF-1-VIIa-1의 desulfation과 sulfation을 통한 항응고활성을 비교한 결과 desulfation시 항응고활성이 각각 약 80%와 50%로 감소하였으나 sulfation시에는 약 30%와 20%로 그 활성이 증가하였다. 두 다당류는 헤파린과 달리 농도 의존적으로 불용성 피브린의 형성을 억제하므로써 antithrombin III 비의존적 트롬빈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칼슘이온의 킬레이트에 의한 혈액응고 저해효과는 나타내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