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부 온도

검색결과 388건 처리시간 0.024초

구강안면부에서 적외선 체열검사의 신뢰도에 관한 연구 (Reliability of Infrared Thermographic Imaging in the Orofacial Region)

  • 한동준;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6권4호
    • /
    • pp.355-367
    • /
    • 2001
  • 치의학 분야에서 디지탈 근적외선 체열측정 장치(digital infrared thermographic imaging; DITI)의 응용이 미미한 것은 과거 열측정장치의 기술력이 부족한 것이 주된 요인이었다. 그러나 최근들어 기술이 진보함에 따라 실시간 열영상을 재현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치의학 및 의학계에 많은 관심을 일으키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를 보면 두개하악장애시 구강영역의 온도변화의 임상적 효용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나 안면 및 두경부에 대한 실제 기기 및 측정방법의 신뢰도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DITI에 대한 신뢰도를 조사하였다. DITI의 모니터 상에서 비활동성 발통점의 부위를 찾아내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모니터상에서 안면발통점(joint, temporalis anterior, masseter anterior, masseter inferior)의 부위를 찾아 온도를 찾아내는 방법과 미리 발통점 피부상에 링모양의 마크를 부착하여 모니터상에서 쉽게 찾아내는 방법을 사용하여 신뢰도를 조사하여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조사한 발통점 중에서 temporalis anterior, joint, masseter anterior과 masseter inferior의 순서로 피부온도가 유의하게 온도가 높았으나(p<0.05) masseter 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2. 4개의 발통점 모두에서 높은 열적 대칭성을 보였으며, 좌우 온도차이는 $0.1^{\circ}C$미만이었다. 3. 다른 시기에 조사한 조사자내 신뢰도는 두 조사자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않았으며 대조군과 마크를 사용한 군간에는 뚜렷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4. 동일한 시기에 조사한 조사자간 신뢰도는 두 시기 모두 joint 부위의 일부를 제외하고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며, 마크를 사용한 경우 사용하지 않은 경우 보다 훨씬 신뢰도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DITI는 두개하악장애환자에 대한 두경부 발통점의 온도변화를 측정하는 데 있어 시간에 따른 신뢰도는 결여되었으나 동일 시기의 측정에는 매우 유익할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발통점에 대한 표시를 사용하는 경우 매우 정확한 온도를 조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광센서를 이용한 생체신호 계측 (Sensing System of Biological Signal using Photo Sensor)

  • 김한일;반용준;강민우;이명섭;구경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유기절연재료 전자세라믹 방전플라즈마 일렉트렛트 및 응용기술
    • /
    • pp.242-246
    • /
    • 2002
  • 인체의 손가락 끝에서 발생하는 맥의 파형과 온도, 피부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복합센서를 설계 제작하였다. 인체신호를 계측하는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손가락 끝의 맥 파형을 계측하고자 광센서를 활용하여 계측시스템을 구현하였고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체온측정은 대략 $0.01^{\circ}C$의 분해능을 구현 할 수 있었고, 피부저항 측정은 최대 $5M{\Omega}$까지 측정 가능하고 최소분동은 $5k{\Omega}$ 정도이며, 맥박측정은 새롭게 포토센서를 적용하여 미소진동을 측정할 수 있었다.

  • PDF

생리신호를 사용한 단조 작업 수행시 정신 피로도의 측정과 평가(I) (Measurement and Assessment of Mental Fatigue using Biosignals during Monotonuous Task (I))

  • 고한우;윤용현;이창미;김동윤
    • 감성과학
    • /
    • 제3권1호
    • /
    • pp.1-6
    • /
    • 2000
  • 단조 작업에 의한 정신적 피로도의 평가를 위하여 피험자에게 1자릿수 숫자 3개를 더하는 연산 작업을 수행하게 하였다. 주관적 평가를 통해 단조작업임이 확인된 task를 사용하여 작업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단조감이 증가하도록 실험과정을 설계하고 생리신호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생리신호 중 심전도, 피부온도, 호흡을 분석하였다. 단조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피부온도의 증가 경향이 나타났으며, 심박 변화율의 전력스펙트럽 분석결과 고주파성분의 감소와 Power spectrum balance가 증가하였다. 특히 power spectrum balance와 주관적 평가치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상관관계가 높은 생리신호를 사용하여 정신피로를 예측한 결과 (R=0.945)가 정신피로를 잘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병아리의 첫번째 환우와 체력

  • 김종택
    • 월간양계
    • /
    • 제25권9호통권287호
    • /
    • pp.119-123
    • /
    • 1993
  • 요즈음 날씨같이 낮에는 전형적인 혹서기를 나타내나 밤이되면 썰렁해져서 자다가도 이불을 찾게 되는데 이런 경우 병아리는 어떤 영향을 받게될까? 병아리날개는 피부보다도 더 예민하여 저온 스트레스를 받게되면 금방 흉터가 생기게 되며 이는 환우를 할때까지 없어지지 않는다. 또한 복부를 덮고 있는 피부는 종이같이 얇으며, 자체 체온조절기능이 미숙하여 외부의 기온영향을 장기에 바로 받게된다. 번개가 치고 난 이후 변압기 등이 손상되었을때 폐사가 많이 나는 이유도 이런데 있는 것이다. 온도관리가 그만큼 중요하다는 이야기이며 성장과도 직결되는 문제이다. 그러나 계절차이, 일교차, 수용시설, 수용수수 과다 등으로 실제 온도관리는 어려움도 많이 따르며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도 많이 볼 수가 있다. 더군다나 요즘같은 날씨에서는 더욱더 그러하다. 병아리는 입추 후 어느 일령에 다다르면 원래 가지고 있던 솜털을 벗으면서 첫번째 환우를 하게되는데 이것으로 병아리 상태파악과 관리에 응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 PDF

생리주기가 쾌적착의량과 쾌적온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enstrual cycle on preferred clothing and preferred ambient temperature)

  • Jeong, Woon-Seon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655-1660
    • /
    • 2001
  • 여성의 생리주기가 행동성 체온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6명의 건강한 여자대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22.5$^{\circ}C$와 55%RH의 환경에서 피험자 스스로가 의복을 선택하는 쾌적의복선택 실험과 피험자 스스로가 온도를 선택하는 쾌적 온도선택 실험을 각각 수행하였다. 평균피부온은 생리주기에 관계없이 쾌적온도선택 실험보다 쾌적의복선택 실험에서 높게 유지되었고, 생리주기에 따른 쾌적착의량과 쾌적온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6명의 피험자 중 4명의 피험자가 선택하여 착용한 착의량은 황체기보다 여포기에 더 많았고 (p<0.05), 5명의 피험자가 선택한 쾌적온도 역시 황체기보다 여포기에 평균 1.4$^{\circ}C$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1). 이러한 결과는, 피부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여포기보다 황체기에 심부체온을 높게 유지하기 위한 행동성 체온조절반응을 나타낸 것으로 보이나, 보다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다수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는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야 할 것이다.

  • PDF

온돌난방에서 노인과 청년의 피부온 반응 비교 (Thermoregulatory Responses in the Elderly and the Young under the Ondol System)

  • 정유정;최정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49-158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ge on the human thermoregulatory responses an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Korean therm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under the traditional Korean floor heating system-Ondol.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10 elderly women, 4 elderly men(over 65 years), 10 young women and 5 young men(in twenties). They were exposed to temperature-controlled Ondol room(20$\pm$1$^{\circ}C$, 50$\pm$5%R.H., floor surface temperature: 30$\pm$1$^{\circ}C$) for 60 minutes and wore the same experimental clothing. The postures were performed sitting and supine on the floor. In each pose, rectal temperature, skin.temperature of 10 areas, mean skin temperature, clothing microclimate, body fat were measu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rectal temperature gradually decreased and mean skin temperature gradually increased in young and old groups in both supine and sitting pose on heated Ondol floor for 60 minutes. 2. Rectal temperature was different in each pose. The rectal temperature decreased 0.1$^{\circ}C$ in both groups under the condition of sitting and decreased 0.2'c in elderly group under the condition of supine. In supine pose, elderly group was more declined than young group. Mean skin temperature increased 0.5$^{\circ}C$ in both poses, both groups.

  • PDF

한국인의 온열쾌적감에 관한 연구 ( Part I : 겨울철 체감실험 결과 ) (Experimental Study on Thermal Comfort Sensation of Korean ( Part I : Analysis of Subjective Judgement in Winter Experiment ))

  • 금종수;최광환;김동규;주익성;김종열;박희욱;이구형;최호선
    • 감성과학
    • /
    • 제1권1호
    • /
    • pp.199-211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겨울철 체감실험을 통해 SET*(PMV)와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ASHRAE Standard 55-74의 쾌적영역과 한국인의 쾌적영역을 비교 검토하는 것이다. 실험에 참가한 각 피험자는 동일한 유니폼을 착용한 체 의자에 앉아 환경시험실에서 2시간 체재하였다. 피험자의 평균피부온도는 신체 3군데에서 측정한 피부온도 값을 이용하였고, 전신온냉감 및 쾌불쾌감 신고는 매 15분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전신온냉감 신고 스케일은 -3= cold, -2=cool, -1=slight cool, o=neutral, +1= Slightly warm, +2=warm, +3=hot 이며, 쾌불쾌감 신고스케일은 0=comfortable, +1=slightly comfortable, +2=uncomfortable, +3=very uncomfortable이다. 겨울철 체감실험을 통해 아래의 결론을 얻었다. 1)전신온냉감이 중립이 될때 청년층의 SET*는 25.5$^{\circ}C$이며, 고령자의 중립온도는 27$^{\circ}C$이었다. 고령자는 청년에 비해 $1.5^{\circ}C$(SET*) 정도 고온을 선호하였다. 2)청년층의 쾌적영역은 24.2-26.8$^{\circ}C$(SET*)이며, 고령자의 쾌적영역은 25.7-28.2$^{\circ}C$이었다. 이러한 쾌적영역은 ASHRAE의 쾌적영역보다 고온지향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평균피부온도 분석을 통한 수면시 쾌적 실내 온도조건에 관한 연구 (Study on Comfortable Room Temperature using Mean Skin Temperature analysis in Sleeping)

  • 김동규;정용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161-167
    • /
    • 2007
  •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room temperature for comfortable and deep sleep during a tropical night. We need to investigate thermal transport and parameter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for comfortable sleep. Therefore this study is performed to evaluate the comfortable room temperature based on the change of skin temperature under variations in thermal conditions and several reports. Five female subjects of 20~22 years with similar sleeping pattern were participated for the experiment. The subjects arrived in chamber at 9 pm and adapted to thermal circumstances during 2 hours. The sensors was sticked in body for skin temperatures. If subjects fall asleep in chamber, lights off and then sleep during 8 hours.As results, indoor temperature range for comfort sleep was $23.9{\sim}28.4^{\circ}C$ based on comfort mean skin temperature. But considering transition of time, minimum indoor temperature was $21.6^{\circ}C$, $22.9^{\circ}C$, $24.1^{\circ}C$, $23.9^{\circ}C$ and maximum indoor temperature was $28.2^{\circ}C$, $30.1^{\circ}C$.

피부 미백제를 함유한 안정한 o/w 나노에멀젼의 융복합형 화장품 이용 (Application of Stable o/w Nanoemulsions with Skin Depigmenting Agent for Integration Type of Cosmetics)

  • 조완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417-423
    • /
    • 2015
  • 정제수/Span 80-Tween 80/화장품용 피부 미백제 계에서 PIC 방법을 이용하여 o/w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제조 온도를 30 oC에서 80 oC로 상승시킴에 따라 제조된 나노에멀젼의 입경은 150 nm에서 40 nm로 감소하여 나노에멀젼을 형성하였다. 혼합 계면활성제의 HLB를 변화함에 따라 13.0~14.0 부근에서 가장 작은 입경을 형성하는 최적 HLB가 존재하였다. 오일/유화제의 비율이 증가하면 에멀젼의 입자 크기가 증가하였다. $f{\leq}0.15$ 조건에서 나노에멀젼의 크기 분포는 2 개월 이상 일정하게 유지 되었다. 제조 온도의 증가는 단 분산 나노에멀젼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였다. 나노에멀젼이 생성되면, Ostwald ripening에 대한 안정성은 연속 상에서 화장품용 피부 미백제의 매우 낮은 용해도로 인해 안정하였다.